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D-986sk cell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Potential prevention effects of Rubus occidentalis seed on UVB-induced MMP-1 production and procollagen degradation in CCD-986sk cells

  • Kim, Dong-Hee;Park, Tae-Soon;Son, Jun-H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17-322
    • /
    • 2016
  • UV exposure induces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extracellular matrix-degrading enzymes expression. We studied the protective effect of Rubus occidentalis seed against UVB-generated skin photoaging using human fibroblast cells (CCD-986sk). We used an ELISA kit to measure the supernatents of procollagen type I and MMP-1 in CCD-986sk cells after they were exposed to UVB irradiation. The CCD-986sk cells that were used with RC-E/E after the UVB irradiation caused higher levels of type I procollagen and lesser levels of MMP-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RC-E/E treated group showed lesser MMP-1 levels and higher procollagen type I levels than the untreated counterpart.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Rubus occidentalis seed can prevent from skin photoaging.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α-MSH 유도 B16-F0 세포의 멜라닌 생성 및 UVB 유도성 CCD-986sk 세포 손상에 미치는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Elaeagnus umbellata Leaves on α-MSH-induced Melanin Production in B16-F0 Cells and UVB-induced Damage in CCD-986sk Cells)

  • 박세호;지광환;양선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5-563
    • /
    • 2019
  • 본 연구는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추출물의 피부와 관련된 생리활성을 보고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정량 분석을 통해 갈산이 중요한 페놀 화합물임을 확인하였고 HepG2 간암 세포의 증식에 대한 억제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alpha}$-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으로 유도된 B16-F0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및 타이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피부 미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UVB가 조사된 CCD-986sk 세포를 사용하고, type I procollagen과 metalloproteinase-1 (MMP-1) 방출을 측정하여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B16-F0 세포와 비교하였을 때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는 것을 나타내었다($100{\mu}g/ml$에서 33.0% 억제). ${\alpha}$-멜라닌 세포 자극 호르몬으로 유도된 B16-F0 세포에서의 타이로시나제 활성은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었다($100{\mu}g/ml$에서 47.8% 억제). 또한,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UVB 조사 대조군에 비해 CCD-986sk 세포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type I procollagen ($250{\mu}g/ml$에서 1.74배)의 생산을 증가시켰다. 또한,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은 $10-500{\mu}g/ml$의 농도에서 UVB가 조사된 CCD-986sk 세포의 MMP-1 방출을 억제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리수나무 잎 에탄올추출물이 피부미백 및 주름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 건강에 유용한 식용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CCD-986Sk cell에서 주름개선 생리지표에 미치는 영향 (fects of Cuscuta Chinensis Lamark Ethanol Extract on Wrinkle Improvement Bio-markers by UVB-induced CCD-986Sk Cell)

  • 주인환;최학주;심부용;민가율;김동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21-32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scuta chinensis Lamark ethanol extract (CL) on wrinkle improvement. Cuscuta chinensis Lamark is known to contain dried saccharide, alkaloids, flavonoids, lignans and rein glycoside as major components of dried mature seeds of Cuscuta japonica Chois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wrinkle effects of CL and investigated bio-markers (e.g ; MMP-1, MMP-3, MMP-9, TIMP-1, type I procollagen) associated with skin wrinkle improvement. We tested the anti-wrinkle effect of CL using human fibroblast called CCD-986Sk cell. We observed an increase in MMPs, TIMP-1, and type 1 pro-collagen CL in CCD-986Sk cells irradiated with UVB at an intensity of $2mJ/cm^2$ for 60 seconds. As a result, CL decreased UVB-induced MMPs levels and mRNA expressions in CCD-986Sk cell. The levels and mRNA expressions of type I procollagen and TIMP-1 were increased by C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 has activities on improvement of skin wrinkle, which is induced by UVB radiation.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pos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herbal medicine and functional herbal cosmetic materials with wrinkle-improving effects of Cuscuta chinensis Lamark.

연잎 에탄올 추출물이 피부 주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Anti-oxidation and Type I Procollagen Expression in CCD-986sk Cells)

  • 양웅모;김향미;장문석;박완수;김원남;김산웅;최동기;이학철;김윤경;박성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7-75
    • /
    • 2006
  • The natural plants were screened for new cosmetic materials. Many parts of Nelumbo nucifera has been investigated for anti-wrinkling and anti-furrowing effects. The leaves. flowers and stamens of Nelumbo nucifera were extracted with ethanol or distilled water. The effects of cell viability and $H_2O_2-induced$ cytotoxicity were studied on CCD-986sk human fibroblast cell line by MTT assay. We measured various effects related to skin such as the synthesis of MMP-1 and type I procollagen. The ethanol extra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ENL) at concentrations of 30 ${\mu}g/ml$ showed maximum cell viability on CCD-986sk cells by 129.70%. and $H_2O_2-induced$ cytotoxicity was blocked by ENL (5. 10. 20. 30. and 40 ${\mu}g/ml$) concentration-dependently. The synthesis of MMP-1 and type I procollagen were positive in ENL.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L has anti-oxidant and anti-furrowing effects.

  • PDF

CCD-986sk 세포 내 주박 분획물의 항주름 효능 (Anti-wrinkle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Jubak on CCD-986sk)

  • 장영아;이혜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508-51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주박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분획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평가와 인간섬유아세포인 CCD-986sk 세포에서의 주름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 1,000 ㎍/ml 농도에서 75.5%로 나타나 분획 용매 중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Elastase, Collagenase 저해 활성 측정을 통해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두 실험 결과 모두 주박 Ethyl Acetate 분획물이 1,000 ㎍/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UVB로 유도된 CCD-986sk 세포 내 pro-collagen type I의 합성율을 측정한 결과 주박은 동일농도에서 20 ㎍/ml에서 Ethyl Acetate, Water, Acetonitrile, Hexan 분획물 순으로 높은 효능을 보였다.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의 저해률을 측정한 결과 4가지 용매 분획몰은 20 ㎍/ml에서 모두 70% 이상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Real time PCR 실험에서 pro-collagen type I, MMP-1 및 MMP-3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UVB 단독군 대비 Jubak 추출물을 함께 처리했을 때 pro-collagen type I의 단백질 발현량이 증가되었고, MMP-1과 MMP-3의 mRNA 발현량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조군(EGCG) 다음으로 Ethyl Acetate 추출물이 주름 개선에 가장 효능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주박의 용매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은 UVB 자극에 의한 광노화에 대한 항주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화장품의 천연물 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CCD-986sk 세포내에서의 노랑어리연꽃 추출물 및 분획물의 주름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Nymphoides peltata on CCD-986sk)

  • 김유아;김동희;유재묘;박채빈;박태순;박병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57-362
    • /
    • 2017
  • 본 연구는 새로운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노랑어리연꽃 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하여 섬유아세포내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노랑어리연꽃 추출물 및 분획물의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항노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EA 분획물이 UVB에 의해 증가된 ROS 발현을 50% 이상 억제하였으며, BuOH 분획물의 경우 pro-collagen mRNA 발현을 $25{\mu}g/mL$에서 50% 이상 발현을 증가시켰다. EA 분획물과 BuOH 분획물 모두 MMP-1 protein과 mRNA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시켰으며, BuOH 분획물의 경우 $10{\mu}g/mL$에서 40% 이상의 MMP-1 mRNA 발현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이는 노화 인자인 활성산소종의 생성 억제와 주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의 합성 및 분해억제를 통해 항산화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EA 와 BuOH 분획물의 높은 효능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랑어리연꽃 EA 및 BuOH 분획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항노화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균 효능이 있는 비타민 B1 유도체(Thiamine Dilauryl Sulfate:TDS)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기능성 향장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by Nano-encapsulation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with antimicrobial efficacy)

  • 서용창;노라환;권희석;이현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5-213
    • /
    • 2013
  • 본 연구는 레시틴으로 나노입자화 시킨 티아민 디라우릴 설페이트의 향장활성 증진에 관한 것이다. TDS를 포집시킨 나노입자는 150 ~ 200 nm의 크기를 나타내는 구형이며, 또한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여 여러 pH 범위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TDS 나노입자는 인간 섬유아세포(CCD-986sk)에 높은 농도를 처리하여도 85%의 세포생존률을 보였다. 자유라디칼소거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나노입자화하지 않은 TDS 희석액(1.0 mg/mL)은 81.6%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나노입자화한 TDS 용액은 이보다 더 높은 88.1%의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TDS 나노입자는 자외선을 조사시킨 CCD-986sk에서 MMP-1의 발현을 41.4% 감소시켰다. TDS 용액과 TDS 나노입자를 가지고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TDS 나노입자의 경우 양성대조군의 항균활성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TDS 나노입자가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효능같은 향장 소재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고로쇠 및 우산고로쇠나무의 부위별 미백 및 피부면역 활성 (Skin Whitening and Skin Immun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Acer mono and Acer okamotoanum)

  • 정명훈;김승섭;김지선;이학주;최근표;이현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470-478
    • /
    • 2010
  • 고로쇠 및 우산고로쇠나무의 각 부위별 UV보호능에 의한 피부미백과 피부면역활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로쇠 및 우산고로쇠나무의 수피 부위는 다른 부위의 2.67% 그리고 2.45%보다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내었다. 섬유아세포인 CCD-986sk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 1.0 mg/mL의 농도에서 21.64%보다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다. 고로쇠나무 수피 추출물은 UV를 조사한 CCD-986sk 세포에서 30%이하의 MMP-1 발현을 억제하였다. 1.0 mg/mL의 고로쇠 수피 추출물의 경우 $PGE_2$ 발현이 상당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고로쇠 및 우산고로쇠나무의 수피 추출물이 다른 부위보다 높은 활성을 보이는데 반해 흥미롭게도 우산고로쇠나무의 목부 추출물은 Clone-M3세포에서 79.25%의 높은 멜라닌 생성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로쇠 및 우산고로쇠 수피 추출물이 목부 추출물에 비해 높은 향장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 추출물이 피부미백과 피부면역활성을 가짐으로서 앞으로 향장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α-Mangostin and Apigenin Induced Cell Cycle Arrest and Programmed Cell Death in SKOV-3 Ovarian Cancer Cells

  • Ittiudomrak, Teeranai;Puthong, Songchan;Roytrakul, Sittiruk;Chanchao, Chanpe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167-179
    • /
    • 2019
  • Ovarian cancer is the fifth main cause of pre-senescent death in women. Although chemotherapy is generally an efficient treatment, its side effects and the occurrence of chemotherapeutic resistance have prompted the need for alternative treatments. In this study, ${\alpha}$-mangostin and apigenin were evaluated as possible anticancer alternatives to the chemotherapeutic drug doxorubicin, used herein as a positive control. The ovarian adenocarcinoma cell line SKOV-3 (ATCC No. HTB77) was used as model ovarian cancer cells, whereas the skin fibroblast line CCD-986Sk (ATCC No. CRL-1947) and lung fibroblast line WI-38 (ATCC No. CCL-75) were used as model untransformed cells. Apigenin and doxorubicin inhibited the growth of SKOV-3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fter 72 hr exposure, doxorubicin was mostly toxic to SKOV-3 cells, whereas apigenin was toxic to SKOV-3 cells but not CCD-986Sk and WI-38 cells. ${\alpha}$-Mangostin was more toxic to SKOV-3 cells than to CCD-986Sk cells. A lower cell density, cell shrinkage, and more unattached (floating round) cells were observed in all treated SKOV-3 cells, but the greatest effects were observed with ${\alpha}$-mangostin. With regard to programmed cell death, apigenin caused early apoptosis within 24 hr, whereas ${\alpha}$-mangostin and doxorubicin caused late apoptosis and necrosis after 72 hr of exposure. Caspase-3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pha}$-mangostin-treated SKOV-3 cells after 12 hr of exposure, whereas only caspase-9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pigenin-treated SKOV-3 cells at 24 hr. Both ${\alpha}$-mangostin and apigenin arrested the cell cycle at the $G_2/M$ phase, but after 24 and 48 hr, respectively. Significant upregulation of BCL2 (apoptosis-associated gene) and COX2 (inflammation-associated gene) transcripts was observed in apigenin- and ${\alpha}$-mangostin-treated SKOV-3 cells, respectively. ${\alpha}$-Mangostin and apigenin are therefore alternative options for SKOV-3 cell inhibition, with apigenin causing rapid early apoptosis related to the intrinsic apoptotic pathway, and ${\alpha}$-mangostin likely being involved with inflammation.

어리연꽃으로부터 분리한 Sweroside의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s of Sweroside Isolated from Nymphoides indica)

  • 김유아;김동희;박채빈;박태순;박병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3-1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신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해 어리연꽃으로부터 분리한 sweroside를 이용하여 섬유아세포 내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CCD-986sk 세포를 이용하여 sweroside의 항노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UVB에 의해 증가된 ROS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pro-collagen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MMP-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보면, sweroside는 화장품 분야에서 신규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