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RP3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1초

소의 도체, 육질형질과 CSRP3, ACOX1 유전자들과의 상관관계 (Association of Bovine CSRP3 and ACOX1 Genes with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 이종관;조용민;이준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231-238
    • /
    • 2010
  • There is no investigation has yet been conducted for ACOX1 and CSRP3 gene polymorphisms in Korean cattle (Hanwoo),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this study, SNPs in ACOX1 and CSRP3 genes were identified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were investigated in 227 Hanwoo animals. Two SNPs (g.224G> A and g.19491G>A) in ACOX1 gene and one SNP (g.14859C>T) in CSRP3 gene were identified in Hanwoo and seque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ese SNPs were located in the coding regions. The allele frequencies of ACOX1 g.224G>A and g.19491G>A SNPs were 0.57, 0.43, and 0.56 and 0.44, respectively, For CSRP3 g.14859C>T polymorphism, the C and T allele frequencies were 0.64 and 0.36, respectively. The Hanwoo cattle were used to detect PCR-RFLP patterns for estimating the allele frequencies. Single marker associ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between genotype of each SNP, and carcass and meat quality association trait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in Hanwoo. The g.224G>A SNP genotypes of ACOX1 gene, whic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at quantity grade at slaughter (P<0.03) and backfat thickness tended to be greater (P=0.06) in Hanwoo. The previously identified g.14859C>T SNP was used in this study and the obtained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are almost similar with the previous results reported by Bhuiyan et al. (2007).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g.19491G>A SNP in the ACOX1 and g.14859C>T SNP genotypes of CSRP3 gene and considered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conclusion, the information on the identified SNPs in CSRP3 and ACOX1 genes could be useful for further association study and haplotype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carcass and meat quality traits in Hanwoo.

소의 CSRP3, APOBEC2, Caveolin 유전자들의 단일염기다형 분석 (Analysis of SNPs in Bovine CSRP3, APOBEC2 and Caveolin Gene Family)

  • 삼술부이얀;유성란;김관석;윤두학;박응우;전진태;이준헌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719-728
    • /
    • 2007
  • CSRP3, APOBEC2, CAV1, CAV2 및 CAV3 유전자들은 포유동물에서 도체와 육질 형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유전자들의 단일염기다형(Single nucleotide poly- morphism; SNP)을 8개의 다른 소의 품종에서 확인한 결과 coding region에서 caveolin family 유전자에서 9개의 SNP, CSRP3유전자에서 1개의 SNP 및 APOBEC2 유전자에서 3개의 SNP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 coding region의 SNP들은 PCR-RFLP 방법에 의해 재확인하였으며 이들 유전자의 intronic region에서도 9개의 SNP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8개의 다른 품종 소에 각 유전자들의 SNP들을 이용하여 유전자 빈도를 확인한 결과 CAV2, CAV3, CSRP3 및 APOBEC2 유전자의 SNP 중에서 5개가 품종간에서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SNP들은 차후 검증작업을 통하여 육질관련 형질 마커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항성 운동이 골격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Beadarray 분석 (Effect of Resistance Training on Skeletal Muscle Gene Expression in Rats: a Beadarray Analysis)

  • 오승렬;오상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6-12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항성 운동 후 골격근에서 저항성 관련 유전자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총 32두의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분양 받은 후 4주차 통제군(4 wks CON, n=8), 8주차 통제군(8 wks CON, n=8), 4주차 운동군(4 wks REG, n=8), 8주차 운동군(8 wks REG, n=8)으로 집단을 분류하였다. 저항성 운동군은 꼬리에 무게를 달고 동물용 사다리(1-m vertical, 85 degree incline)를 오르는 저항성 사다리 운동을 1회 10번, 주당 3일, 4주와 8주간 점증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골격근 조직은 저항성 운동 후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FHL)을 적출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적출한 골격근에서 total RNA를 분류한 후, 대규모 유전자 발현분석을 위하여 Illumina RatRef-12 Expression BeadChip을 이용한 Beadarray를 시행하였으며, Beadarray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qPCR (real-time quantitative PCR)를 실시하였다. 유의성 검증은 Beadstudio software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Beadarray 데이터 중 Detection p-value to <0.01, M-value {M= $log_2$ (condition)-$log_2$ (reference)} to >1.0, DiffScore to >20인 유전자만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유전자로 선택하였다. 4주차 저항성 운동 후 통제집단에 비해 2배 이상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는 30개였으며, 6개의 유전자가 감소하였다. 8주차 저항성 운동 후에는 5개의 유전자가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12개의 유전자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유전자를 포함한 저항성 운동과 근비대와 관련 후보 유전자를 도출하였다; 1) 세포 성장 조절(IGFBP1, PLA2G2A, OKL38); 2) 근육발생(CSRP3); 3) 조직 재생과 근육 발달(MUSTN1, MYBPH); and 4) 비대 모델(CYR61, ATF3, NR4A3); and 5) 당대사(G6PC, PCK1). 이러한 연구결과는 차후 저항성 운동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학적 변인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