• 제목/요약/키워드: CaMnO$_3$Solid Solu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1-x)$CaMnO_{3}-xCaTiO_{3}$계 세라믹스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1-x)$CaMnO_{3}-xCaTiO_{3}$Ceramic System)

  • 안순영;윤상옥;윤종훈;장성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65-868
    • /
    • 2000
  • It was exa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structures, electrical properties and crystal structure of (1-x)CaMnO$_3$-xCaTiO$_3$solid solution system which was made by mixing a semiconducting material CaMnO$_3$of low resistance and a dielectric material CaTiO$_3$of high resistance with variable ratios (x=0, 0.1, 0.3, 0.5, 0.7, 0.9, 1.0). As the CaTiO$_3$increased, the resistance, B constant and lattice constant were increased, but the grain size was decreased. On particular, above 50wt% of CaTiO$_3$, the resistance at 2 5$^{\circ}C$ was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correlation in connectivity of the lattices between the conductive Mn$^{+4}$ octahedron and the insulative Ti$^{+4}$ octahedron.ron.

  • PDF

용액연소법과 고상반응법으로 제조된 CMR용 $La_{0.7}{Ca_{0.3}}{MnO_3}$분말 특성 (Characteristics of $La_{0.7}{Ca_{0.3}}{MnO_3}$Powders Prepared by Solution Combustion Method and Solid State Reaction Method for CMR Applications)

  • 이강렬;송재성;박성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61-465
    • /
    • 2001
  • La$_{0.7}$Ca$_{0.3}$MnO$_3$분말은 공기중에서 하소온도와 시간의 변화에 따라 각각 용액연소법과 고상반응법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조성 및 구조 특성을 XRD와 SEM으로부터 조사하였으며 소결성은 dilatometer에 의해 조사되었다. 또한 분말 특성은 BET에 의해 조사되었고 분말의 하소온도는 TG 분석으로부터 결정되었다. 하소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La$_{0.7}$Ca$_{0.3}$MnO$_3$상의 XRD peak가 증가하였는데, 고상반응법을 이용한 경우 100$0^{\circ}C$에서 24시간 동안 하소해서야 겨우 La$_{0.7}$Ca$_{0.3}$MnO$_3$의 단상을 얻을 수 있었으나 용액연소법을 이용한 경우, $650^{\circ}C$에서 30분 동안 하소함으로써 submicron 입자크기를 갖는 단상이면서 초미세한 La$_{0.7}$Ca$_{0.3}$MnO$_3$분말을 쉽게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용액연소법에 의해 제조된 다결정인 La$_{0.7}$Ca$_{0.3}$MnO$_3$분말은 49.44$m^2$/g 정도의 매우 큰 비표면적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값은 고상반응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의 비표면적 보다 매우 컸으며 이와 같으 사실로 인해 용액연소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의 소결온도를 낮출 수 있었다. 분말의 소결온도를 낮출 수 있었다.

  • PDF

$Cr_2$$O_3$가 첨가된 $CaMnO_3$-$CaTiO_3$계 페로브스카이트 써미스터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lies of $Cr_2$$O_3$ Added $CaMnO_3$-$CaTiO_3$ Perovskite Thermistor)

  • 양기호;윤상옥;윤종훈;장성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9-402
    • /
    • 2000
  • For improvement of B constant in $CaMnO_3$-$CaTiO_3$ perovskite type thermistors, effect of $Cr_2$$O_3$ addition ranged from 0.0wt% to 5.0wt% on electr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with contents and sintering temperatures in the view of crystal and microstructures. The solubility limit of Cr$_2$O$_3$was up to 0.5wt% judging from the result of lattice parameter. The grain size was decreased and the resistance at room temperature and B constant were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Cr_2$$O_3$.On particular, B constant of$CaMnO_{3-x}$$Cr_2$$O_3$ system was increased greatly from 1574k to 2598k at 0.5wt% $Cr_2$$O_3$addition. Further addition of $Cr_2$$O_3$, however, resulted in the decrease of the resistance and B constant due to the $Cr_2$$O_3$ precipitation on the grain boundary. As the$CaTiO_3$contents increased in the $CaMnO_3$-$CaTiO_3$ system, the resistance at room temperature and B constant were highly changed.

  • PDF

La0.8Ca0.2MnO3의 합성 및 특성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0.8Ca0.2MnO3)

  • 정미원;이지윤;김현정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34-440
    • /
    • 2003
  • 초거대 자기 저항 물질인 페로브스카이트 L $a_{0.8}$C $a_{0.2}$Mn $O_3$의 분말을 졸-겔방법으로 제조하였다. Lanthanum(III), Calcium(II) 그리고 Manganese(III) 2,4-Pentanedionate를 Propionic acid와 methane떠 혼합용매를 사용하고 PEG (l5 wt%) 용액을 첨가 하여 안정한 졸용액을 합성하였고 FT-IR spectroscopy로 반응의 진행 정도를 관찰하였다. L $a_{0.8}$C $a_{0.2}$Mn $O_3$ 겔 분말에 대해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열처리하여 FT-IR, CP/MAS $^{13}$C solid state NMR spectroscopy와 XRD등을 이용해 구조변화를 관찰하였다. 열분석은 TG/DTA로 측정하였으며, FE-SEM을 통해 입자크기와 균일도를 관찰하였고, 양이온 조성 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ICP-AES를 측정하였다. 자성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VSM을 이용하여 자기 모멘트를 측정하였으며, 상자기성 에서 강자기성으로 전이되는 큐리온도( $T_{c}$)를 관찰하였다.

SL 온도특성을 가지는 적층 칩 세라믹 캐패시터용 유전체의 유전 및 전기적 특성 (Dielectric and Electric Properties of Mutilayer Ceramic Capacitor with SL Temperature Characteristics)

  • 윤중락;이상원;김민기;이경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45-651
    • /
    • 2008
  • To reduce noise in high frequency and distortion of signal, the composition of $(Ca_{0.7}Sr_{0.3})(Zr_{0.97}Ti_{0.03})O_3$ and $(Ba_{0.2}Ca_{0.4}Sr_{0.4})TiO_3$ was developed. The composition was not solid solution, but mixtures of various phases composed of Ca, Sr, Zr, Ti and Ba oxides.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d, the quality factor and the insulation resistance decreased with $(Ba_{0.2}Ca_{0.4}Sr_{0.4})TiO_3$ content. The composition of $0.4(Ba_{0.2}Ca_{0.4}Sr_{0.4})TiO_3$ satisfied the electric characteristics and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dielectric constant (TCC). In addition, the glass frit and $MnO_2$ also affected the electric characteristics. From the result of the best fit simulation, $MnO_2$ 0.3 mol%, the glass frit 0.6 wt% showed the insulation resistance $906{\Omega}{\cdot}F$, the quality factor 821, and the dielectric constant 92. With the selected composition, MLCC capacitors sized $4.5{\times}3.2{\times}2.5mm$ were manufactured with 105 layered of the dielectric thickness $16{\mu}m$ using Ni inner electrode, They represented the capacitance $98{\sim}102$ nF, the quality factor 1,200 and the insulation resistance $1,500{\Omega}{\cdot}F$. Also, they had high break-down voltage with $107{\sim}115V/{\mu}m$, and satisfied the SL TCC characteristics.

동남광산에서 발견된 신종광물 Zn­란시아이트(치무석) (Chimooite, a New Mineral from Dongnam Mine, Korea)

  • 최헌수;김수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39
    • /
    • 2003
  • 강원도 정선군의 동남광산에서 란시아이트(rancieite)의 Zn­단종인 신종광물이 발견되어 이 광물에 대하여 '치무석'(Chimooite)으로 명명하고 그 광물학적 특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치무석은 캄브리아기의 풍촌석회암층을 남북 내지는 북동 방향으로 관입한 능망간석과 황화광물로 형성된 열수광맥의 표층산화대의 산화망간 광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주로 미립의 판상 또는 침상 결정의 집합체로 산출되며, 큰 것은 약 0.2 mm까지 달하나 대부분 0.05 mm이하의 미세 결정체로 산출된다. 한 입자 내에서 중심부의 치무석에서 외각부의 란시아이트로 화학조성이 점이적으로 변한다. 치무석은 푸른빛을 띠는 흑색의 구상 또는 괴상의 집합체로 무광이며 흑갈색의 조흔색을 보인다. 한 방향의 뚜렷한 벽개를 가지며, 경도는 2.5∼4이다. 반사현미경 하에서 치무석은 이방성이며 복굴절을 보여 적갈색의 내부반사색을 보인다. 치무석의 전자현미분석 시 분석위치에 따라 다양한 CaO와 ZnO의 분석값을 보이는데 이로 미루어 치무석과 란시아이트는 양이온 치환에 의한 완전고용체임을 알 수 있다. 치무석의 실험식은 7 $\AA$ 층상구조형 산화망간광물의 일반식인 $R_2_{x}$ $_Mn^{4+}$ $_{9­x}$ $O_{18}$ $.$n$H_2O$(x=0.81∼1.28, 평균 1.0)에 따라 계산하면(Z $n_{0.78}$$Na_{0.15}$C $a_{0.08}$M $g_{0.01}$ $K_{0.01}$)($Mn^{4+}$ $_{3.98}$F $e^{3+}$ $_{0.02}$)$_{4.00}$ $O_{9}$ $.$3.85$H_2O$가 되며, 이상적으로는(Zn,Ca)$Mn^{4+}$ $_4$ $O_{9}$ $.$3.85$H_2O$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통상적인 스토이키오메트리 조성식인 $_Mn_4^{4+}$ $O_{9}$ $.$4$H_2O$와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치무석은 육방정계이고 단위포는 a=2.840 $\AA$, c=7.486 $\AA$이며 a:c = 1:2.636이다. 시차열분석에 의하면 65, 180, 690 and 102$0^{\circ}C$에서 흡열반응을 보인다. 적외선 흡수분광분석에 의하면 445, 500, 1630 and 3400 $cm^{1}$의 파장에서 흡수대가 나타난다.다.서 흡수대가 나타난다.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