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X-1 activity

검색결과 681건 처리시간 0.029초

Aspergillus niger로 발효한 감귤과피 추출물의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Citrus unshiu Peels Fermented with Aspergillus niger)

  • 이선이;현주미;김상숙;박석만;박경진;최영훈;김상헌;유선녕;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50-7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감귤과피 발효를 실시하고, 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분말화시킨 온주밀감 과피에 Aspergillus niger를 첨가하고 5일간 진탕 배양하고 감귤발효물을 ethyl acetate로 추출하였다. 대조구는 발효 전 감귤과피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각 추출물의 성분변화는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neohesperidin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면서, 발효에 의해 compound 1, 2가 생합성되었다. 감귤발효 추출물의 항염 활성은 LPS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macrophage cell에서 확인하였다. 감귤발효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NO (Nitric oxide)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염증반응과 관련된 단백질 iNOS와 COX-2 의 발현도 감귤발효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감귤발효 추출물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alpha}$와 IL-6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감귤 과피의 flavonoid 배당체 화합물들을 aglycone 형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유효 생리활성 성분의 효능을 증대시켜 부산물로서 발생되는 감귤의 새로운 활용 방안으로 기대된다.

좁은잎천선과나무(Ficus erecta var. sieboldii) 잎 추출물이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에서 미치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icus erecta var. sieboldii Leaf Extract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정용환;함영민;윤선아;오대주;김창숙;윤원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3-311
    • /
    • 2018
  • 본 연구는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을 식의약품 소재 등 천연물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대한 예비 평가를 기술하였다. 좁은잎천선과나무는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항산화 및 항염증제 효과를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하기 위해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이 산화 스트레스(DPPH, xanthine oxidase and superoxide) 생성에 미치는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LPS로 활성화된 대식세포 RAW 264.7 세포에서 염증성 인자(NO, iNOS, COX-2, $PGE_2$, IL-6 and $IL-1{\beta}$)의 생성에 대한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좁은잎천선과 나무 잎 추출물의 용매분획물 중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산화 스트레스(DPPH, xanthine oxidase and superoxide)의 생성 감소가 있었고,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의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염증 유발인자(NO, iNOS, COX-2, $PGE_2$, IL-6, and $IL-1{\bet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TNF-{\alpha}$, IL-6, and $IL-1{\beta}$)의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좁은잎천선과나무 잎 추출물이 산화 스트레스 및 염증 유발 인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산화방지제 및 항염증제와 같은 천연물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큰개불알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기능성 평가 (The Functional Effects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of Veronica persica Poir. Extracts)

  • 박진천;남현화;난리;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61-676
    • /
    • 2018
  • 본 연구는 큰개불알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에서의 항염증 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 1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5.22 mg/g, 43.82 mg/g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200{\mu}g/mL$, $500{\mu}g/mL$ 농도에서 72.0%, 73.9%의 소거활성을 확인하였다. 환원력 측정 결과에서도 큰개불알풀 추출물의 환원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1000{\mu}g/mL$ 농도에서 53.0%의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세포독성 측정을 위한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 세포생존율 측정 결과, 큰개불알풀 추출물 $0{\sim}800{\mu}g/mL$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NO 생성 억제활성은 추출물 $800{\mu}g/mL$ 농도에서 NO 생성량이 80% 이상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증성 단백질인 iNOS와 COX-2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iNOS는 $800{\mu}g/mL$ 농도에서 LPS 처리군에 비해 50% 정도 억제되었다. LPS로 인한 $NF-{\kappa}B$ p65와 복합체 단백질인 $IkB-{\alpha}$의 인산화 수준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인산화 된 $NF-{\kappa}Bp65$$800{\mu}g/mL$ 농도에서 정상군과 같은 발현량을 보였다. 이와 같이 큰개불알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의 생리활성 평가를 통해 천연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유효성분 탐색 및 분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by Traditional Herb Mix Extract Improves MKN-74 Cell Survival and Reduces Stomach Bleeding in Rats by Ethanol and Aspirin in vivo

  • Kang, Young-Jin;Moon, Hyung-Suk;Kim, Hye-Jung;Seo, Han-Geuk;Lee, Jae-Heun;Chang, Ki-Chur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1권2호
    • /
    • pp.65-70
    • /
    • 2007
  • Chinese herb medicines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to treat or alleviate the symptom of various diseases. The rationale for use of certain herbs to certain disorder is now getting unveiled by modern technology.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herb mix extract(HMX), which is alleged to be useful for gastric ulcer, protects stomach from oxidative stress. Rats were allowed to normal diet with and without HMX (1, 5, 10 mg/kg) for 30 days. To induce gastric ulcer, ethanol (75%, 1.5 ml) or acidified aspirin (100 mg/kg in 0.2 N HCl) was administered by oral route in 24 h-fasted rats and examined the gastric ulceration(bleeding) by measuring the size 1 h after the treatment. Results indicated the area of gastric bleeding was significantly less in HMX fed rats than in normal diet fed ones, and it was dependent on the duration and amount of HMX.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HMX protects stomach from oxidative stress, expression of enzymes like heme oxygenase (HO), cyclooxygenase (COX), and inducible nitric oxide (iNOS) were investigated in MKN-74 cells, where aspirin or H. pylori was introduce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RAW 264.7 cells to check if there's cell specificities exist. The expression of HO-1 but not COX-2, iNO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HMX. Furthermore, HO-1 inhibitor, SnPP IX reduced the HO-1 activity and reversed the survival rate in HMX-treated MKN-74 cells. There's no difference between RAW 264.7 cells and MKN-74 cells. We, thus, concluded that HMX is beneficial for protection from oxidative injury, and induction of HO-1 by HMX in gastric cells is, at least, responsible for protection from oxidative stress such as ethanol, aspirin and possibly H. pylori infection.

연잎, 연자육, 연자방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Leaf, Seed, and Seedpod of Nelumbo nucifera)

  • 이은주;서유미;김용현;정정욱;성화정;손호용;박종이;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6-441
    • /
    • 2019
  • 연은 아시아 국가에서 음식과 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의 잎(leaf, NL), 자육(seed, NS), 자방(seedpod, NSP)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항염증 활성과 작용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들의 항염증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LPS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에서 nitric oxide (NO) 생산을 측정하였다. NL, NS, NSP는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농도의존적으로 NO의 생산을 현저하게 저해하였으며, iNOS 및 COX-2와 같은 pro-inflammatory 중재자들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NL, NS, NSP는 MAPKs 단백질의 인신화를 감소시키고 $NF-{\kappa}B$ p65의 핵으로의 이동을 저해함으로써, 세 추출물에 의한 항염증 활성은 MAPKs 경로와 $NF-{\kappa}B$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게다가, ROS의 생성이 세 추출물에 의해서 모두 저해되었으며, HO-1의 발현과 HO-1의 전사조절인자인 Nrf2의 핵으로의 이동이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의 다양한 부위의 추출물인 NL, NS 그리고 NSP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MAPKs, $NF-{\kappa}B$, Nrf2/HO-1 등 다양한 신호경로를 통해 조절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청보리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Whitening Activities of Hordeum vulgare 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 박채훤;박장호;민선영;김경민;김수영;박영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87-297
    • /
    • 2019
  • 본 연구는 청보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활성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보리의 용매별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58 ~ 40.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67 ~ 13.67 mg CE/g으로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클로로폼 분획물 $400{\mu}g/mL$ 처리 시 대조구인 ascorbic acid ($30{\mu}M$)와 유사한 DPPH 라디칼소거능이 확인되었다. RAW 264.7 세포를 대상으로 한 NO생성 억제 활성 평가에서는 클로로폼 및 헥산 분획물이 대조구인 quercetin ($15{\mu}M$)과 유사한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클로로폼 분획물 $100{\mu}g/mL$ 처리 시 IL-6, iNOS 및 COX2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구 (lipopolysaccharide $1{\mu}g/mL$)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 중 클로로폼 분획물은 RBL-2H3 세포의 ${\beta}$-hexosaminidase 탈과립, IL-4 및 IL-13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은 tyrosinase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헥산 분획물 $50{\mu}g/mL$ 및 클로로폼 분획물 $100{\mu}g/mL$은 유의한 수준으로 B16F10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보리가 항염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제주도 자생 제주아그배 (Malus micromalus Makino)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Malus micromalus Makino in Jeju Island)

  • 이주엽;강민철;이정아;고광효;김봉석;한종헌;김세재;김기옥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327-333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에 자생하고 있는 제주아그배의 생리활성, 즉 항산화 효과와 항염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제주아그배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자 비교 분석한 결과, 제주아그배 에탄을 추출물 (DPPH 소거활성 $IC_{50}$ 값, $16.1\;{\mu}g$/mL; NO 소거활성 $IC_{50}$$901.2\;{\mu}g$/mL; superoxide 소거활성 및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IC_{50}$$42.5\;{\mu}g$/mL, $2.7\;{\mu}g$/mL)은 좋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그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 실험 모두에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좋은 제주아그배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대식 세포 모델을 이용하였다. LPS로 자극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NO 활성과 세포독성간의 상대적 비교지수인 선택지수를 이용하여 탐색한 결과 에탄을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2.9와 12.2로 가장 높은 상대적 NO 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NO 생성 억제율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16.7\;{\mu}g$/mL, $4.1\;{\mu}g$/mL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주아그배의 에탄올 추출물의 NO 감소가 iNOS 단백질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한 결과, 시료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iNOS 단백질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iNOS 단백질의 억제가 mRNA의 감소로 인한 것인지 조사하고자, RT-PCR을 통해 iNOS의 mRNA 발현을 조사한 결과,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농도 의존적인 mRNA 발현 감소를 볼 수 있었다. 제주아그배의 에탄을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COX-2 단백질과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분획물 중에서는 NO 활성과 세포 독성간의 상대적 비교지수인 선택지수가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에탄을 추출물보다도 NO, iNOS, COX-2의 억제 정도가 더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xane Fraction from White Rose Flower Extracts via Inhibition of Inflammatory Repertoires

  • Lee, Hwa-Jeong;Kim, Han-Seok;Kim, Seung-Tae;Park, Dong-Sun;Hong, Jin-Tae;Kim, Yun-Bae;Joo, Seong-S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9권3호
    • /
    • pp.331-335
    • /
    • 2011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a hexane fraction (hWRF) obtained from white Rosa hybrida flowers by employing various assays such as quantitative real-time PCR, Western blotting, and Electrophoretic-Mobility Shift Assay (EMS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WRF had excellent anti-inflammatory potency by reducing inflammatory repertoir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interleukin-$1{\beta}$, and cyclooxygenase-2 (COX-2) in RAW264.7 cells when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a pro-inflammatory mediator. The reduction of nitric oxide (NO) release from RAW 264.7 cells suppor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hWRF. Interestingly, hWRF effectively inhibited LPS-mediated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p65 subunit translocation into the nucleus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1/2 phosphorylation, suggesting that hWRF anti-inflammatory activity may be based on inhibition of the NF-${\kappa}B$ and MAPK pathways. Based on the findings described in this study, hWRF holds promise for use as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 for either therapeutic or functional adjuvant purposes.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sa rugosa Flower Extract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 Tursun, Xirali;Zhao, Yongxin;Talat, Zulfiya;Xin, Xuelei;Tursun, Adila;Abdulla, Rahima;AkberAisa, Haji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2호
    • /
    • pp.184-190
    • /
    • 2016
  • Rosa rugosa Thunb, a deciduous shrub of the genus Rosa, has been widely used to treat stomach aches, diarrhoea, pain,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in eastern Asia. In recent years, our research team has extensively studied the Rosa rugosa flower extract, and specifically undertook pharmacological experiments which have optimized the extraction process. Our methods have yielded a standard extract enriched in phenolic compounds, named PRE. Herein, we expand our efforts and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RE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PRE significantly inhibit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_2(PGE_2)$,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and interleukin $1{\beta}$ (IL-$1{\beta}$), as well as expression of their synthesizing enzyme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Furthermore, PRE inhibited activity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as well as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signaling pathway. Our findings are the first to explain the anti-inflammatory mechanism by PRE in LPS-stimulated macrophages. Given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PRE has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prevention of inflammatory disorders.

Binding model for eriodictyol to Jun-N terminal kinase and its anti-inflammatory signaling pathway

  • Lee, Eunjung;Jeong, Ki-Woong;Shin, Areum;Jin, Bonghwan;Jnawali, Hum Nath;Jun, Bong-Hyun;Lee, Jee-Young;Heo, Yong-Seok;Kim, Yangmee
    • BMB Reports
    • /
    • 제46권12호
    • /
    • pp.594-599
    • /
    • 2013
  •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riodictyol and its mode of action were investigated. Eriodictyol suppressed tumor necrosis factor (mTNF)-${\alpha}$,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miNOS), interleukin (mIL)-6,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MIP)-1, and mMIP-2 cytokine release in LPS-stimulated macrophages. We found that the anti-inflammatory cascade of eriodictyol is mediated through the Toll-like Receptor (TLR)4/CD14,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extracellular-signal-regulated kinase (ERK), Jun-N terminal kinase (JNK), and cyclooxygenase (COX)-2 pathway. Fluorescence quenching and saturation-transfer difference (STD) NMR experiments showed that eriodictyol exhibits good binding affinity to JNK, $8.79{\times}10^5M^{-1}$. Based on a docking study, we propose a model of eriodictyol and JNK binding, in which eriodictyol forms 3 hydrogen bonds with the side chains of Lys55, Met111, and Asp169 in JNK, and in which the hydroxyl groups of the B ring play key roles in binding interactions with JNK. Therefore, eriodictyol may be a potent anti-inflammatory inhibitor of J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