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47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21초

아연광산(亞鉛鑛山) 인근답(隣近沓)의 토양중(土壤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과 현미중(玄米中) 함량(含量)과의 관계(關係) (Cadmium, Lead, and Zinc Accumulation in Rice Grown at Paddy Soils near Old Zinc-Mining Sites)

  • 유순호;박무언;노희명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23
    • /
    • 1983
  • 아연광산(亞鉛鑛山) 린근답(隣近沓)의 토양중(土壤中) Cd, Pb, 및 Zn의 합량(合量)이 현미중(玄米中) 집적(集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9년(年)과 1980년(年)에 현미시료(玄米試料) 93점(點)과 토양시료(土壤試料) 180점(點)을 채취(採取)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Cd, Pb 및 Zn 함량(含量)에 대(對)한 현미중(玄米中)로 함량비(含量比)(상대흡수능(相對吸收能))은 토양농도(土壤濃度)의 역수치(逆數値)에 고도(高度)의 직선회귀관계(直線回歸關係)가 성립(成立)되었으며 년차간(年次間) 차이(差異)의 유의성(有意性)은 납이 가장 크고 다음이 아연(亞鉛)이었으나 카드뮴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Cd, Pb, Zn의 상대흡수능(相對吸收能)은 토양(土壤) pH와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가지나, 유의성(有意性)은 1979년(年)에는 Cd, Zn에서 인정(認定)됨에 반(反)하여 1980년(年)에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3) 년차간(年次間) 상대흡수능(相對吸收能)의 차이(差異)는 재배기술(栽培技術)의 차이(差異)보다 기상요인(氣象要因)(평균기온(平均氣溫), 일조시간등(日照時間等))의 차이(差異)에서 오는 것이 더 컸을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4) 현미중(玄米中) 카드뮴 함량(含量)이 일본식량청(日本食糧廳) 규제농도(規制濃度)인 0.4ppm을 초과(超過)할 수 있는 발생빈도(發生頻度)는 $34{\sim}47%$이며, 현미중(玄米中) 납의 함량(含量)이 국제식품규격상(國際食品規格上) 허용한계농도(許容限界濃度)인 2ppm을 초과(超過)할 수 있는 발생빈도(發生頻度)는 $0{\sim}11%$이었다.

  • PDF

금강유역 논토양과 현미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군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Soil and Rice in the Kum River Basin)

  • 김영오;유형렬;이재형;기노석;황인담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320-328
    • /
    • 198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ir correlationship between paddy soil and brown rice near the Kum-River area. In this study, eighty soil samples and forty brown ric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paddy soil.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were measured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contents of soluble heavy metals in surface soil were Cd 0.19, Cu 15.31, Zn 18.10 and Pb 9.08 ppm. The average contents of soluble heavy metals in subsurface soil were Cd 0.19, Cu 14.52, Zn 17.75 and Pb 8.11 pp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yers. 2. The contens of Cu, Zn and Pb of Taejeon(S6) and Cd of Sinbyung(S5) in surface soil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reas. The contents of Cd and Cu of Taejeon(S6) and Zn and Pb of Kumnam(S3) in brown r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reas and four heavy metals in soil and brown rice of Simchon(S7)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areas. 3. The ratio of soluble contents(Cd:Cu:Zn:Pb) in surface soil was 1:79:93:47, that of soluble contents in subsurface soil was 1:76:94:43, and that of total contents in brown rice was 1:84:294:12. 4. The correlationship of the content between soluble heavy metals in surface(0-15 cm depth) soil total heavy metals in brown rice was found to be order of Cd>Cu>Zn>Pb. The correlationship of the content between soluble heavy metals in subsurface(20-30 cm depth) soil and total heavy metals in brownricewasfoundtobeorderofcu>Cd>Zn>Pb.

  • PDF

안개시 휘도에 따른 색상별 판독거리 산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Legibility Distance Models for Each Color according to Luminance under Foggy Condition)

  • 김철용;이상수;윤일수;오주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2-6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안개 발생시 휘도에 따른 도로전광표지에 사용되는 색상별 판독거리 모형을 실험을 통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의환경을 구축하였고, 휘도를 단계별로 증가시키면서 적색, 녹색, 황색의 판독거리 값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적색은 시정거리 10m에서 휘도 2,000cd/㎡와 20,000cd/㎡ 일 때의 판독거리가 각각 10.2m와 18.8m로 84% 향상되었다. 시정거리 20m에서는 34%, 시정거리 30m에서는 17% 판독거리가 향상되었다. 녹색은 시정거리 10m에서 69%, 20m에서는 63%, 30m에서는 19% 판독거리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황색은 시정거리 10m에서 100%, 20m에서는 47%, 30m에서는 36% 판독거리가 향상되었다. 판독거리 산출 모형은 각 색상별 휘도값과 시정거리를 독립 변수로 하여 개발하였다. 추정된 적색, 녹색, 황색 모형식의 수정 결정계수는 각각 0.982, 0.978, 0.915로 계산되어 모든 모형의 설명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시화호 유역 하천수 일반수질 및 중금속의 변화 및 유출 특성 연구 (Regional Variation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Stream Water Quality and Heavy Metals Around the Shihwa Lake Basin)

  • 정혜령;김경태;김은수;이승용;나공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6-8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유역 하천수의 일반수질 및 중금속의 변화 및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화호로 유입되는 하천수 중 일반수질 및 중금속의 분포 특성, 토지이용형태에 따른 농도비교 및 하천을 통한 유출부하량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화호 유역 하천을 토지이용형태에 따라 산업지역, 도심 및 농업지역으로 구분하여 일반수질 농도 비교를 실시하였을 때, 하천수 중 DO, SS, POC, $NO_3$와 Chl-a는 농업지역이 산업 및 도심지역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COD, DIN, $PO_4$, TN, TP, DOC와 TOC는 산업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하천수 내 수질 및 중금속 분석항목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3월~5월 조사시기에 상대적으로 농도가 높고 7월~8월에는 강우에 의한 영향으로 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하천유량과 농도를 이용하여 계산된 일반수질의 유출부하량은 SS 1,172 kg/d, TN 151 kg/d, TP 11.1 kg/d, TOC 389 kg/d이었고, 농업지역인 장전보가 전체 유출부하량에서 47.5%(TP)~75.1%(SS)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천수 내 Cu, Zn, Cd은 산업단지 하천을 통한 유출부하량이 전체의 92%를 초과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Zn>Cu>Ni>Pb>Co>Cd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과 과수원토양(果樹園土壤)과 그 잎중(中)의 중금속(重金屬) 함량간(含量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Heavy Metal Contents of Apple Orchard Lands and its'Leaves)

  • 김동호;임수길;권오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
    • /
    • 1989
  • 사과잎중(中)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을 측정하고 과수원토양과 사과잎중(中)의 중금속함량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규명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58개 과수원에서 채취한 사과잎 시료 중(中) Cu, Cd 및 Pb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과잎중(中)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Cu 26,44 (6.23-182.85) ppm, Cd 0.34 (0.07-0.61) ppm, pb 9.47(0.00-225.50) ppm 이었다. 2. 토양(土壤)과 사과잎중(中)의 중금속함량간(間)의 상관관계 분석(分析)에서 Cu와 Pb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을 보였고, Cd은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사과 두 품종(品種) 국광과 홍옥 및 기타품종을 분류 비교한 결과 품종간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3.토양과 사과잎중(中)의 중금속함량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IN\;NH_4\;OAC$ (pH 7.0) 침출액 보다는 0.1N HCl 침출액을 토양침출액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높은 유의성있는 정(正)의 상관을 보여서 0.1N HCl이 더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대전지방(大田地方) 하천지역(河川地域) 경작토중(耕作土中)의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 (Heavy Metal Contents of the Drainage-basin Soil in Daejon Area)

  • 김문규;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8-82
    • /
    • 1983
  • 대전지방(大田地方)의 주요하천(主要河川)인 대전(大田)과 유등천변(柳等川邊)의 농경지토양(農耕地土壤)에 대한 토양(土壤)의 염류농도(鹽類濃度)등 일반적성질(一般的性質)과 중김속함량(重金屬含量)을 밭토양 27점(點)과 논토양 36점(點)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밭토양의 평균 pH는 6.00, 총유기물함량은 3.97%이었고, 논토양의 평균 pH는 6.08, 총유기물함량은 3.69%이었다. 2) 밭토양과 논토양중의 K, Ca, Mg 및 Na의 함량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며, SAR은 밭토양이 10.56, 논토양이 13.20으로서 경작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수준이었다. 3) 밭토양중의 평균중금속함량(범위)은 Pb이 6.75 ppm($2.33{\sim}11.65 ppm$), Cr이 1.77 ppm($0.58{\sim}4.0 ppm$), Cd 이 0.7 ppm($0.09{\sim}1.83 ppm$) Cu가 9.96 ppm($t{\sim}19.36 ppm$), 그리고 Zn이 19.99ppm($2.38{\sim}47.90 ppm$)이었다. 4) 논토양중의 평균중금속함량은 Pb이 7.77ppm($t{\sim}15.5 ppm$), Cr이 1.91 ppm($t{\sim}9.38 ppm$), Cd이 0.21ppm($t{\sim}2.05 ppm$), Cu가 11.17 ppm($t{\sim}21.96 ppm$), 그리고 Zn이 18.01 ppm($1.65{\sim}40.0 ppm$)이었다.

  • PDF

유기황의 수준별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세포성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rganic Sulfur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of Laying Hens)

  • 임천익;최호성;강창원;이병건;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97-107
    • /
    • 2018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에 유기황의 수준별 첨가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세포성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31주령 로만브라운종에 분말 형태의 유기황을 기초사료에 0%, 0.1%, 0.2%, 0.4%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18수씩 전체 360수를 수용하여 24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란 수와 난중은 매일 조사하였고, 계란품질은 8주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난황지방산과 혈액은 산란계 42와 54주령에 분석하였으며, 계란의 황 함량, IL-2 및 CD4+와 CD8+은 사양실험 종료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31~38주령에 산란율은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39주령 이후 유기황의 급여수준에 따라 대조구와 차이를 보였으며, 47~54주령의 산란율은 0.4%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계란의 난백높이와 호우유닛은 유기황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계란의 난황 내 다중불포화지방산은 첨가수준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유기황 수준이 증대됨에 따라서 불포화 지방산은 증가하였고, 포화지방산은 감소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54주령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P<0.05). 계란에서 황 함량은 유기황 첨가 수준에 증대함에 따라서 증가되었다(P<0.05). 또한 혈청 알부민은 42주령에서 유기황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AST는 감소하였다(P<0.05). 단백질은 42주령의 산란계에서 유기황 급여에 따라 현저히 증대되었고(P<0.05), HDL 콜레스테롤은 유기황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P<0.05). 비장과 혈중 IL-2 및 CD4+/CD8+도 유기황의 첨가수준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그러므로 산란계에 0.4% 유기황의 첨가급여로 생산성, 계란품질 및 세포성 면역능력은 개선되었다.

중부지역 과수원 토양중의 중금속 함량 평가 (Assessment on the Content of Heavy Metal in Orchard Soils in Middle Part of Korea)

  • 정구복;김원일;이종식;신중두;김진호;윤순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1
    • /
    • 2004
  •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1998년 $3{\sim}5$월에 과수원 토양 164지점(경기 48, 강원 36, 충북 36, 충남 44지점)을 대상으로 표토($0{\sim}20\;cm$)와 심토($20{\sim}40\;cm$)로 나누어 채취하여 토양내 중금속함량과 분포특성,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 및 토양 이화학성과의 관계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수원 토양중 0.1N-HCl 침출성 평균함량은 Cd 0.080, Cu 4.23, Fb 3.42 mg/ks 1N-HCl 침출성 As 평균함량은 0.44 mg/kg, 중금속 총함량은 Zn 78.9, Ni 16.09 및 Hg 0.052 mg/kg 이었다. 과수원 토양내 중금속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 우려기준(Cd 1.5, Cu 50, Pb 100, Zn 300, Ni 40, Hg 4 mg/kg)과 비교하여 $1/2.5{\sim}1/76.9$ 수준으로 안전하였다. 토양의 중금속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은 Cd $5.4{\sim}9.2$, Cu $27.9{\sim}47.8$, Pb $12.6{\sim}21.8$, Zn $15.8{\sim}20.3$, Ni $5.3{\sim}6.3$, Cr $0.7{\sim}3.6%$ 이었고, 특히 0.05 M-EDTA 침출성 Cu 및 Pb의 침출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Cd, Pb 및 Ni의 총함량은 모래함량과 부의상관, 미사와 점토함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토양의 중금속 총함량에 대한 침출액별 가용성 함량비율은 점토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Zn과 Ni의 함량비율은 토양 pH값, 유기물 및 유효인산 함량과 정의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과수원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기준보다 매우 낮아 안전하였으나 영농활동에 의한 영향으로 볼 수 있는 농도수준이 검출된 일부 토양에서 조사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친환경농업 측면으로 볼 때 영농형태별 중금속의 분포 및 농업자재에 의한 농경지내 중금속 부하량에 근거하여 중금속 오염유무를 평가할 수 있는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현행 백과사전에 관한 평가적 연구 (An Evaluative Study on Major Korean Encyclopedias)

  • 김문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8년도 제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50
    • /
    • 1998
  • 본 연구는 최근 발행 종 수 및 부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 형태 면에서도 인쇄본, CD-ROM, 온라인, 인터넷 백과사전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백과사전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근거하여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백과사전을 실증적으로 평가,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일반 독자나 도서관에서의 백과사전 선택을 위한 실제적인 지침을 마련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백과사전의 편집과 출판을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 PDF

TM4SF5-mediated protein-protein networks and tumorigenic roles

  • Lee, Jung Weon
    • BMB Reports
    • /
    • 제47권9호
    • /
    • pp.483-487
    • /
    • 2014
  • Transmembrane 4 L six family member 5 (TM4SF5), as a membrane glycoprotein with 4 transmembrane domains, is similar to the tetraspanins in terms of membrane topology and plays important roles in tumorigenesis and tumor metastasis. Especially, TM4SF5 appears to form a massive protein-protein complex consisting of diverse membrane proteins and/or receptors in addition to cytosolic signaling molecules to regulate their signaling activities during the pathological processes. TM4SF5 is shown to interact with integrins ${\alpha}2$, ${\alpha}5$, and ${\beta}1$, EGFR, IL6R, CD151, focal adhesion kinase (FAK), and c-Src. This review focuses on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actions with regards to TM4SF5-positive tumorigenesis and metast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