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16}$(Palmitic acid)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6초

비정제 유채유의 산패에 미치는 금속이온의 영향 (Effect of Metal ion on Rancidity of Crude Rapeseed Oil)

  • 김연순;김윤수;남형근;서광엽
    • 환경위생공학
    • /
    • 제24권1호
    • /
    • pp.33-39
    • /
    • 2009
  •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 of metal ion and antioxidant on rancidity of crude rapeseed oil (CRO), $Fe^{2+}$, $Cu^{2+}$, $Co^{2+}$, $Ni^{2+}$, $Cr^{2+}$, $Sn^{2+}$, $Mn^{2+}$, $Zn^{2+}$, and antioxidants including BHA, Vitamin C, and Tocopherol were used. The specific gravity and refractive index of CRO were $0.92g/cm^3$ and 1.45, respectively. The chromaticities of light, red, and yellow in CRO were 88.6 and 98.7, respectively. Among various fatty acids, Oleic acid (C18:1) concentration was highest, 62.3% and Linoleic acid (C18:2) concentration was 19.16%. In the case of Linolenic acid (C18:3) and Palmitic acid (C16:0), they were 9.88 and 5.2%,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unsaturated fatty acids and saturated fatty acid were 92.2 and 7.8%, respectively. The degree of expediting rancidity of CRO was an order of $Fe^{2+}$> $Cu^{2+}$> $Cr^{2+}$> $Zn^{2+}$> $Ni^{2+}$> $Al^{2+}$> $Mn^{2+}$> $Mn^{2+}$> $Sn^{2+}$> $Co^{2+}$> $Li^{2+}$. Especially, when $Cu^{2+}$ and $Fe^{2+}$ was used, the peroxide value concentration was about 4.0 fold higher than non addition of them. The inhibition effect of rancidity of CRO using antioxidant with $Cu^{2+}$ and $Fe^{2+}$ was an order of BHA> Vitamin C> Tocopherol.

전자선 조사한 건조된 오징어와 문어에서 유도된 지방분해산물의 분석 (Analysis of radiation induced hydrocarbons by electron-beam irradiation in dried squid (Todarodes pacificus) and octopus (Paroctopus dofleini))

  • 홍영신;류근영;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1-387
    • /
    • 2014
  • 식품의 방사선 조사는 식품 저장을 위한 성공적인 현대기술의 하나이지만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조사된 식품의 확인은 국제무역에서 소비자의 안전한 선택과 보호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조된 오징어와 문어에 전자선을 조사하여 선량별로 유도 생성되는 hydrocarbon류의 함량 및 분해패턴을 확인하였다. 비조사 시료와 선량별로 전자선 조사된 시료에서 지방을 추출한 뒤 solid phase extraction(SPE)방법을 이용하여 GC/MS로 확인하였다. 1, 3, 5, 7 및 10 kGy의 선량으로 전자선 조사된 건조 오징어와 문어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는 동일 선량에서 시료들의 지방산 조성에 따른 다른 생성률을 나타내었으며,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시료들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로부터 생성된 1-tetradecene($C_{14:1}$), pentadecane($C_{15:0}$), 그리고 1-hexadecene($C_{16:1}$), heptadecane($C_{17:0}$)이 전자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주요 hydrocarbon류로 확인되었으며, 건오징어에서 hydrocarbon류 생성량이 건문어의 hydrocarbon류 생성량 보다 더 많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료의 지방산 함유량에 따라 hydrocarbon류 생성량이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전자선 조사된 건오징어와 건문어에서 분석된 hydrocarbon류 중 1-tetradecene($C_{14:1}$), 1-hexadecene($C_{16:1}$) 그리고 heptadecane($C_{17:0}$)은 전자선 조사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제주재래돼지와 듀록 참조축군에서 Melanocortin 4 Receptor (MC4R) 유전자형과 지방산 조성간의 관련성 분석 (Association of Melanocortin 4 Receptor (MC4R) Genotypes with Fatty Acid Compositions in an Intercross Population between Duroc and Jeju Native Pigs)

  • 강용준;김상금;김수연;신문철;우제훈;김남영;신상민;최재영;유지현;박남건;양병철;조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8-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제주재래돼지와 듀록 품종 사이에서 생산된 F2 참조축군에서 melanocortin-4-receptor (MC4R) 유전자형과 지방산 조성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전체 290 여두의 F2 자손을 이용하여 14개의 지방산 조성을 측정하였다. Taq I PCR-RFLP 방법을 이용하여 MC4R c.1426A>G (p.Asp298Asn)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을 확인하였다. MC4R 세 가지 유전자형(AA, AB, BB)이 모두 발견되었고, 그 빈도는 각각 0.299, 0.542, 0.159로 확인되었다. AA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에서 palmitic acid (C16:0, p<0.05), stearic acid (C18:0, p<0.01), eicosenoic acid (C20:1n9, p<0.05), saturated fatty acid (SFA, p<0.01) 함량이 GG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GG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는 linoleic acid (C18:2n6, p<0.001), linolenic acid (C18:3n3, p<0.001), linolenic acid (C18:3n6, p<0.001), arachidonic acid (C20:4n6, p<0.001)과 같은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함량이 AA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보다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제주재래돼지와 듀록 품종 사이에서 생산된 F2 참조축군에서 MC4R GG 유전자형이 포화지방산은 낮추고, 불포화지방산은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MC4R의 유전적 다형성이 듀록과 제주재래돼지 교배 프로그램에서 육질 향상과, 고기내의 지방산 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전적 표지 인자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강릉지역 시판 튀김음식의 지방산조성 및 산패에 관한 연구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of Commercial Deep-fat Fried Foods in Kangreung)

  • 황재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45-25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rancidity of commercial deep-fat fried foods in Kangreung. the 7 kinds of samples were purchased form snack corners in 3 markets at AM 10 and PM 6 o'clock.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of the deep-fat fried foods were determined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were analyzed. The range of acid value was 0.45∼1.79, that of peroxide value was 1.24∼8.64meq/㎏,and that of TBA value was 12∼140 in all samp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of all samples by purchasing time and kinds of samples. But there was not specific tendency by purchasing times in each sample. Most of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of the samples fried with meats or sea foods showed higher value than the that of samples fried with vegetables or seaweed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otal lipids in the deep-fat fried food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The major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C18 : 2) , oleic acid(C18 : 1) in order of content. Minor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C16 :0), linolenic acid(C18 : 3), stearic acid (C18 : 0) in order of content. the P/S ratio was the range of 2.12/1∼4.71/1 and the that of the samples fried with meats was the highest among samples. so there was the same tendency in this result between the chemical properties(acid value, peroxide value, TBA Value) and fatty acid composition. As a result of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in this study, the commercial deep-fat fried foods in Kangreung was safety.

  • PDF

굴비의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마늘과 양파즙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on Fatty Acid Compositions and Lipid Oxidation in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 신미진;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37-1342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굴비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의 상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물간법을 이용하여 굴비를 가공할 때 상승효과를 위해서 10% 양파즙, 10% 마늘즙, 또는 양파즙과 마늘즙을 동량혼합한 것을 10% 첨가하고 12일간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TVB-N, TBARS, TMA, 총균수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으로 처리한 제품에서의 TVB-N 값은 88.2 mg/100 g, TMA와 TBARS는 각각 14.13 mg/100 g과 3.1$\mu$mol/kg으로 여러 처리구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굴비의 지방산 조성은 30일간 저 장하면서 생조기, 염장조기,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을 처리한 염장조기에 대하여 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생조기와 굴비 모두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32∼35%로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palmitic acid로 21∼23%였다. 불포화지방산 중 이중결합이 1개인 monoenes의 비율은 39∼45%범위로 ole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생조기는 14%였으나 5일 건조한 것은 15∼19%로 나타났다. 저장 30일째 $\omega$-3계 지방산인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에 있어서 염장 않은 굴비는 7.37%와 3.71%를 보여 주었으나, 물간법에 의한 굴비는 9.46%와4.08%, 마늘 양파 혼합즙액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제조된 굴비에서는 9.91%와 4.25%로 높게 나타났다.

경립종 옥수수의 성장과정에 따른 지질변화 I. 비극성 지질에 대한 연구 (Changes of Lipids in Flint Corn by a Growth Process I. A Study on the Non-Polar Lipid)

  • 김덕진;전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7-472
    • /
    • 1991
  • 본 논문은 외측이 단단한 초자질 성분으로 둘러 싸여 충해를 받지 않고 저장이 용이하며, 대부분 식용하고 있는 경립종 옥수수(flint corn)를 파종하여 성장과정에 따른 지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Pollen의 접합후 줄기와 잎 사이로 어린 순이 돌출한 후 부터 A(15), B(20), C(25), D(30) 일의 4단계로 구분, 채취하여 각각의 일반 성분을 조사했으며, chloroform : methanol(2 : 1, v/v)로 지질 성분을 추출한 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비극성 지질과 극성 지질을 분획한 다음, TLC, GC로 비극성 지질의 조성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은 2.74%에서 4.43%로 증가를 보였으며 분획된 지질 중 중성지질은 48.5%에서 86.02%로, 인지질은 1.01%에서 2.73%로 증가를 나타냈으나, 당지질은 1.01%에서 2.73%로 증가를 나타났으나, 당지질은 50.4%에서 11.25%로 큰 감소를 나타냈다. 지질 성분은 중성 지질에서는 monoglyceride, 1, 3-diglyceride, free fatty acid, triglyceride, cholesteryl ester가 분리.동정되었으며, 그 함량순은 cholesteryl ester(58.5~63.6%), triglyceride(16.7~21.5%), 1, 3-diglyceride monoglyceride(1.1~3.7%) 그리고 free fatty acid(2.3~4.2%)로 나타났으며 각 지방질 분획 중 중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linoleic(48.9~61.0%), oleic(22.3~34.2%), palmitic(10.3~11.7%) acids였으며, 그의 stearic, linolenic acids 등이 미량 검출되었고, 불포화 지방산과 포화 지방산의 비는 5.87~6.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립종 옥수수의 물리.화학적 특성 중 비중은 0.920, 굴절률은 1.468, 비누화값은 191.2, 비비누화물은 0.97%, 산값은 0.58, 요오드값은 124.6을 나타냈다.

  • PDF

Non Destructive Fast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in Sesame

  • Kang, Churl-Whan;Kim, Dong-Hwi;Lee, Sung-Woo;Kim, Ki-Jong;Cho, Kyu-Chae;Shim, Kang-B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83-291
    • /
    • 2006
  • To investigate seed non destructive and fast determination technique utiliz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for screening ultra high oleic (C18:1) and linoleic (C18:2) fatty acid content sesame varieties among genetic resources and lines of pedigree generations of cross and mutation breeding were carried out i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150 among 378 landraces and introduced cultivars were released to analyse fatty acids by NIRs and gas chromatography (GC). Average content of each fatty acid was 9.64% in palmitic acid (C16:0), 4.73% in stearic acid (C18:0), 42.26% in oleic acid and 43.38% in linoleic acid by GC. The content range of each fatty acid was from 7.29 to 12.27% in palmitic, 6.49% from 2.39 to 8.88% in stearic, 12.59% of wider range compared to that of stearic and palmitic from 37.36 to 49.95% in oleic and of the widest from 30.60 to 47.40% in linoleic acid. Spectrums analyzed by NIRs were distributed from 400 to 2,500 nm wavelengths and varietal distribution of fatty acids were appeared as regular distribution. Varietal differences of oleic acid content good for food processing and human health by NIRs was 14.08% of which 1.49% wider range than that of GC from 38.31 to 52.39%. Varietal differences of linoleic acid content by NIRs was 16.41% of which 0.39% narrower range than that of GC from 30.60 to 47.01%. Varietal differences of oleic and linoleic acid content in NIRs analysis were appeared relatively similar inclination compared with those of GC.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PLSR) among multiple variant regression (MVR) in NIRs calibration statistics was carried out in spectrum characteristics on the wavelength from 700 to 2,500 nm with oleic and linoleic acids. Correlation coefficient of root square (RSQ) in oleic acid content was 0.724 of which 72.4 percent of sample varieties among all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570 percent of standard error when calibrated (SEC) which were considerably acceptable in statistic confidence significantly for analysis between NIRs and GC. Standard error of cross validation (SECV) of oleic acid was 0.725 of which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725 percent standard error among the samples of mother population between analyzed value by NIRs analysis and analyzed value by GC. RSQ of linoleic acid content was 0.735 of which 73.5 percent of sample varieties among all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643 percent of SEC. SECV of linoleic acid was 0.711 of which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711 percent standard error among the samples of mother population between NIRs analysis and GC analysis. Consequently, adoption NIR analysis for fatty acids of oleic and linoleic instead that of GC was recogniz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NIRs and GC analysis through not only majority of sample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negligible SEC but also SECV. For enlarging and increasing statistic significance of NIRs analysis, wider range of fatty acids contented sesame germplasm should be kept on releasing additionally for increasing correlation coefficient of RSQ and reducing SEC and SECV in the future.

에멘탈치즈의 숙성 중 유기산과 유리지방산의 변화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Free Fatty Acids During the Ripening of Emmental Cheese)

  • 신용국;오남수;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28-9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파일럿 스케일의 에멘탈치즈를 제조하였으며, 치즈제조 과정에서 PAB를 첨가하지 않은 치즈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숙성 중 lactic acid의 대사와 지방의 가수분해에 의한 화학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에멘탈치즈의 숙성 중 lactic acid는 최초 9.39 g/kg에서 숙성종료(90일)까지 2.56 g/kg으로 감소하였으며, 1.48 g/kg의 acetic acid와 6.11 g/kg의 propionic acid를 생성하였다. 반면 대조군은 숙성 종료일(90일)에 lactic acid의 함량이 15.96 g/kg까지 증가하였으며, acetic acid와 propionic acid는 각각 0.25 g/kg과 0.09 g/kg이 생성됨에 따라 에멘탈치즈가 숙성 중 PAB에 의한 propionic acid 발효특성을 확인하였다. 숙성 중 유리지방산 분석 결과 숙성 종료일(90일)에 에멘탈치즈의 총 유리지방산 함량은 6,628.2 mg/kg이었으며, 대조군의 총 유리지방산 함량은 1,605.4 mg/kg으로서 에멘탈치즈에 사용된 PAB가 높은 지방분해력을 보였다. 또한 에멘탈치즈에서 유리된 지방산의 조성은 숙성 중 LCFFA(C14:0-C18:2)가 높은 비율을 차지 하였으며, 이 중 palmitate(C16:0), stearate(C18:0) 및 oleate(C18:1)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omposition of the Longissimus Muscle from Entire and Castrate Elk in Korea

  • Kim, Sang-Woo;Kim, Kwan-Woo;Park, Seong-Bok;Kim, Myung-Jick;Yim, Dong-Gy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5호
    • /
    • pp.709-715
    • /
    • 2016
  •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chemical composition as well a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longissimus muscle from Korean entire and castrate elk. Twelve elk stags were raised and fed on concentrate with ad libitum hay. All animals were equally divided into castrated and non-castrated (entire) males, and slaughtered at 5 year of age. It was found that entire elk, in comparison with castrate elk, had higher content of moisture and lower content of fat (p<0.05). Compared with entire males, the castrates had lower pH and shear force values (p<0.05). However, castrates had higher $L^*$, $a^*$, and $b^*$ values compared with entires (p<0.05). An analysis of the fatty acid profile revealed that the muscles of entire and castrate elk had the most abundant concentrations of the following fatty acids: palmitic acid (C16:0) of the saturated fatty acid, and oleic acid (C18:1n-9)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 The entire elk contains higher proportions of linoleic acid (C18:3n6), eicosenoic acid (C20:1n9), and arachidonic acid (C20:4n6) (p<0.05). Cholesterol content in elk was not affected by castration. The predominant free amino acid was glutamic acid related to umami taste. It is apparent that the castrate animals carried higher content of histidine, isoleucine, and leucine than those of the entire group (p<0.05). In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venison quality of elk is affected by castration and these results can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venison production.

파밤나방 유충의 조직별 지방산 구성과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의 역할 (Fatty Acid Composition of Different tissues of Spodoptera exigua Larvae and a Role of Cellular Phospholipase A2)

  • 김용균;이승희;서승환;김건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29-138
    • /
    • 2016
  • 아이코사노이드는 탄소수 20 개의 다가불포화지방산 산화물로 구성된다. 이들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생합성 전구물질을 탐지하기 위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서로 다른 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을 분리하여 GC/MS로 조성을 분석하였다. 파밤나방 5령 유충에서 소화관, 지방체, 혈구 및 체벽을 분리하고, 각 조직에서 지질을 추출하여 각각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조직은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 그리고 linolenic acid (18:3)를 주요 지방산으로 함유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방산의 조성은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지방체와 혈구세포는 이들 주요 지방산 이외에 myristic acid (14:0)와 3 종류의 미동정 지방산들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서로 다른 지질 종류 가운데 인지질은 중성지질이나 당지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linolenic acid를 지닌 반면 포화지방산의 함유량은 낮았다. 전체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도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인지질은 지방체, 혈구 및 소화관에서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을 나타냈다.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인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_2$ ($iPLA_2$)는 지방산 조성을 조절하는 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유전자의 RNA 간섭은 중성지질과 인지질에서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의 전구물질로 여겨지는 아라키도닉산을 검출하지 못했다. 이는 곤충에 있어서 아이코사노이드는 포유동물과는 다른 새로운 생합성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