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40 carotenoid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7초

우렁쉥이 젓갈 숙성 중 지질산화 (Lipid Oxidation during Ferment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이강호;조호성;여생규;손병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03-608
    • /
    • 1998
  • Lipid oxidation in ascidian was studied when fresh, deshelled and sliced meats were fermented for 50 days at 5$\pm$2$^{\circ}C$ with 8%(w/w) salt and 0.1% papain. Antioxidative effects of butylated hydroxytoluene(BHT) and carotenoid extracts from ascidian tunic on lipid oxidation and oxidationrelated discoloration of ascidian meat during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Changes in peroxide value, carbonyl value, thiobarbituric acid value, fatty acids composition, the loss of total carotenoid and sensory evaluation were determined to assess the rancidity. Peroxide and carbonyl values in BHT and carotenoid extract treatments increased less than those of the control during fermentation. TBA value increased until 30 days, hereafter tended to decrease a little in the control during fermentation. TBA value increased until 30 days, hereafter tended to decrease a little in the control but it increased slowly until 40 days in cases of 0.02% BHT or 0.02% BHT with 0.05% carotenoid added. Fatty acids of fresh ascidian composed of polyenoic acid, saturated acid and monoenoic acid of 51.5%, 28.1% and 20.7%, respectively. Saturated fatty acids(C16:0, C14:0, C18:0) and monoenoic acids(C18:1, C16:1) increased while polyenoic acids(C20:5, C22:6)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Carotenoid was markedly degraded and discolored in the control during fermentation. But 0.02% BHT and 0.05% carotenoid treatments had bright color like fresh meat during 40 days.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during the fermentation also convinced the retard of discoloration by the addition of BHT and carotenoid.

  • PDF

식용곤충 갈색거저리에서 분리한 카로테노이드 생성균주인 Pantoea intestinalis SRCM103226 균주의 유전체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antoea intestinalis SRCM103226, a microbial C40 carotenoid zeaxanthin producer)

  • 김진원;하광수;정성엽;정도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67-170
    • /
    • 2019
  • Pantoea intestinalis SRCM103226은 식용곤충 밀웜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zeaxanthin을 메인으로 생산하였다. P. intestinalis SRCM103226의 유전체 분석을 실시하여 4,784,919 bp 크기의 염기서열, GC 비율은 53.41%로 나타났으며, 플라스미드는 존재하지 않는다. RAST server를 이용하여 annotation한 결과 4,332개의 코딩유전자, 22개의 rRNA, 85개의 tRNA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지놈분석결과 zeaxanthin 생합성회로 5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전체 정보는 zeaxanthin 생합성 경로의 분자 진화의 비교 유전체학 연구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넙치와 방어의 Carotenoid 색소성분 (Carotenoid Pigments of Flounder and Yellowtail)

  • 하봉석;강동수;조영숙;박미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7-413
    • /
    • 1992
  • 천연산 및 양식산 넙치와 방어의 표피 carotenoid를 TLC, column chromatography, UV-visible spectropho-tometer 및 co-TLC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넙치의 총 carotenoid함량은 양식산 1.16mg%로서 천연산 1.38mg%보다 낮은 함량치를 보였고, carotenoid조성은 양식산이 lutein, zeaxanthin, tunaxanthin, triol 및 $\alpha$-cryptoxanthin의 순으로 함유하였고, 천연산은 tunaxanthin, zeaxanthin, triol, lutein 및 $\alpha$-cryptoxanthin의 순으로 함유하며, 천연산은 양식산에 비하여 tunaxanthin, triol의 함량이 논은 반면, lutein, zeaxanthin의 함량에서 휠씬 낮은 함량치를 보여 차이가 있었다. 방어의 총 carotenoid함량은 양식산 0.09 mg%로서 천연산 1.08mg%보다 휠씬 낮은 함량치를 보였고, carotenoid조성은 양식산, 천연산 모두 tunax-anthin의 획분이 총 carotenoid의 약 95%로 대부분을 차지 하며, tunaxanthin은 tunaxanthin A, tunaxanthin B 및 tunaxanthin C의 세가지 혼합물로 확인되어 서로 유사하였으나, tunaxanthin A와 tunaxanthin B의 함량에서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어류의 총 carotenoid 함량과 carotenoid의 구성성 분은 어종 뿐만 아니라 먹이와 생육조건 등의 서식환경에 의해서도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광합성세균 Rhodopseudomonas palustis 분리 및 IAA와 Carotenoid 생성에 관한 연구 (Isolation of Photosynthetic Bacterium, Rhodopseudomonas palustris JK-1 and Researches on IAA and Carotenoid Production)

  • 김유경;조영윤;강호준;김정선;양성년;좌창숙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43-8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한라산 중산간 습지대 28개소에서 IAA 및 carotenoid 생성능이 우수한 광합성 세균 1종을 최종 선발하였으며, 16S rRNA 염기서열 분석과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Rhodopseudomonas palustris JK-1 균주로 동정하였다. JK-1 균주의 최적배양조건을 선발하기 위하여 pH, 온도, 빛 및 통기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균주의 생장과 IAA 및 carotenoid 등 광합성색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 JK-1 균주는 명/혐기조건에서 균생장, IAA 및 광합성색소 생성이 양호하였으며 암/혐기조건에서 균생장, IAA 및 광합성색소 형성이 모두 크게 억제되었다. 명/혐기조건에서 균생장, IAA 및 carotenoid 등 광합성색소의 생산을 위한 최적 pH, 온도 및 배양회전속도는 각각 7, $30^{\circ}C$, 150 rpm, 9, $30^{\circ}C$ 및 150 rpm, 그리고 6, $25^{\circ}C$ 및 50 rpm이었다. 그리고 명/호기조건(0.5~1 vvm)에서는 명/혐기조건(0 vvm)보다 균생장 및 IAA 합성이 양호하였으나 광합성색소 형성은 크게 억제되었다. 따라서 최적배양조건은 명/혐기조건에서 pH 7, 온도 $30^{\circ}C$ 및 회전속도 100 rpm을 선발하였으며, IAA 합성을 유도한 배양액을 생육촉진 효과검증에 이용하였다. 시험결과 R. palustris JK-1 균주를 열무에 3% (v/v) 처리 시 지상부 및 지하부 건물중이 무처리 및 배지처리구 대비 각각 20~58% 및 40-28% 증가하였다.

미생물에 의한 카로티노이드 생산; 생물학적 기능성 및 상업적 적용 (Microbial Production of Carotenoids: Biological Functions and Commercial Applications)

  • 서용배;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6-737
    • /
    • 2017
  • Carotenoid는 isoprenoid 화합물로써 3-15개의 이중 결합이 결합된 긴 polyene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적 특성에 의해 최대 흡수파장대가 결정된다. 카로티노이드는 전형적으로 $C_{40}$ 탄화수소 골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에는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작용기로 인해 cyclic 또는 acyclic의 크산토필을 형성하기도 한다. 현재 대부분의 세계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합성 카로티노이드의 대안을 찾기 위해 천연물(식물, 미생물, 갑각류 부산물) 유래의 카로티노이드를 생산 및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직 몇몇 카로티노이드(${\beta}-carotene$, lycopene, astaxanthin, canthaxanthin, lutein)만이 천연물 소재에서 분리 또는 발효되어 상업적으로 이용된다. 카로티노이드가 만성질환 예방 및 발암 억제 작용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지면서 카로티노이드 시장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사료,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써의 카로티노이드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카로티노이드 생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미생물 및 식물을 이용한 대사공학적 접근법에 의한 카로티노이드 대량생산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 균주, 대사공학 적용에 따른 대량 생산 방법, 생물학적 작용기전 및 산업적 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해양미생물로부터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생산을 위한 최적조건 (Optimal Growth Conditions for Carotenoid Pigment Production from marine Microorganism)

  • 정영기;김태수;정명주;류병호;주우홍;박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39-1243
    • /
    • 1999
  • The optimal medium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carotenoid pigment from Haloarcular sp. EH 1 as a dietary for fishes were 1.0% sucrose, 1.0% yeast extract, 25% sodium chloride, 0.3% sodium citrate, 0.2% potassium chloride, 2.0% magnesium sulphate, 0.002% ferric sulphate(pH 7.0). The incubation temperate, aeration rate and agitation speed were 40oC, 100ml medium/500ml vol. shaking flask, and 180 rpm/min. The carotenoid pigment production was highest after 5 days of incubation with the light.

  • PDF

향신재료를 이용한 Oleoresin제조에 관한 연구 2. 고추 Oleoresin의 품질안정성 (Studies on Oleoresin Product from Spices 2. Quality Stability of Red Pepper Oleoresin)

  • 배태진;최옥수;박재림;김무남;한봉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09-614
    • /
    • 1991
  • 고추의 효율적인 이용의 한 방안으로서 고추 oleoresin을 제조하여 품질 및 저장 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고추 oleoresin을 제조하여 품질 및 저장 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고추 oleoresin중 carotenoid의 열안정성은 외기가 질소로 치환된 조건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가열온도 $100^{\circ}C$에서 3시간 및 10시간 가열 후의 잔존율은 대기중에서는 각각 61.9% 및 42.3%였고 질소 존재하에서는 각각 95.4% 및 92.3%였다. 또한 capsaicin의 경우는 열안정성이 비교적 높아 $100^{\circ}C$에서 3시간 및 10시간 가열할 때의 잔존율은 대기중에서는 84.7% 및 81.3%였고, 질소로 치환된 조건에서는 90.7% 및 87.5%였다. 저장온도($5^{\circ}C,\;25^{\circ}C\;및\;40^{\circ}C$)에 따른 색도의 변화는 Hunter scale로써 나타낼 경우 L 및 b값은 저장일수의 경과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으나 적색도인 a값은 약간 감소하였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감의 변화가 다소 컸다. 각 저장온도에서의 carotenoid 파괴는 1차반응에 따랐으며 이 저장온도 범위에서의 활성화에너지는 5.03Kcal/mole이었으며, carotenoid의 잔존율은 저장 60일 후 각각 69.4%, 48.0% 및 35.1%로 저장중 다소 불안정 하였으나, carotenoid의 경우는 각 저장온도에서 60일 후 91.2~97.1%의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어 매우 안정하였다. 저장중 pH의 변화는 저장 60일 동안 $5^{\circ}C$ 저장의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pH는 다소 증가하였다.

  • PDF

토마토 종류에 따른 카로티노이드 함량 비교와 다중분석법 개발 (Method Development and Analysis of Carotenoid Compositions in Various Tomatoes)

  • 김한결;천진혁;김선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6-203
    • /
    • 2015
  • BACKGROUND: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PLC analysis method development of lycopene in tomato. And then, three components of carotenoid in four kinds of tomatoes (general tomato, cherry tomato, red and orange date tomato)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METHODS AND RESULTS: Lycopene in tomato was extracted with hexane likes other carotenoid components using 500 mg of dried powder sample. HPLC analysis conditions were column temperature ($40^{\circ}C$), detection wavelength (454 nm), flow rate (1.0 mL/min) and injection volume ($20.0{\mu}L$). Lycopene was analyzed by the gradient elution ($60{\rightarrow}100%$) of the mobile phase solvents A[water: methanol=25: 75 (v/v)] and B[ethyl acetate]. CONCLUSION: Three components of carotenoids (lutein, ${\beta}$-carotene, lycopene) were observed in tomatoes.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was the highest in red date tomato (662.0 mg/kg dry wt.) and the lowest in orange date tomato (111.3 mg/kg dry wt.). Lycopene contents in tomatoes was the highest percentage (93%) among all the carotenoids.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김부각의 산화안정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Made of Aqueous Green Tea)

  • 박복희;최희경;조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7-564
    • /
    • 2001
  •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김부각을 제조하여 $60^{\circ}C$의 항온기에서 40일간 저장하면서 김부각의 산화안정성 및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산가와 과산화물과는 저장기간 동안 FKBG-5% AGT군이 control이나 FKBG-10% AGT군에 비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녹차 수용성 추출물로 만든 김부각을 튀겼을 때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C_{18:2}$), oleic acid($C_{18:1}$), palmitic acid($C_{16:0}$)의 순으로 많았다. Control은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첨가한 김부각에 대해 포와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불포화지방산 중 monoene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polyen의 함량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Carotenoid와 chlorophyll a 모두 녹차 수용성 추출물이 첨가된 김부각이 대조군보다, 튀기지 않은 김부각이 튀긴 김부각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녹차 수용성 추출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chlorophyll a의 함량은 높았으나 carotenoid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 김특유의 냄새와 후미는 튀긴 부각과 튀기지 않은 부각 모두 5% 녹차 수용성 추출물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전제적인 기호도는 튀긴 부각과 튀기지 않는 부각 모두 녹차 수용성 추출물로 만든 김부각이 control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 PDF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7. 우렁쉥이 젓갈의 제조 및 품질평가(III)-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7. Processing and Quality Evaluation of Fermented Ascidian(III)-)

  • 이강호;조호성;이동호;김민기;조영제;서재수;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0-345
    • /
    • 1993
  • 우렁쉥이 젓갈의 실용화를 위하여 적정 효소 및 숙성 조건을 토대로 하여 상온에서 $1{\sim}2$일간 숙성 시킨 후 저온 저장하였을 때의 젓갈의 품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 저장중 아미노질소는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식염 농도가 높은 것이 다소 낮았다. 휘발성염기질소도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papain이나 protease-A를 첨가한 경우는 식염 $5\%$때 저장 30일경, $10\%$$15\%$의 경우는 약 40일경에 $35mg/100g$에 달하였다. Total creatinine의 변화는 저장 2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total carotenoid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저장중 환원당은 증가하였으며 복합효소인 protease-A를 첨가한 경우가 환원당 생성이 월등히 높았다. Glycogen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protease-A는 식염 $5\%$$10\%$를 첨가한 경우는 저장 30일경에 식염 $15\%$의 경우는 저장 40일경에 완전히 소실되었다. 저장중 갈변도는 큰 변화는 없었다. 3. 저온 저장중 관능 검사 결과 $0.1\%$ papain과 $0.1\%$ protease-A에 식염 $5\%$를 첨가한 경우 저장 30일경부터, 식염 $10\%$$15\%$를 첨가한 경우는 저장 40일경에 우렁쉥이 특유의 상큼한 향기와 맛이 퇴조하였다. 따라서 여러 가지 화학적 분석 결과와 관능적 품질 평가를 종합하여 볼 때 상온 숙성 후 저온 저장시 식염 농도에 따라 $20{\sim}40$일까지는 우렁쉥이 특유의 향기와 우렁쉥이 젓갈 특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장기간의 연장을 위해서는 저장온도의 저하와 퇴색 방지를 위한 항산화제 또는 보장제를 보조적으로 첨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