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MT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와 양측성 상지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nd Bilateral Arm Training on the Upper Extremity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 양성화;이완희;이경숙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5호
    • /
    • pp.65-72
    • /
    • 2011
  • Purpos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 with bilateral arm training (BAT) on the motor performance and daily activity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Methods: Sixteen subjects one year after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a control group; the pretest-posttest method was used. The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combination of bilateral arm training and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n=8), and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n=8). The mCIMT group received therapy for 90 minutes in 3 sessions per week over a period of 4 weeks. The patients receiving a combination of mCIMT and BAT were treated for the same period and frequency. The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Fugl-Meyer Assessment, Action Research Arm Test (ARAT), and Motor Activity Log-Amount of Use, and Quality of Movement (MAL-AOU, QOM) assessment tools. Results: The Fugl-Meyer Assessment showed that hand and wrist performance improved significantly more in the mCIMT group than in the Combination group (p<0.05). Result from the ARAT assessment showed greater scores for gross movement in the combined group than in the mCIMT group (p<0.05). The MAL-AOU showed that there was greater improvement in the combined group than in the mCIMT group (p<0.05). Conclusion: The forced use of the more affected side can be important for the enhancement of upper extremity performance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patients during their daily activities.

체성운동영역이 제거된 편마비 흰쥐에서 억제 유도치료가 기능향상과 BDNF 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IMT on the Functional Improvement and BDNF Expression in Hemiplegic Rats Whose Somatomotor Area was Removed)

  • 임창훈;황보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94-203
    • /
    • 2008
  • 억제유도치료는 건측 상지의 운동을 제한하고 환측 상지의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손상된 상지의 기능 및 사용을 향상시키는 치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억제유도치료의 효과를 운동행동검사와 면역조직 화학법으로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계 흰쥐 수컷 실험군 40마리 대조군 40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마취 후 체성운동영역을 제거하여 억제유도치료를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실험동물은 수술 후 1일, 3일, 7일, 14일째 10마리씩 나누어 자세 반사 검사, 막대 걷기 검사, 앞다리 배치 검사, 면역조직 화학반응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실험군의 운동행동 검사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p<.05), BDNF 발현은 시간이 지날수록 실험군의 발현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추신경계의 가소성을 검증 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가압벨트 저항성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and Resistiv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with Pressure Belt on Affected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김태곤;김경윤;배세현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36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 and resistiv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with pressure belt on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Sixteen patients with stroke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at received mCIMT and resistiv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n=8) and an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mCIMT and resistiv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with pressure belt (n=8). Over the course of four weeks, mCIMT were conducted 60 minute three times per week and resistive exercise using elastic band (with pressure belt) were conducted twice daily, three times per week. The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were evaluated before, after 2 weeks and 4 weeks using the grip strength test (GST), the box and block test (BBT), and motor activity log (MAL). Results: The values for the GST, the BBT, and MAL increased in both groups as the treatment period progressed. The values for the GST (p<.01), the BBT (p<.001), and MAL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t 4 weeks after initiating the treatment. Conclusion: We found that mCIMT and wearing a pressure belt during resistive exercise was very useful in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ies in patients with stroke.

다기관 코호트 연구에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 측정의 측정자간 신뢰도 평가 (Inter-Rater Reliability of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Measurements in a Multicenter Cohort Study)

  • Lee, Jung Hyun;Choi, Dong Phil;Shim, Jee-Seon;Kim, Dae Jung;Park, Sung-Ha;Kim, Hyeon Chang
    •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 /
    • 제41권1호
    • /
    • pp.49-56
    • /
    • 2016
  • 목적: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경동맥 경화반의 존재유무는 죽상동맥경화증의 임상 전단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를 측정할 때의 측정자 의존성 때문에, 다기관 연구에서는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경화반 측정의 기관간 신뢰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심뇌혈관 및 대사질환원인 연구센터에 속해 있는 세 임상기관 사이의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경화반 측정의 측정자간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심뇌혈관 질환 과거력이 없는 사람 20명이 2014-2015년 사이에 이 연구에 참여하였고(연령 37-64세),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연구참여자의 좌, 우 경동맥을 세 임상기관에서 반복적으로 측정하였다. 총 경동맥의 원위부에서 측정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최대값과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경동맥에서의 경화반 존재유무는 측정자에 의해 확인되었다.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경화반 존재유무의 신뢰도를 급내상관계수와 카파 통계량을 통해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 계산된 급내상관계수는 최대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를 평가하였을 때 0.647이었고 (95% CI: 0.487-0.779), 평균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를 평가하였을 때 0.758 (95% CI: 0.632-0.854) 이었다. Bland Altman plot에서, 관측치의 대부분은 평균의 차이에서 ${\pm}1.96$ 표준편차 사이에 분포하였다. 각 기관 사이의 경화반 존재유무에 대한 카파 통계량은 0.304 (기관 1과 2), 0.507 (기관 1과 3), 0.606 (기관 2와 3)이었다. 전반적인 일치를 평가하는 Fleiss카파값은 0.445였다. 결론: 세 임상기관 사이의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자간 신뢰도는 훌륭하였으며, 경화반 존재유무에 대한 신뢰도는 적정하였다.

건측억제유도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과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the Involved Hand Funct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 김영미;황윤태;박래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7권4호
    • /
    • pp.493-50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the involved hand funct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Five subjects with fixing unaffected arms by CIMT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patient group and the other five patients to control group without fixing unaffected arms. The function of hand for both groups were evaluated by using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and ADL for both groups were evaluated by FIM(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before and after task practice. I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mproved hand function and ADL by CIMT in stroke patients. We concluded that CIMT can improved the involved hand function and ADL in stroke patients.

  • PDF

가정-중심 가상현실이 만성뇌졸중환자의 팔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 실험자 맹검 단일실험연구 (Effects of Home-based Virtual Reality on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for Stroke - An Experimenter Blind Case Study)

  • 이정아;황수진;송창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023-302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상지 운동기능 회복을 위하여 적용한 가상현실 가정운동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만성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한 명의 참여자는 가상현실운동프로그램을 가정운동프로그램으로 처방하여 실행하였고, 다른 한 명의 참여자는 강제-유도운동치료를 가정운동프로그램으로 처방하여 실행하였다. 치료기간은 4주간으로 1주일에 총, 5회로 1회에 4시간씩 실시하였다. 평가는 뇌졸중 기능회복평가(Fugl-Meyer Assessment; FMA), 운동활동척도검사(Motor Activity Log, MAL), 그리고 울프운동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를 이용하였다.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을 가정운동프로그램으로 실시한 대상자가 모든 운동기능평가에서 상당한 기능적 회복을 보여주었다. 특히, FMA 점수는 가상현실프로그램을 사용한 대상자는 17% 향상된 반면, 강제유도운동치료를 가정운동프로그램으로 실시한 대상자는 5% 증가하였다. 또한, MAL 점수의 환측 상지를 이용하는 양(Amount of Use; AOU)와 움직임의 질(Quality of Movement; QOM)점수에서도 가정중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상자가 각 40%, 20% 향상된 반면, 강제유도운동치료를 받은 대상자는 각각 0%, 20% 증가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대상자와 강제유도운동치료를 받은 대상자의 WMFT 점수가 모두 20%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가정운동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이 강제-유도운동치료보다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the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in Stroke Patients)

  • 이종민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2호
    • /
    • pp.5-20
    • /
    • 2013
  • 강제유도 운동치료는 2주간 건측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깨어 있는 시간의 90%를 제한하는 동시에 환측에 매일 6시간 이상 강도 높은 훈련을 실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임상 적용에 있어서 문제점을 보였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고안되었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의 적용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져 왔고, Motor Activity Log(MAL), Fugl-Meyer Assessment(FMA),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Action Research Arm Test(ARA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Stroke Impact Scale(SIS)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기능 향상에 대한 효과를 증명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 방법으로써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국소 허혈성 뇌손상 흰쥐 모델에서 환경강화 조건 하 수정된 건측억제유도 운동치료가 앞다리 운동기능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proved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 on the Modified CIMT Applied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Enrichment in a Focal Ischemic Brain Injury Rat Model)

  • 이삼규;김계엽;남기원;오명화;김용억;김은정;장미경;김경윤;정현우;김종만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8-56
    • /
    • 2007
  • Environmental Enrichment (EE) alone is not capable of enhancing the fine digit and the forelimb functions. Therefore, we applied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 under the influence of EE to assess its effect on promoting improved forelimb sensorimotor functions. Focal ischemic brain injury was produced in Sprague-Dawley rats (60 rats, $250{\pm}50$ g) through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Before MCAO induction, all rats were trained in modified limb placing tests and reaching tasks for 1 week. Then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I: application of standard environment (SE) after MCAO induction (n=20), Group II: application of EE after MCAO induction (n=20), Group III: MCAO+EE, mCIMT and task-oriented training that was initiated at 10th day after MCAO induction (n=20). We also applied mCIMT (between 9 AM and 5 PM/daily) which included restraining the forelimb ipsilateral to the lesion using the 'Jones & Schallert' method. We assessed the change of modified limb placing, single pellet reaching test and the immunoreactivity of BDNF by immunohistochemistry (pre, 1st, 5th, 10th and 20th day). Group I showed no improved outcome, whereas group II and III significantly improved on the use of the forelimb and the immunoreactivity.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killed reaching test, of group III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the fine digit and the forelimb f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E combined with mCIMT is more functional in promoting enhanced fine digit and forelimb functional movements.

  • PDF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편마비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Hand Functions of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 방현수;장상훈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5
    • /
    • 2017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과 관련된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8세에서 11세 사이의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는 하루 5시간 동안의 건측 제한과 이 시간동안 2시간의 환측의 집중적인 과제훈련, 주당 5회, 총 8주를 실시하였고,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상지 기능과 관련된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Jebsen Hand Function Test와 3차원 동작분석을 실시하였다. Jebsen Hand Function Test는 실험 2주마다 반복 측정을 실시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의 경우에는 실험 전과 실험 후에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 후, Jebsen Hand Function Test에서는 하위 검사 모두에서 경과 시간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p<.05), 3차원 동작 분석 결과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 적용 전에 비해 8주의 경과 후 손바닥 두드리기 검사와 검지 두드리기 검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p<.05), 아래팔의 회내와 회외 운동에서는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 적용 전에 비해 8주의 경과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는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 기능과 관련된 요소를 효과적인 치료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향후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를 위한 개별화된 적용 방법과 개인의 상태에 따른 다양한 적용 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편마비 뇌성마비 환아에서 강제유도운동치료의 국내 임상적용에 대한 설문조사 (Online Survey on Clinical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in Korea)

  • 손주현;신용범;윤영주;김부영;문정인;문명훈;김수연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3-42
    • /
    • 2019
  • 목적 : 이 연구는 국내 소아재활 분야에 종사하는 재활의학과의사 및 치료사를 대상으로 강제유도운동치료(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CIMT)에 대한 지식과 임상적용 현황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소아재활발달의학회에 등록된 510명 (재활의학과의사 204명, 치료사 306명)을 대상으로 전자우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총 510명 중 179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응답률은 35.1%였다. 응답한 179명 중 재활의학과 의사 39명, 물리치료사 89명, 작업치료사 48명, 언어치료사 3명이었다. 응답자 중 45.9%(82명)는 소아재활분야의 경험이 6년 이상인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었고, 58.1%(104명)가 강제유도운동치료에 대한 경험이 있었다. 임상 진료에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하는 경우는 환자의 순응도가 좋을 때 73.1%(76명), 보호자의 순응도가 좋을 때 48.1%(50명), 양손훈련(bimanual training)의 효과가 제한적이라고 판단될 때 39.4%(41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임상적용에서 제한점으로 작용하는 요인은 치료인력 부족이나 가정내 환경 부적합 등과 같은 환경제한 35.1%(61명), 인식부족 19.5%(34명), 건측 제한으로 인한 건측 기능발달 저해에 대한 우려 13.8%(24명)으로 조사되었다.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중단한 이유로는 환자의 비협조 77.6%(76명), 인지/행동요인 42.9%(42명), 보호자의 비협조 25.5%(25명), 효과가 없다고 판단될 때(non-effectiveness) 11.2%(11명)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의학적 근거가 높게 보고되고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재활의학과 의사와 치료가사 실제 임상치료에서 적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현황에서 제한점을 개선하여 향후 임상적용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