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3초

소아에서 심장 주기 시간 변화에 따른 조직 도플러 지표들의 변화양상 (Variation of parameters according to cardiac cycle length, evaluated by TDI in children)

  • 이창현;김재광;진형승;박기영;김봉선;한명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39-345
    • /
    • 2009
  • 목 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에서 고식적 심초음파와 조직 도플러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한 지표들의 심장 주기 시간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 법 : 2006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강릉아산병원에서 심장초음파를 시행한 해부학적으로 정상 심장을 가진 총 18명의 소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심첨 4방 단면도에서 이완기 승모판 유입 최고 혈류 속도 E, A와 승모판륜의 외측 끝단 및 심실 중격 끝단에서 조직 도플러 영상으로부터 s',e',a'과 함께 각각의 심장 주기 시간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연속된 6-18 심장 주기 동안 이루어졌으며, 심장 주기 길이와 각 지표들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평균 나이는 $3.6{\pm}0.5$세(남:여=8:10)이었다. 심장 주기 시간과 Lat s', Lat a', Sep s', Sep e', Sep a'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심장 주기 시간과 E/A, Lat e'/a', Sep e'/a'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1). 그러나 E, Lat e'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229, 0.221). 결 론 : 본 연구로 심장 주기 시간의 변화에 따라 좌심실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정상치를 결정함에 있어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야 한다.

KSTAR 전류인입선 및 헬륨냉매 제어시스템 제작 및 설치 (Construction and Assembly of KSTAR Current Leads and the Helium Control System)

  • 송낙형;우인식;이영주;곽상우;방은남;이근수;김정수;장용복;박현택;홍재식;박영민;김양수;최창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88-396
    • /
    • 2007
  • KSTAR (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전류인입선(CL; Current Lead)은 4.5 K의 저온에서 운전되는 초전도 버스라인과 300 K의 실온에서 운전되는 MPS (Magnet Power Supply)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장치이다. 초기 플라즈마 발생시험을 위하여 TF (Toroidal Field) 및 PF (Poloidal Field) 리드박스에 전류인입선이 설치된다. TF 자석용 CL은 17.5 kA급 4 개의 CL에 최대 35 kA의 DC 전류가 인가되며, PF 자석용은 13 kA급 14 개의 CL에 350초간 $20\;{\sim}\;26\;kA$의 펄스 전류가 인가된다. 각각의 전류인입선은 TF 및 PF 자석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버스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류인입선을 통해 초전도 버스라인으로 전달되는 전도열 및 전류인가시 발생되는 주울(Joule) 열을 차단하기 위한 헬륨냉매 제어시스템이 KSTAR 주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리드박스 내 외부의 배관 및 제어시스템 설치완료 후 고진공 배기, 헬륨 누설검사, 전류인입선 유량 검사 및 액체질소 냉각시험을 실시하여 장치의 성능검증을 완료하였다.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II. 조기 임신 진단법 및 번식장애 분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velopment of Breeding Technique to Increase HanWoo(Bos taurus coreanae) : II. Early Pregnancy Diagnosis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 장구;손창호;이은송;류일선;이강남;이동원;오명환;오성종;정근기;최상용;노규진;김상철;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4
    • /
    • 2001
  • The aims of these study were to diagnose early pregnancy and reproductive disorders by using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ultrasonography. The measurement of blood progesterone (P$_4$) concentration was conducted to diagnose pregnancy and to detect corpus luteum (CL) or evaluate disorder of CLs. As a result, the incidence rates of reproductive disorders were as follows : SH and EED (41.9%), inacitve ovaries (32.6%), follicullar cyst (9.3%), PCL (7.0%), endometritis (4.7%), pyometra (2.3%) and luteal cyst (2.3%). 61 Cows having P$_4$concentration 1.0 ng/ml(at the insemination) were increased to 1.0 ng/ml $\geq$ 6day after insemination. 50 cows among 61 cows were diagnosed pregnant. 8 cows among 13 HanWoos having P$_4$concentration 1.0 ng/ml at the insemination and 1.0 ng/mnl 6 day after insemination had non-ovulatory estrus and the others had P$_4$concentration 1.0 ng/ml at the insemination and 1.0 ng/ml $\geq$ 6 day after insemination, which was the error of estrus detection. All 13 cows were diagnosed non-pregnant. 47 cows diagnosed pregnant after insemination of P$_4$concentration 3.0 ng/ml were examined by ultrasonography at 30 day post-insemination. As a result, 41 cows were diagnosed pregnant (87.2%) but 14 cows having P$_4$concentration 3.0 ng/ml at 21 day after insemination was diagnosed to non-pregnancy. Calving intervals by surveying 100 cows were as follows 11~12 months (20%), 12~13 months (36%), 13~14 months (19%), 14 months $\geq$ (25%), respectively. In conclusion, hormone and ultrasonography help to detect reproductive disorders exactly and diagnose early pregnancy. This study suggest that diagnosis of early pregnancy and reproductive disorder by blood P$_4$concentration and ultrasonography improve reproduction management of HanWoo.

  • PDF

Variants of Inflammnation-related Genes and the Risk of Gallstones and Biliary Tract Cancer: A population-baged Study in China

  • Hsing, Ann W.;Sakoda, Lori;Chen, Jin-Bo;Rashid, Asif;Wang, Bin-Shen;Shen, Ming-Chang;Chen, Eric;Rosenberg, Phillip;Zhang, Mingdong;Andreotti, Gabriella;Welch, Robert;Yeager, Meredith;Fraumeni Jr. Joseph F.;Gao, Yu-Tang;Stephen J. Chanock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33
    • /
    • 2006
  • There is compelling evidence that chronic inflammation predisposes to biliary tract cancer. Previously we found that aspirin use and variants in the PTGS2 gene, both of which are closely linked to inflammation, were associated with biliary tract cancer risk in a population-based study in China. To test the inflammation hypothesis further, we examined the associations of variants in 20 genes involved in the inflammation pathway with risk of biliary tract cancer and stones in a large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in Shanghai, China. We genotyped 56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from 20 inflammation genes in 411 biliary tract cancer cases (237 gallbladder cancers, 127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s, and 47 ampullary cancers), 895 subjects with biliary stones, and 786 population controls.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ls) for the association of individual SNPs and haplotypes with biliary stones and biliary tract cancer risk. Of the 56 SNPs examined, 20 showed some associations with biliary cancer and stones. Specifically, variants of the IL8, IL8RB, RNASEL, TGF-beta, and TNF-alpha genes were associated with gallstone risk, while variants in the IL1A, IL10, VEGF, and RNASEL genes were associated with gallbladder cancer risk. Adjustment for multiple comparisons did not materially change these results. Of the 10 genes with multiple SNPs, we inferred halotypes; only one haplotype in the IL8RBgene was associated with gallstones. The haplotyp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ile dict cancer cases and control (p=0.007). A haplotype comprising 3 SNPs in the IL8RB gene (rs2230054, rs1126579, rs1126580) was associated with a 54% increased risk of bile duct stones (95% CI 1.14-2.07, p=0.02), relative to the most frequent haplotype. In summary, common variants in immune-related genes influencing inflammatory responeses were associated with gallstones and biliary tract cancer, lending further support to the role of inflammation in the pathogenesis of biliary stones and biliary tract cancer. Future larger studies with more complete gene coverage are needed to confirm these results.

  • PDF

식염첨가 유무에 따른 계육의 부위별 가열온도에 따른 이화학적 성상과 근장 단백질 밴드의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Sarcoplasmic Protein Bands of Chicken Meat Cuts with or without Salt during Cooking Temperatures)

  • 김수희;진구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269-278
    • /
    • 2007
  • 본 연구는 계육의 가슴과 다리부위로 식염첨가의 유무에 따라 64부터 74℃까지 2℃ 간격으로 가열하는 동안 pH와 일반성분, 가열감량, 단백질 용해성, 색도 그리고 단백질 밴드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괄적인 결과에서 pH는 2%의 식염을 첨가 한 것과 가열 온도별로는 차이가 없었지만 부위별로 차이를 보여 다리부위가 가슴부위 보다 높았다. 일반성분 중 수분과 지방 함량은 식염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지만 수분과 지방 함량 모두 다리부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단백질 함량과 용해성은 가슴부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소금첨가에 따른 결과에서 근육부위별 다리와 가슴부위의 가열감량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2 % 식염을 첨가한 처리구는 가열감량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적색도는 대조구의 경우 다리가 가슴보다 높았고 황색도와 함께 가열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단백질의 용해성은 식염 함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총괄적인 결과와는 달리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단백질 용해성에서 부위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H, 명도와 단백질의 용해성은 식염첨가에 따른 근육부위와 가열온도 상관관계의 유의차를 보임으로써 서로 다른 양상을 보여 주었다. 대조구의 경우 pH는 다리부위가 높았고, 명도는 가열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가열시에 부위별 차이를 보였다. 반면 2%의 식염을 첨가한 처리구는 부위에 상관없이 용해성이 감소하였고 명도는 가슴육에서만 증가하여 부위별 차이를 보였다. 식염을 첨가하지 않은 다리부위에서 가열하지 않은 원료육은 약 7개의 단백질 밴드를 보였는데 내부중심온도를 64℃로 가열했을 시 90, 53, 30.5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가 가열 온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가슴부위에서는 원료육의 경우 약 9개의 단백질 밴드가 보였지만 88, 64, 30.5, 30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가 가열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결과적으로 가열온도와 식염처리에 영향을 받은 단백질 밴드는 다리부위에서 66과 54 kDa 이었으며 가슴부위에서는 66과 54 및 33 kDa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 밴드였다. 또한 54 와 33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백질 밴드는 68℃까지 희미하게 보이다 사라졌으며 그 중 33 kDa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 밴드는 2%의 식염 첨가 시 저해작용을 받아 66℃ 까지만 보이다 사라졌다. 이러한 단백질 밴드는 계육의 최종가열 온도 측정을 위한 지시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사(Rosacea)의 한약 치료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Rosac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강은정;감은영;김서희;윤석영;전석희;최정화;김종한;박수연;정민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7-54
    • /
    • 2021
  • Objectives : This review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herbal medicine combined with conventional therapy for rosacea. Methods :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reporting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on rosacea were searched through eight electronic databases from 2016 to March 17, 2020. This study collection and data extraction were performed by two independent reviews. The Cochrane risk-of-bias tool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risk of bias in all included RCTs. Mean differences(MD) and Risk ratio(RR) of 95% Confidence intervals(Cls) were calculated and data synthesis was conducted using Review Manager(RevMan, ver.5.4) Results : Eighteen RCTs were included and all trials compared the combined therapy of herbal medicine with conventional western therapy to conventional therapy alone. The effective rate of the combination of herbal medicine with western medicine(RR 1.20, 95% CI : 1.13-1.28, p<0.00001, I2=0%), the effective rate of the combination of herbal medicine with laser-based therapy(RR 1.12, 95% CI : 1.04-1.21, p=0.004, I2=18%) and the effective rate of the combination treatment group using herbal medicine, western medicine and external drugs were all statistically higher that of the control group(RR 1.19, 95% CI : 1.11-1.28, p<0.00001, I2=0%). The score of non transient erythema(MD -0.36, 95% CI : -1.01 0.29, p=0.27, I2=93%), flushing(MD -0.69, 95% CI : -0.97, 0.41, p<0.00001, I2=32%), papules or pustules(MD 0.10, 95% CI : -0.15, 0.35 p=0.44, I2=0%) were also seen in the herb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combination group. The overall risk of bias of the included studies was some concerns. No serious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Conclusions : This review found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the combined therapy of herbal medicine with conventional western therapy for rosac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