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diagnosis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9초

Migratory Pneumonia in Prolonged SARS-CoV-2 Infection in Patients Treated With B-cell Depletion Therapies for B-cell Lymphoma

  • Jongmin Lee;Raeseok Lee;Kyongmin Sarah Beck;Dae Hee Han;Gi June Min;Suyon Chang;Jung Im Jung;Dong-G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4호
    • /
    • pp.362-370
    • /
    • 2023
  • Objective: To report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underlying B-cell lymphoma an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howing migratory airspace opacities on serial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with persistent COVID-19 symptom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2, of the 56 patients with underlying hematologic malignancy who had undergone chest CT more than once at our hospital after acquiring COVID-19, seven adult patients (5 female; age range, 37-71 years; median age, 45 years) who showed migratory airspace opacities on chest CT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clinical and CT features. Results: All patients had been diagnosed with B-cell lymphoma (three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and four follicular lymphoma) and had received B-cell depleting chemotherapy, including rituximab, within three months prior to COVID-19 diagnosis. The patients underwent a median of 3 CT scans during the follow-up period (median 124 days). All patients showed multifocal patchy peripheral ground glass opacities (GGOs) with basal predominance in the baseline CTs. In all patients, follow-up CTs demonstrated clearing of previous airspace opacities with the development of new peripheral and peribronchial GGO and consolidation in different locations.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all patients demonstrated prolonged COVID-19 symptoms accompanied by posi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from nasopharyngeal swabs, with cycle threshold values of less than 25. Conclusion: COVID-19 patients with B-cell lymphoma who had received B-cell depleting therapy and are experiencing prolonged SARS-CoV-2 infection and persistent symptoms may demonstrate migratory airspace opacities on serial CT, which could be interpreted as ongoing COVID-19 pneumonia.

SARS-CoV-2 Antibodies i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 from a Pediatric Gastroenterology Outpatient Clinic

  • Kaya, Gulay;Issi, Fatma;Guven, Burcu;Ozkaya, Esra;Buruk, Celal Kurtulus;Cakir, Murat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5호
    • /
    • pp.422-431
    • /
    • 2022
  • Purpose: At the beginning of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epidemic, physicians paid close attention to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to prevent transmission or a severe course of infection. We aimed to measure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antibody levels in children with chronic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for infection and its interaction with their primary diseas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nalyzed SARS-CoV-2 antibody levels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n=141) and in healthy children (n=48)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21. Results: During the pandemic, 10 patients (7%) and 1 child (2%) had confirmed COVID-19 infection (p=0.2). The SARS-CoV-2 antibody test was positive in 36 patients (25.5%) and 11 children (22.9%) (p=0.7). SARS-CoV-2 antibody positivity was found in 20.4%, 26.6%, 33.3%, and 33.3% of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chronic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s, cystic fibrosis, and liver transplantation recipients, respectively (p>0.05, patients vs. healthy children). Risk factors for SARS-CoV-2 antibody positivity were COVID-19-related symptoms (47.2% vs. 14.2%, p=0.00004) and close contact with SARS-CoV-2 polymerase chain reaction-positive patients (69.4% vs. 9%, p<0.00001). The use, number, and type of immunosuppressants and primary diagnosis were not associated with SARS-CoV-2 antibody positivity. The frequency of disease activation/flare was not significant in patients with (8.3%) or without (14.2%) antibody positivity (p=0.35). Conclusion: SARS-CoV-2 antibodies in children with chronic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are similar to that in healthy children. Close follow-up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ong-term effects of past COVID-19 infection in these children.

소아에서 발생한 COVID-19 연관 급성 괴사성 뇌병증의 MRI 소견: 2건의 증례 보고 및 문헌 고찰 (MRI Findings of COVID-19 Associated Acute Necrotizing Encephalopathy in Two Pediatric Patients: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최윤영;이하영;임명관;강영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682-690
    • /
    • 2024
  • 급성 괴사성 뇌병증은 바이러스 감염의 드문 면역 매개 합병증이다. 일반적으로 양쪽 시상을 침범하며, 주로 어린이에서 보고된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과 관련된 급성 괴사성 뇌병증 2건을 보고하고자 한다. 7세 여아는 발열과 의식변화, 6세 여아는 발열과 전신성 간질로 내원하였다. 뇌 MRI에서 두 환자 모두 양쪽 시상에 중심부 출혈을 동반한 대칭적인 액체감쇠역전회 고신호강도 병변이 보였고, 한 환자에서는 겉보기확산계수에서 시상에 층상 병변이 보였다. 저자들은 이 보고를 통해 급성 괴사성 뇌병증의 특징적인 뇌 MRI 영상 소견을 인지함으로써 심각한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환자의 경우 특히 소아에서 영상 소견을 바탕으로 한 빠른 진단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급성 괴사성 뇌병증을 시사하는 양측 시상의 출혈성 괴사로 나타났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례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고자 한다.

Hybrid Feature Selection Method Based on Genetic Algorithm for the Diagnosis of Coronary Heart Disease

  • Wiharto, Wiharto;Suryani, Esti;Setyawan, Sigit;Putra, Bintang P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0권1호
    • /
    • pp.31-40
    • /
    • 2022
  • Coronary heart disease (CHD) is a comorbidity of COVID-19; therefore, routine early diagnosis is crucial. A large number of examination attributes in the context of diagnosing CHD is a distinct obstacle during the pandemic when the number of health service users is significant. The development of a precise machine learning model for diagnosis with a minimum number of examination attributes can allow examinations and healthcare actions to be undertaken quickly. This study proposes a CHD diagnosis model based on feature selection, data balancing, and ensemble-based classification methods. In the feature selection stage, a hybrid SVM-GA combined with fast correlation-based filter (FCBF) is used. The proposed system achieved an accuracy of 94.60% and area under the curve (AUC) of 97.5% when tested on the z-Alizadeh Sani dataset and used only 8 of 54 inspection attributes. In terms of performance, the proposed model can be placed in the very good category.

Rapid construction delivery of COVID-19 special hospital: Case study on Wuhan Huoshenshan hospital

  • Wang, Chen;Yu, Liangcheng;Kassem, Mukhtar A.;Li, Heng;Wang, Ziming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7권4호
    • /
    • pp.345-369
    • /
    • 2022
  • Infectious disease emergency hospitals are usually temporarily built during the pneumonia epidemic with higher requirements regarding diagnosis and treatment efficiency, hygiene and safety, and infection control.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 Industrialized Building System (IBS) approach could rapidly deliver an infectious disease hospital and develop site epidemic spreading algorithms. Coronavirus-19 pneumonia construction site spreading algorithm model mind map and block diagram of the construction site epidemic spreading algorithm model were developed. BIM+IBS approach could maximize the repetition of reinforced components and reduce the number of particular components. Huoshenshan Hospital adopted IBS and BIM in the construction, which reduced the workload of on-site operations and avoided later rectification. BIM+IBS integrated information on building materials, building planning, building participants, and construction machinery, and realized construction visualization control and parametric design. The delivery of Huoshenshan Hospital was during the most critical period of the Coronavirus-19 pneumonia epidemic.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site epidemic spreading algorithm provided theoretical and numerical support for prevention. The agent-based analysis on hospital evacuation observed "arched" congestion formed at the evacuation exit, indicating behavioral blindness caused by fear in emergencies.

중합효소 연쇄반응 기반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출법에 대한 국가별 목표 유전자 및 프로토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arget Genes and Protocols by Country for Detection of SARS-CoV-2 based 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김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465-474
    • /
    • 2021
  • '심각한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 2(SARS-CoV-2)'에 의한 질병인 코로나-19는 2020년 3월 세계 보건기구에서 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으로 선언되었고, 대부분의 나라에서 선별 및 확진을 위한 진단검사법으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를 시행한다. 그러나 국가별 목표유전자 및 프로토콜이 다를 뿐만 아니라 진단결과의 판독절차도 다양해서 국가별로 확진자의 기준 역시 다르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세계보건기구에서 고시한 국가별 목표유전자 및 검사기법, 진단기준을 비교하였고, 검사의 특이도와 민감도, 최소검출 한계, 양성 및 음성 대조군, 교차반응 후보군, 검체 대조군 설정 등의 특이사항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각국의 검사기법과 한국의 검사기법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전세계가 '심각한 급성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 2'에 대한 동일한 진단결과를 얻기 위하여 코로나-19 진단에 대한 표준화된 진단방법 및 결과판독 등을 제언하였다.

Negative Convers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the SARS-CoV-2 Variant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 Tae Hun Kim;Eunjeong Ji;Myung Jin Song;Sung Yoon Lim;Yeon Joo Lee;Young-Jae Ch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6권2호
    • /
    • pp.142-149
    • /
    • 2023
  • Backgroun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s an ongoing global public health threat and different variants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have been identified. This study aimed to analys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negative convers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prognosis in critically ill patients according to the SARS-CoV-2 variant.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analysed 259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who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tertiary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20 and May 2022.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CCI) was used to evaluate comorbidity, and a negative PCR test result within 2 weeks was used to define negative PCR conversion. The cas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variant groups, according to the documented variant of SARS-CoV-2 at the time of diagnosis: non-Delta (January 20, 2020-July 6, 2021), Delta (July 7, 2021- January 1, 2022), and Omicron (January 30, 2022-April 24, 2022). Results: The mean age of the 259 patients was 67.1 years and 93 (35.9%) patients were female. Fifty (19.3%) patients were smokers, and 50 (19.3%) patients were vaccinated. The CCI (hazard ratio [HR], 1.555; p<0.001), vaccination (HR, 0.492; p=0.033), and Delta variant (HR, 2.469; p=0.002)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in-hospital mortality. The Delta variant (odds ratio, 0.288; p=0.003) was associated with fewer negative PCR conversion; however, vaccination (p=0.163) and remdesivir (p=0.124) treatments did not. Conclusion: The Delta variant of SARS-CoV-2 is associated with lower survival and negative PCR conversion. Contrary to expectations, vaccination and remdesivir may not affect negative PCR conversi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COVID-19.

COVID-19 대유행에 대응하는 적정기술 : 보건 위기에서 재정의된 역할 - 파트 2 (Appropriate Technology, Responding to the COVID-19 Pandemic - Redefined Roles in a Public Health Crisis (Part II))

  • 편나윤;이성우;서정우;김재은;장동윤;신관우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56-270
    • /
    • 2020
  • 세계적인 전염병의 유행하에서 의료시스템의 붕괴는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참여와 새로운 방식의 대응 방식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보건 위기의 최전선에서 즉시 활용이 가능한 필수적 대응기술로, 적정기술이 더이상 중간기술로 개발도상국뿐 아니라 보건 시스템이 붕괴된 모든 시민 사회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로서의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본 Part 2에서는 음압실 및 인공호흡기등 의료용 기구, 진단칩 및 진단기술등과 같이 COVID-19하에서 붕괴된 의료 위기 하에서 신속한 대응책으로 준비되고 있는 의료 및 보건분야에 대한 사례들을 적정기술의 테두리안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의 다국적 대기업과 공적인 인증등으로 인한 장벽으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분야에 과학기술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대중화되고 있음을 사례로 소개한다. 최근 사회혁신등에서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오픈과학기술 운동을 통해서, 과학자들과 공학자들이 이러한 질병의 대유행 상황에서, 사회에 소외된 계층의 피해를 최소화하여 사회적, 계층적 붕괴를 막기위한 재정의된 적정기술의 역할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기침 소리의 다양한 변환을 통한 코로나19 진단 모델 (A COVID-19 Diagnosis Model based on Various Transformations of Cough Sounds)

  • 김민경;김건우;최근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57-78
    • /
    • 2023
  • 2019년 11월 중국 우한시에서 발병한 코로나19는 2020년 중국을 넘어 세계로 퍼져나가 2020년 3월에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코로나19와 같이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는 예방과 확진시 적극적인 치료도 중요하지만 우선 전파 속도가 빠른 바이러스인 점을 감안할 때, 확진 사실을 재빠르게 파악하여 전파를 차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PCR검사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자가키트검사 또한 접근성은 쉽지만 매번 수시로 받기에는 키트의 가격이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침 소리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양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면 누구나 쉽게 언제, 어디서든 확진 여부를 체크할 수 있어 신속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침 소리를 기반으로 코로나19 확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분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MFCC, Mel-Spectrogram, Spectral contrast, Spectrogram 등을 통해 기침 소리를 벡터화 하였다. 이 때, 기침 소리의 품질을 위해 SNR을 통해 잡음이 많은 데이터는 삭제하였고, chunk를 통해 음성 파일에서 기침 소리만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된 기침 소리의 feature를 이용하여 코로나 양성과 음성을 분류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XGBoost, LightGBM, FCNN 알고리즘을 통해 모델 학습을 수행하고 각 알고리즘별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기침 소리를 다차원 벡터로 변환한 경우와, 이미지로 변환한 경우에 대해 모델 성능에 대한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건강상태에 대한 기본정보와 기침 소리를 MFCC, Mel-Spectogram, Spectral contrast, 그리고 Spectrogram을 통해 다차원 벡터로 변환한 feature를 모두 활용한 LightGBM 모델이 0.74의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스마트 헬스케어: 미래 병원을 위한 AI, 블록체인, VR/AR 및 디지털 솔루션 구현 (Smart Healthcare: Enabling AI, Blockchain, VR/AR and Digital Solutions for Future Hospitals)

  • ;;;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6-409
    • /
    • 2022
  • 최근 몇 년 동안, AI 시스템, 블록체인, VR/AR, 3D 프린팅, 로봇 공학, 나노 기술과 같은 기술의 발전은 바로 우리 눈앞에서 건강 관리의 미래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는 소비자의 요구에 초점을 맞춘 예방 중심의 의학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습니다. Covid-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으로 의료 및 치료 시설의 정의가 변경되어 병원의 물리적 환경을 재설계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 요구사항을 해결하도록 통신 모델을 조정하고 가상 의료 솔루션을 구현하고 새로운 임상 프로토콜을 수립하기 위한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전통적으로 의료 시스템의 허브 역할을 해 온 병원은 이러한 환경에 맞서 스스로를 재정립하는 것을 추구하거나 강요당하고 있습니다. 미래의 건강관리는 질병을 치료하는 것뿐만 아니라 건강과 예방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화된 진료에서는 장기적인 예방 전략, 원격 모니터링, 조기 진단 및 탐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현대 기술로 정의되는 스마트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정의와 서비스 종류를 조사했습니다. 스마트 병원의 배경과 기술적 측면도 문헌 검토를 통해 탐구했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