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robust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RCP 시나리오에 따른 해양교란생물 유령멍게(Ciona robusta)의 서식지 분포 예측 (Prediction of the Suitable Habitats of Marine Invasive Species, Ciona robusta based on RCP Scenarios)

  • 박주언;홍진솔;김동건;윤태중;신숙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87-693
    • /
    • 2018
  • The active development of the global marine trade industries has been known to increase the inflows of marine invasive species and harmful organisms into the ecosystem, and the marine ecological disturbances. One of these invasive species, Ciona robusta, has now spread to the Korea Strait, the East Sea, and Jeju Island in connection with the climate change but not the Yellow Sea in Korea. Currently, the spread and distribution of C. robusta is increasingly damaging aquaculture and related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pread of C. robusta and potential habitats and to secure a data for the prevention of effective management measures due to climate change as well as damage the reduction in future through the prediction of spread. We used environmental variables in BioOracle. Also, the potential habitat and distribution of C. robusta was predicted using MaxEnt, a species distribution model. Two different RCP scenarios(4.5 and 8.5) were specified to predict the future distributions of C. robus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iggest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C. robusta was the salinity as well as the highest distribution and potential habitats existent in the East Sea and around Jeju Island.

Metazoan Parasites Observed in Darkblotched Rockfish, Sebastes crameri (Jordan) in Newport Fish Market

  • Chun, Kae-Shik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09-311
    • /
    • 2002
  • A total of ten specimens of darkblotched rockfish, Sebastes crameri obtain-ed from Newport fish market were examined for parasites during February, 2002. Eight out of ten S. crameri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metazoan parasites. They were flatworm Trochopus australis, nematoda Anisakis simplex, and copepods Neobrachiella robusta and Chondracanthus triventricosus. Nine (30.0%) T. australis, seven (30.0%) N. robusta, one (10.0%) C. triventricosus and seven (60.0%) A. simplex were infected. Among them, A. simplex was the most abundant and prevalent metazoan parasites in S. crameri. T. australis and N. robsta were found in gills with moderate intensity (1.7 and 1.9, respectively), and C. triventricosus in dorsal fin with low intensity (0.3).

Study on the Copepod Ectoparasites of Sebastes melanops (Girard) and Sebastes crameri (Jordan) in Aquarium

  • Chun, Kae-Shik
    • 환경생물
    • /
    • 제21권4호
    • /
    • pp.366-367
    • /
    • 2003
  • Nineteen rockfishes representing two species in the family Scorpaenidae were collected from Oregon Coast Aquarium in July 2003 and examined for parasitic copepods. The parasitic copepods were taken from the gills of Sebastes crameri and fins of S. melanops. With regard to the prevalence of copepod 22.2% of the fishes were infected by C. uncinata, and 30.0% by N. robusta. Intensity of infections of Clavella uncinata to Sebastes melanops, showed a range of 4 to 6 with a mean of 5.0 per fish while Neobrachiella robusta to S. crameri was 1 to 6 with a mean of 2.7.

Changes in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offee under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Song, Jae Lim;Asare, Theophilus Siaw;Kang, Mi Young;Lee, Sang Chul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704-713
    • /
    • 2018
  • Roasting has revealed coffee's potentials as a good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presence and activity of bioactive compounds including caffeine, chlorogenic acid (CGA), amino acids, and antioxidant capacity on Coffea arabica L. (Guatemala finca San Sebastian) and C. robusta L. (India Azad Hind). Analysis was performed on Green Bean (GB) Medium-Light (ML), Medium (ME) and Medium-Dark (MD) samples of both varieties. From the results, caffeine content was highest in ME samples of both varieties. GB samples of both varieties had high CGA content which decreased after increasing roasting time and temperature. Most amino acids in GB samples was highest, however, glutamic acid, valine, tyrosine, isoleucine, leucine and phenylalanine had highest quantitative increase in ME samples for both varieties. $IC_{50}$ of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st in ML samples of both varieties. $IC_{50}$ of reducing power and total phenolic content was highest in GB sample of both varieties but decreased after increasing roasting conditions. Generally Robusta had the highest quantity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is study, the optimal roasting condition for coffee is ME above which there is a significant re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북동중국해 대륙붕 저서성 유공충 군집 분포와 형성 기작 (The Formation Mechanism and Distribution of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in Continental Shelf of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정다운;이연규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31
    • /
    • 2023
  • 북동중국해 대륙붕 표층 퇴적물에서 산출하는 저서성 유공충의 군집 분포와 형성 기작을 파악하기 위하여 32개 정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고, 입도조성, 저서성 유공충 군집분석, 14C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사질(평균: 52.04%)의 잔류 퇴적물과 니질(평균: 47.92%)의 현생 퇴적물과의 혼합 퇴적상이다. 저서성 유공충은 총 48속 104종(사질 유공충, 석회질 유리상 및 석회질 자기상 유공충)이 분류되었다. 사질 유공충은 양쯔강 앞 해역으로 산출빈도(30%)가 증가하며, 부유성 유공충은 제주 남서해역에서 높은 산출빈도를 보인다. 우점종은 Ammonia ketienziensis, Bolivina robusta, Eggella advena, Eilohedra nipponica, Pseudorotalia gaimardii, Pseudoparrella naraensis 총 6종이다. 이들 중 가장 높은 산출빈도를 보이는 Bolivina robusta와 Pseudorotalia gaimardii의 14C 연대측정 결과 각각 2,360±40 B.P., 2,450±40 B.P.로 나타났다. 군집분석 결과, P. gaimardii 군집, B. robusta 군집 및 A. ketienziensis-P. naraensis 군집으로 대별된다. 양쯔강 담수 유입 영향을 받는 양쯔강 앞 해역에는 P. gaimardii 군집,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을 받는 제주도 남서해역에서 B. robusta 군집 그리고 북서측 황해 중앙부 니질대 해역에 A. ketienziensis-P. naraensis 군집이 분포한다. 이러한 저서성 유공충 군집 조성 및 분포는 약 2.5 ka BP 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홀로세 후기 해수면 상승에 의한 저서 생태계 서식지 환경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볶은 원두커피 갈색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Brown Materials Extracted from Roasted Coffee Beans)

  • 이주원;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20-224
    • /
    • 1993
  • 볶은 원두커피로부터 얻은 갈색 추출물의 항산화력에 대한 볶음시간과 추출온도의 영향을 시험하였다. 볶은 원두커피의 갈색추출물을 돈지에 첨가하였을 때 항산화력을 나타냈으며, 그 항산화력은 원두의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Colombia 원두가 Robusta 원두 또는 Brazil 원두에 비해 강하였다. Colombia 원두를 $210^{\circ}C$에서 볶음 시간을 달리하였을 때 갈색추출물의 갈색도와 항산화력은 볶음시간 16분까지는 함께 증가하였으나, 그 후는 갈색도는 계속 증가하나 항산화력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것은 볶음에 의해 생성된 항산화성 갈색물질이 가열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볶은 원두커피를 $180^{\circ}C$까지 추출온도를 달리하여 갈색도와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추출온도는 갈색도와 항산화력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PDF

원두커피의 로스팅 조건이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oasting Conditions on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Contents in Ground Coffee Bean)

  • 남혜정;서일원;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62-368
    • /
    • 2009
  • 커피 품종별 3종의 원두에 대한 로스팅 온도는 inlet air 기준으로 $150^{\circ}C$에서 $250^{\circ}C$ 사이로 로스팅 시간은 5, 10, 20분으로 각 조건별 PAHs 함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Arabica 종인 Colombia 원두와 Brazil 원두 공시료의 총 PAHs 함량은 각각 1.78 ${\mu}g$/kg와 1.65 ${\mu}g$/kg로 비슷하였으며, Robusta 종인 India 원두는 0.38 ${\mu}g$/kg로 Arabica 종보다 적은 량이 검출되었다. 총 PAHs 함량도 Robusta 종에서 0.18-2.54 ${\mu}g$/kg이 검출되었으며, Arabica 종인 Colombia 원두와 Brazil 원두는 각각 1.26-215.70 ${\mu}g$/kg, 1.85-178.14 ${\mu}g$/kg로 Arabica 종에서 많이 검출되었으며, 품종별 B[${\alpha}$]P의 함량도 Colombia 원두에서 0.11-0.47 ${\mu}g$/kg, Brazil 원두에서 0.18-0.60 ${\mu}g$/kg, India 원두에서 0.03-0.11 ${\mu}g$/kg으로 Arabica 종에서 많이 검출되었다. 로스팅 조건별 실험 결과 일정한 변화를 보이진 않았지만, 저온 장시간 로스팅 한 시료보다 고온 단시간 로스팅 한 시료에서 총 PAHs가 많이 검출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시료별 실험결과 B[${\beta}$]F 함량은 Arabica 종인 Colombia 원두와 Brazil 원두를 250$^{\circ}C$에서 10, 20분 로스팅 하였을 때 많이 검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로스팅 커피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섭취하고 있는 커피의 PAHs의 노출 정도를 파악하고, 커피 생산 공정에서 PAHs의 생성량을 저감화할 수 있는 로스팅 방식(직접가열방식, 열풍가열방식) 및 조건(온도, 시간) 확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홍국균 균사체-고체발효 원두커피의 비만억제 및 지질저하 효과 (Anti-obesity and Anti-hyperlipidemic Activities of Fermented Coffee with Monascus ruber Mycelium by Solid-State Culture of Green Coffee Beans)

  • 성지혜;신지영;김훈;백길훈;유광원;연제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1-3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두 품종의 원두커피와 이를 Monascus rubber 홍국균으로 발효시킨 원두커피 열수추출물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효과와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쥐에 커피추출물을 6주간 투여한 후 체중, 간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혈액의 지질 농도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HFD군에서는 고지방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커피추출물을 투여한 모든 실험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였고 두 품종 중 에티오피아 모카 시다모 G2종을 홍국균으로 발효하였을 때 더 높은 체중 감소량을 보였다. 혈청 중성지방의 농도는 고지방 식이군이 정상 식이군에 비해 약 2배 정도 증가하였으나 커피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부고환 지방 콜레스테롤 농도도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LDL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및 HDL 콜레스테롤 상승효과는 베트남 로부스타종에서만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실험결과 커피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쥐의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장 및 간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유용한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M. rubber 홍국균의 고체배양을 이용한 베트남산 로부스타 및 에티오피아 모카 시다모 G2 발효원두커피는 기능성 커피음료의 좋은 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first record of Cyproidea liodactyla (Crustacea: Amphipoda: Cyproideidae) from Korean waters

  • Jung, Tae Won;Soh, Ho-Young;Yoon, Seong Myeo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272-278
    • /
    • 2016
  • The first record of Korean cyproideid amphipod, Cyproidea liodactyla Hirayama, 1978 is reported here with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This specie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dorsal keel of peduncle 2 on antenna 1, posterodistal process of ischium on gnathopod 1 and carpal process on gnathopod 2. In this study, the minor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description and our Korean specimens of Cyproidea liodactyla are discussed and a brief comparison to other related species such as C. serratipalma Schellenbeg, 1938 and C. robusta Ren, 2006 are suggested. In addition, a key to Korean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Cyproideidae is provided.

Thin-layer Drying Kinetics of Robusta Coffee

  • Nilnont, Wanich;Phitakwinai, Sutida;Thawichsri, Kosart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3권2호
    • /
    • pp.138-143
    • /
    • 2015
  • This paper was aimed to study the drying kinetics of coffee and to investigate the thin-layer drying kinetics of coffee by using a convective air dryer. The coffee was dried for the temperatures of 40, 50 and $60^{\circ}C$ with relative humidity in the range of 14-25% the airflow rate fixed at 1 m/s. According to the experiment result, the drying rate curve showed that drying process took place only in the falling rate period. Seven thin layer drying models (Newton, Page, Henderson and Pabis, Logarithmic, Wang and Singh, Two terms, Modified Henderson and Pabis) were fitted to the experimental moisture content data. The Two-trem model was found to be a better model fo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coffee for the temperatures of 40, 50 and $60^{\circ}C$. The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of coffee increased when the dry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value was in the range of $4.5028{\times}10^{-11}$ to $6.4803{\times}10^{-11}m^2/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