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E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Optoelectronic OLED Modeling for Device Optimization and Analysis

  • Ruhstaller, Beat;Flatz, Thomas;Moos, Michael;Kiy, Michael;Beierlein, Tilman;Kern, Roland;Winnewisser, Carsten;Pretot, Roger;Chebotareva, Natalia;Schaaf, Paul Van Der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2호
    • /
    • pp.1099-1102
    • /
    • 2007
  • PDF

Marine CSEM의 최근 기술 개발 및 적용 사례 (A Review on Recen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s)

  • 송윤호;김희준;설순지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특별 심포지엄 논문집
    • /
    • pp.87-100
    • /
    • 2007
  • Marine controlled source electromagnetics (CSEM) or sea bed logging (SBL) is an emerging technology which can provide quantitative information on hydrocarbon reservoir embedded in marine sediment. Electromagnetic responses to the resistive formation saturated with a certain amount of hydrocarbon can be characterized by less attenuated profile otherwise exponentially attenuated fields in conductive sea water or through sediments, and thus can be regarded as a direct indicator of hydrocarb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technology of marine CSEM in terms of it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n comparison of typical three-dimensional (3-D) seismic method. History and evolution of commercial marine CSEM are also briefly summarized. We then introduce a representative case history showing how marine CSEM works in reality. Outlook of future applications and technical advances to be made are discussed. Finally, we demonstrate a test example of 2.5-D inversion of synthetic data as the groundwork of 3-D inversion of field data that is to be the ultimate goal of technical development.

  • PDF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양상 도출을 위한 해양 전자탐사 자료의 겉보기 비저항 계산 (Computation of Apparent Resistivity from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Data for Identifying the Geometric Distribution of Gas Hydrate)

  • 노규보;강서기;설순지;변중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5권2호
    • /
    • pp.75-84
    • /
    • 2012
  • 해양 전자탐사의 겉보기 비저항은 해수층으로 인해 지표탐사와 그 정의가 달라지게 되며, 이를 적절히 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듬의 개발은 해양 전자탐사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1차원 층서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치모형과 해수층과 그 하부의 반 무한매질로 이루어진 수치모형에서 계산한 전자기적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겉보기 비저항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실수와 허수 성분보다는 진폭과 위상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였으며 해양 전자탐사 반응의 민감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근거리 영역에서는 위상이 원거리 영역에서는 진폭 성분이 더 안정적인 결과를 주는 것을 알았다. 또한 위상과 진폭의 선택기준으로써 유도상수의 값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격자 탐색법(grid search)을 사용하여 겉보기 비저항을 계산하는 수치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1차원 층서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치모형의 다양한 변수를 변화시켜가며 겉보기 비저항을 계산해봄으로써 알고리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산한 겉보기 비저항 값을 이용한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양상 정보의 도출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동해 울릉분지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양상을 모사한 2차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치모형에서 계산된 자료의 겉치레 단면도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부존양상 정보 추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Cryo-Methods와 Cryo-SEM을 이용한 Cyanobacteria, Synechocystis sp. PCC 6803 미세구조 관찰 (Observations of the Cyanobacteria Synechocystis sp. PCC 6803 using Cryo-Methods and Cryo-SEM)

  • 이은주;문윤정;오현우;김수진;정영호;권희석;김윤중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65-72
    • /
    • 2009
  • Cryo-SEM은 수분을 함유하거나 액상 시료를 동결된 상태로 관찰하는 방법으로 rapid cooling, fracturing, sectioning, etching, coating과 같은 다소 복잡한 여러 과정의 전처리(Cryo-methods) 로 구성된다. 각 과정에서는 분석 목적이나 시료 특성(예: 시료크기, 물 함량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조건을 설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ryo-SEM을 이용하여 남세균 (cyanobacteria, Synechocystis sp. PCC 6803)의 표면 및 내부 구조 관찰을 위한 etching time과 시료 처리에 관하여 살펴보았고 cryo-methods로 처리한 후 cryo-SEM으로 관찰한 이미지를 화학 고정한 일반 SEM(CSEM) 결과와 비교하였다. 관찰 결과, 화학 고정한 CSEM에서는 Synechocystis sp. PCC 6803 표면에 존재하는 pili가 잘 관찰되지 않았으며 파단된 내부 구조의 이미지를 얻을 수 없었으나 cryo-methods/cryo-SEM에서는 세포 표면의 pili 및 membrane의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수화 상태에 따라 구조변형이 일어나는 biofilm의 구조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ryo-methods/cryo-SEM은 수분을 함유하는 의생물 시료의 형태 구조를 분석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탄화수소 탐지를 위한 해양 인공송신원 전자탐사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Surveys for Hydrocarbon Exploration)

  • 김희준;한누리;최지향;남명진;송윤호;서정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9권2호
    • /
    • pp.163-170
    • /
    • 2006
  • 탄화수소 확정매장량의 부족으로 인해, 주로 육상이나 천해에서 수행되던 탄화수소 탐사는 점차 대륙붕을 넘어 깊은 바다까지 확대되고 있다. 심해에서도 탄성파 자료의 획득이 가능하지만, 탄산염암, 화산암 등이 분포하는 해저지층, 해저 영구 동토 지역 등과 같이 탄성파의 반사 강도가 강하고 산란이 심한 지층에서 얻은 자료는 지층의 분석이 쉽지 않기 때문에 보완 탐사가 필요하다. 탄화수소의 전기비저항이 높은 특성으로 인하여 전자탐사로 그 부존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해양 인공송신원 전자탐사는 석유 탐사의 보완적인 방법의 하나로써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탐사 방법은 천해지역보다 오히려 심해지역에서 더 높은 감도를 얻을 수 있어서 특히 심해지역의 보완 탐사로 유용하다. 여러 석유회사에서 전자탐사가 보완 탐사로 유용함을 인식한 지는 불과 5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시추 지역 선정에도 전자탐사를 이용하고 있다. 전자탐사는 도입 초기부터 매우 훌륭한 결과를 얻었으며, 최근에는 여러 회사에서 탄화수소 탐사를 위해 자기지전류탐사나 전자탐사를 수행하고 있다.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유역기반의 PMF 및 유사-유출량 산정 (Watershed-based PMF and Sediment-runoff Estimation Using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 유완식;이기하;김영규;정관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2호
    • /
    • pp.1-11
    • /
    • 2018
  • Probable Maximum Flood (PMF) is mostly applied for the designs of large-scale hydraulic structures and it is estimated by computing the runoff hydrograph wher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is inserted as design rainfall. The existing PMP is estimated by transferring the heavy rainfall from all watersheds of korea to the design watershed, however, in this study, PMP was analyzed by selecting only rainfall events occurred in the design watershed. And then, Catchment-scale Soil Erosion Model (CSEM) was used to estimate the PMF and sediment-runoff yield according to the watershed-based estimated PMP. Although the PMF estimated in this study was lower than the existing estimated PMF in the Yongdam-dam basin, it was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e 200-year frequency design flood discharge. In addition, sediment-runoff yield was estimated with a 0.05 cm of the maximum erosion and a 0.06 cm of the maximum deposition, and a total sediment-runoff yield of 168,391 tons according to 24-hour PMP duration.

유한차분법에 기초한 인공송신원 해양전자탐사 모델링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Surveys Based on Finite Difference Method)

  • 한누리;남명진;구본진;김희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5권2호
    • /
    • pp.66-7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인공송신원 해양전자탐사 자료의 정확한 해석을 위해 3차원 모델링 알고리듬을 개발하고, 복잡한 탄화수소자원 개발 환경에서 인공송신원 해양전자탐사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암염에 인접한 저류층 모형을 구성하고 그 반응을 계산 및 분석하였다. 모델링 알고리듬은 유한차분법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차 전기장 정식화를 도입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반응 계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알고리듬의 정확성은 2층구조 모형에 대해 해석해 및 기존의 3차원 모델링 알고리듬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다. 암염에 인접한 저류층 모형에서는 암염과 저류층 및 배경 매질의 경계에 존재하는 세 군데 송신원에 대한 전기장 및 자기장 반응을 파악하고, 배경매질의 반응으로 정규화한 전기장 및 자기장 반응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군데 송신원에 대한 반응을 종합하면 정규화된 전자기장 반응으로부터 지하의 고비저항 이상체의 개수와 각각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탄성파탐사를 통해 암염의 구조가 사전 정보로 알려졌다면 저류층의 존재를 밝힐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알고리듬은 향후 다양한 환경에서 인공송신원 해양전자탐사 자료의 반응 분석은 물론 역산 알고리듬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