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ICALLY ENDANGERED (C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전남지방에 분포하는 난대 자원식물 - 희귀특산 목본식물을 중심으로 - (Resoures Plants Distributed in the Warm-temperature Zone of Jeonnam Province)

  • 유한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3
    • /
    • 2019
  • 전남지역은 도서지역이 많고 지역적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는데 이중 희귀특산식물은 217종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에서 난대림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목본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을 중심으로 지리적 분포위치와 생육상태 등을 보고하고자 한다. 전남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종(CR)은 35종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목본식물은 초령목(신안), 섬다래(완도), 조도만두나무(진도), 덩굴옻나무(여수), 거문도닥나무(고흥, 여수)등이 비교적 양호하게 자생하고 있다. 위기종(EN)은 37종에서 목본식물은 왕자귀(목포, 무안), 백서향(신안), 나도은조롱(완도), 박달목서(여수, 신안) 등이 자생하고 있다. 취약종(VU)은 54종으로 목본식물은 백량금(완도, 신안), 황근(완도), 붓순나무(진도), 모감주나무(완도), 산닥나무(영암, 진도)등이 자생하고 있다. 약관심종(LC)은 36종으로 목본식물은 검팽나무(여수), 이팝나무(완도, 고흥), 녹나무(완도, 진도), 털조장나무(보성) 등이 양호하게 자생하고 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hreatened vascular plants and the human population in Japan

  • Hayashi, Naoki;Watanabe, Eriko;Matsuda, Hiroyuk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331-341
    • /
    • 2012
  • Using data sets for Japan as a whole, as arranged with approximately $10{\times}10$ km squares (a secondary gri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density and the habitats of threatened vascular plants listed in the Japanese Red Data Book; depopulated areas in the present and future, areas where under-use may be serious, and those with a predominance of elderly people;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habitats in terms of a characteristic land use pattern. Regarding the habitats of threatened vascular plants, the progress of deterioration [$(N_{CR}+N_{EN})/(N_{CR}+N_{EN}+N_{VU})$] in depopulated areas has been confirmed, where $N_{CR}$, $N_{EN}$, and $N_{VU}$ are the numbers of species classified as critically endangered, endangered, and vulnerable, respectively. Moreover, in grid squares used by a human such as farmland, the progress of the deterioration simply increases when population density becomes low. However, for many vascular plants, they are particularly endangered in populous areas. Local populations will decrease throughout Japan with the rate of depopulation in and around large cities being relatively slow. We also propose some issues that need further study. The deterioration by human activity may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some vascular plants may be adversely influenced by depopulation. Additionally, we should keep a close watch on grasslands and water areas in large cities to preserve vascular plants.

울릉도의 관속식물상 (A florisitic study of Ulleungdo Island in Korea)

  • 양선규;장현도;남보미;정규영;이로영;이재현;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92-212
    • /
    • 2015
  • 울릉도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을 위해 2007년부터 2011년에 걸쳐 총 55일간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 93과 313속 462종 6아종 52변종 4품종 등 총 49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IUCN 기준에 따른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 9분류군, 위기종(EN) 6분류군, 취약종(VU) 12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1급 1분류군, 2급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71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울릉도 특산식물은 3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귀화식물은 6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상추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관속식물 IUCN 적색목록 평가와 문제점 (An Assessment and Review of IUCN Red List for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 장진성;김혜원;김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2호
    • /
    • pp.111-120
    • /
    • 2017
  • IUCN의 적색목록은 전 세계 규모에서 가장 신뢰받는 멸종, 희귀 동식물종의 평가와 보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16년 7월까지 한반도에 분포하는 식물중 IUCN 적색목록 평가를 받은 종은 236종으로, 5종이 멸종위기종(CR), 20종이 위기종(EN), 9종이 취약종(VU)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189종은 약관심종(LC)으로 평가되었다. 환경부는 2011년 국가적 색목록 평가라는 명목 하에 IUCN 적색목록과 내용, 형식이 다른 정성적 기준에 따라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환경부는 멸종위기종 I급과 II급 목록을 57종으로 수정 제시하였다. 이 목록은 IUCN의 적색목록과 비교시 일부 공통종이 있으나 공통종도 보전상의 지위가 일치하지 않는다. 이런 평가 내용의 불일치의 이유는 남한이라는 제한된 지역 수준의 평가로는 전 세계 규모의 평가와는 결과가 일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평가에 필요한 정보가 부실하게 제시되거나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자의적 평가가 이루어진 경우도 있다. 국가 단위의 종 관리를 위해서는 멸종과 절멸에 대한 엄밀한 용어 적용과 남한에 국한된 제한적 시각의 편향된 결과를 배제하고, 분류학적 실체에 근거한 종 선정, 평가를 위한 개체군의 크기, 분포, 개체수, 개체군 증감에 대한 구체적 자료 제시와 수집이 필요하다. 환경부의 현재 멸종위기동식물 목록은 '국내절멸위기목록'으로 변경하고, 전 세계 단위의 IUCN적색목록 평가종을 '멸종위기목록'으로 이원화해서 관리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가 기관에서 제시하는 몇 백 종의 과도한 목록 보다는 우선 평가 대상의 종을 순차적으로 늘려가면서, 평가 및 종관리에 내실을 다지는 것이 필요하다.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인 광릉요강꽃의 개체군 구조 및 지속성 (Stage Structure and Population Persistence of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 Rare and Endangered Plants)

  • 이동형;김소담;김휘민;문애라;김상용;박병배;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48-557
    • /
    • 2021
  •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 Thunb.)은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동아시아 특산식물로, 지구 수준의 IUCN Red List "위기(Endangered, EN)"로 평가되며, 한국의 국가 Red List에서는 "멸종위기(Critically Endangered, CR)"에 포함된다. 본 연구는 광릉요강꽃 자생지에서 7년 동안 수행된 개체통계학적(demographic)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개체군 구조 및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개체군의 지속성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광릉요강꽃은 국내 7개 지역(포천, 가평, 화천, 춘천, 영동, 무주, 광양)에서 자생지가 관찰되었고, 15개 아개체군에 4,356개체가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체군 크기 및 구조는 지역별로 상이하였으며, 인위적 관리가 개체군 크기 및 구조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7년 동안 개체 수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 광릉요강꽃의 개체군 생존력(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VA)은 지역별로 다양한 경향을 보였다: 향후 1세기 안에 멸절할 가능성은 포천 0.00%, 광양 10.90%, 춘천 24.05%, 화천 79.50%로 예측되었다. 모니터링이 수행된 위 연구지역은 현지 내 보호시설로 인위적 출입을 제한하고 있어 광릉요강꽃의 최대 위협요인인 인위적 남획 변수가 개체군 생존력에 반영되지 않았다. 즉, 실질적인 멸절 위험도는 본 연구에서 추정된 값보다 현저하게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광릉요강꽃 개체군의 멸절위험도의 객관적 판단을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위협요인이 있는 여러 지역의 개체군 정보가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국내·외로 광릉요강꽃 개체군에 대한 개체통계학적 모니터링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Vascular Plant Diversity of Jeju Island, Korea

  • Kim, Chan-S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8-570
    • /
    • 2009
  • The vascular plants in Jeju composed of 21 families 62 genera, 190 species, 7 varieties with 197 taxa in Pteridophyta, 3 families 5 genera, 7 species, 3 forma with 10 taxa in gymnosperm (Coniferophyta) and 143 families 703 genera, 1,622 species, 114 varieties and 47 forma with 1,783 taxa in Endospermae. The total number of taxa was 1,990 consisting 167 families, 770 genera, 1,818 species, 121 varieties and 50 forma. Three families, 4 genera 4 species and 1 variety in Pteridophyta and 1 family, 1 genus I species, 1 forma of Coniferophyta were endemic to Jeju. Five families, 8 genera and 8 species in the Monocotyledonae of Endospermae and 23 families, 32 genera, 21 species, 16 varieties and 7 forma and 44 taxa in Cholipetalae, and 9 families, 24 genera, 12 species, 13 varieties and 7 forma, total 32 taxa in Sympetalae were endemic to Jeju. Total 90 taxa with 41 families, 69 genera, 46 species, 29 varieties and 15 forma were drawn up as endemic plants in Jeju. As the numbers show on, Jeju has more biodiversity especially plant diversity than any other places in Korea. It was an important region in regard to geographical position. The rarity on plants from Jeju has been assessed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at both regional and global levels. There was one species in each extinct (EX) and extinct in the Wild (EW). The EX and EW species were Rhododendron saisiuense Nakai (Ericaceae) and Asplenium antiquum Makino (Aspleniaceae), respectively. Three taxa, Rhododendron dauricum L. (Ericaceae), Lycopodium sieboldii Miq., and Lycopodiella cernua (L.) Serm (Lycopodiaceae) were species that is extinct in the region (RE). Sixty-one taxa were critically endangered (CR), 13 were endangered (EN), and 83 were vulnerable (VU) at regional level. The taxa listed on a Red List corresponds 26.9% of total taxa in Jeju. At global level, there were 19 taxa in CR, 4 in EN, and 1 in VU (Vulnerable) as the category of threat. The rest taxa (133 taxa) were classified as Least Concern (L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conservation measures must be taken for total of 157 species that were categorized in threaten including one of EX, one of EW and three extinct in the region immediately. Of 157 species, 61 were CR, 13 are EN and 83 were VU.

한국 제주도 한란의 생태 진단에 기초한 보전 및 서식지 복원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servation and Habitat Restoration Based on Ecological Diagnosis for Cymbidium kanran Makino in Jeju Island, Korea)

  • 정지영;신재권;김한결;변준기;피정훈;구본열;박정근;서강욱;이철호;손성원;김준수;조현제;배관호;오승환;김현철;강승태;조용찬
    • 생태와환경
    • /
    • 제49권1호
    • /
    • pp.11-21
    • /
    • 2016
  • 한란은 불법 채취 및 서식 환경 변화에 의해 지속성 확보가 위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의 분포 변화, 개체군 및 자생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서식지 복원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제주도 일원의 한란 자생지 탐사를 통하여 확인된 27개의 한란 자생지를 대상으로 분포 면적의 변화, 개체군 및 자생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한란의 종 특성을 고려한 대체 서식지 조성 전략을 마련하였다. 조사된 한란은 제주도 해발 200 m~700 m 사이에 위치하였다. 2004년과 비교하여 한란의 분포 범위는 크게 감소 (-82%)하였다. 한란은 사면형 (예, 선돌지역) 및 계곡형 (예, 따라비오름) 서식지, 그리고 졸참나무 및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림 (선돌) 및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 모두에서 자라고 있어 특정한 서식 환경 선호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공중습도가 높은 계곡부에서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조사된 총 96개체의 한란의 평균 밀도는 942.6 개체 $ha^{-1}$로 조사되었고, 모두 소형(평균 잎 길이=$10.7{\pm}1.1cm$ 및 촉 수=$1.2{\pm}0.2$) 개체였으며, 개화 및 결실 개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주 한란은 멸종위기 (Critically Endangered, CR) 식물로 분류된다. 한란의 표현형 유연성 (Phenotypic plasticity)은 한란이 그늘진 서식지 환경에서 지속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의 닫힌 임과 및 낮은 광환경은 한란의 생활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한란 서식지 복원은 초지 또는 낮은 관목수종의 개방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Inhibitory effects of Kirengeshoma koreana Nakai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Jang, Tae-Won;Choi, Ji-Soo;Mun, Jeong-Yun;Im, Jong-Yun;Nam, Su-Hwan;Kim, Do-Wan;Lee, Seung-Hyun;Park, Jae-H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7-117
    • /
    • 2019
  • Kirengeshoma koreana Nakai (K. koreana)was Saxifragaceae and rare plants in Korea, which is classified as an Critically Endangered (CR) species in Korea. Therefore, most of the studies on it were ecological and taxonomic, and there are no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whitening activity of K. koreana extract (KKE).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were demonstrated by western-bot and RT-PCR for the effects of KKE on MITF, tyrosinase, TRP-1 and TRP-2 in IBMX-treated B16F10 melanoma cells. IBMX were reported as melanin synthesis enhancers. It could increase intracellular melanin synthesis by activation of th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signaling pathway. KKE showed no cytotoxicity at B16F10. In addition, KKE effectively inhibited the protein and mRNA levels of MITF, tyrosinase, TRP-1 and TRP-2. In conclusion, KKE inhibited melanin synthesi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MITF and its downstream pathways tyrosinase, TRP-1 and TRP-2.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K. koreana is a valuable resource for functional cosmetic and biomaterials.

  • PDF

무등산 지역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Mudeung)

  • 홍행화;장정원;선은미;김별아;김상준;서승룡;임형탁
    • 환경생물
    • /
    • 제31권2호
    • /
    • pp.121-153
    • /
    • 2013
  • 광주광역시 북구와 화순군 이서면, 담양군 남면의 경계에 접해 있는 무등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2009년 3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총 22회의 현지조사와 전남대 생물학과 표본실 (CNU)의 수장표본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123과 441속 668종 5아종 121변종 18품종의 총 816분류군의 분포가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모두 111종이 확인되었는데, 천마를 비롯한 V등급종 9분류군, 매미꽃 등 IV등급종 6분류군, III 등급종인 노각나무 등 21분류군, II등급종으로 석창포 등 18분류군, I등급종으로 청나래고사리 등 6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편 산림청지정 희귀식물로는 멸종위귀종 (CR) 으름난초 1종, 위기종 (EN)인 톱지네고사리, 깽깽이풀 2종, 취약종 (VU)으로 땅나리 등 8종의 희귀식물 총 12분류군의 자생지를 확인하였으며 키버들, 지리바꽃 등 한국특산식물 1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안면도(충청남도)의 관속식물상 (The Floristic Study of Is. Anmyeon (Chungcheongnam-do), Korea)

  • 이동혁;김현준;장창석;손동찬;한준수;박수현;장계선;오승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0-426
    • /
    • 2017
  • 충청남도 태안군에 위치한 안면도에 대한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6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해 확보된 석엽표본을 바탕으로 안면도의 관속식물 119과 400속 632종 5아종 73변종 7품종 등 총 7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확인된 관속식물 중,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 3분류군, 위기종(EN) 1분류군, 약관심종(LC) 6분류군, 취약종(VU) 7분류군 총 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먹넌출, 초종용 등 5분류군, IV등급에 맥문아재비, 왕김의털 등 13분류군, III등급에 모감주나무, 병풀 등 30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9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조사지역내에서 특산식물은 개나리와 태안원추리등의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개비름, 백령풀 등을 포함한 91분류군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