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juno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6초

유자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의 분리 및 배양조건 (Isolation and Culture Conditions of Acetobacter sp. for the Production of Citron (Citrus junos) Vinegar)

  • 강성구;장미정;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57-362
    • /
    • 2006
  • 유자즙액을 이용한 식초생산을 위하여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재래초로부터 분리, 동정하고 유자식초 제조를 위한 최적 발효조건을 검토하였다. 재래초로부터 분리한 25균주 중 초산 생산균 분리용 배지에서 초산 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로 최종 선정된 균주는 Acetobacter sp. V-16으로 동정되었다. 이 균주의 유자식초 생산용 액체 배지에서 배양조건을 살펴본 결과, 최적온도는 $30^{\circ}\C$이었으며, 초산생성에 적합한 배지의 조성은 초기산도2%, 알코올 농도 5% 및 유자즙액 30%가 함유된 배지였다. 유자식초 생산 최적조건은 5% 알코올과 유자즙액 30%가 첨가된 배지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진탕배양 시 10일 만에 최고 산도인 6.8%에 도달하였다.

유자과즙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hys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n the Citrus Junos Extracts with its Textures and Skin)

  • 이송희;이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7-74
    • /
    • 2017
  • 본 연구는 유자의 과즙을 $50^{\circ}C$ 의 열수 추출물과 70%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능과 항균효과를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실험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모두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mean)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총 polyphenol과 Tannin함량은 70%에탄올 추출물에서 $7.8{\pm}0.02mgGAE/g$, $9.9{\pm}0.01mgTAE/g$으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DPPH radical의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역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10000 ppm일 때 각각 $46.1{\pm}4.76%$, $37.1{\pm}1.23%$로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항균효과에서는 C. albicans를 제외하고 모든 균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 25 mg/disc에서 E. coli는 $50^{\circ}C$ 열수추출물에서 $18{\pm}1.73mm$, S. epidermidis와 S. aureus는 70% 에탄올 추출물 에서 $17{\pm}4.36mm$, $19{\pm}2.86mm$로 열수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높은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았을 때 유자과즙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누, 샴푸 또는 두피개선제등 미용 또는 피부 관련 향장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Mixture of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Citrus junos Sieb Improves Blood Coagulation Parameters and Ameliorates Lipid Metabolism Disturbances Caused by Diet-Induced Obesity in C57BL/6J Mice

  • Kim, Ae Hyang;Kim, Hye Jin;Ryu, Ri;Han, Hye Jin;Han, Young Ji;Lee, Mi-Kyung;Choi, Myung-Sook;Park, Yong B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295-308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flavonoid-rich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leaf (PL), an ethanol extract of Citrus junos Sieb (CJS), and a PL-CJS mixture (MPC) on mice fed a high-fat diet (HFD). We sought to elucidate the mechanisms of biological activity of these substances using measurements of blood coagulation indices and lipid metabolism parameters. C57BL/6J mice were fed a HFD with PL (0.5% (w/w)), CJS (0.1% (w/w)), or MPC (PL 0.5%, CJS 0.1% (w/w)) for 10 weeks. In comparison with data obtained for mice in the untreated HFD group, consumption of MPC remarkably prolonged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rothrombin time (PT), whereas exposure to PL prolonged aPTT only. Lower levels of plasma total cholesterol, hepatic cholesterol, and erythrocyte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s, hepatic HMG-CoA reductase, and decreased SREBP-1c gene expression were observed in mice that received PL and MPC supplements compared with the respective values detected in the untreated HFD animals. Our results indicate that PL and MPC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blood circul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obese mice.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한 유자껍질의 향기성분 (Volatile Compounds of Citron (Citrus Junos) Pee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영언;김인환;김흥만;이영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00-503
    • /
    • 1996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유자(Citrus junos) 껍질의 향기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동결건조한 유자과피분말을 4,000psi와 4$0^{\circ}C$에서 운전하면서 이산화탄소의 소비량에 따라 4단계로 분획하여 분획별 향기성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유자의 향기성분의 수율은 0.011g/CO2(L)였으며, 최대추출 수율은 8.812g/kg이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한 유지과피의 주요향기성분은 dl-limonene, Υ-terpinene, linalool, sabinene, $\beta$-myrcene, $\alpha$-pinene, $\beta$-farnesene, $\alpha$-terpineol과 terpinolene 등 9종이었다. 분획별 향기성분은 휘발성이 높은 $\alpha$-pinene, $\beta$-myrcene과 dl-limonene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이와 반대로 휘발성이 낮은 $\alpha$-terpineol과 $\beta$-farnesene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유자의 향기성분을 추출할 경우 추출시간에 따라 얻어지는 분획의 향기성분 조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유자에서 귤응애의 발생소장, 온도별 발육특성 및 방제밀도별 피해정도 (Population Fluctuation, Developmental Character of Panonychus citri and Damage Degree as its Control Density on Young Yuzu (Citrus junos))

  • 최덕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3-198
    • /
    • 1998
  • 유자(Citrus junos T.) 과원의 주요 해충의 귤응애(Panonychus ?갸 M.)의 발생소장, 온도별 발육기간, 산란수, 부화율 및 유자유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6년부터 1997년까지 2년간 조사한 결과, 귤응애는 5월부터 11 월까지는 발생하였는데 년 2회의 발생최성기를 이루었다. 1차 발생최성기는 7~8월이고, 2차발생최성기는 10월이었다. 2차 발생최성기에는 잎당밀도 9.5마리로 연중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유자 잎에서 귤응애의 각 태별 구성비는 난, 약충, 성충이 각각 85, 9, 6%로 난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15, 20, 25, $\pm$1$^{\circ}C$(RH 60 $30\pm$10%, 14L-10D)의 항온조건에서 난부터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각각 41.1, 15.5, 11.0, 9.4일이고 성충수명은 23.3, 8.3, 6.3, 6.1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발육기간과 성충수명은 짧아지는 경향이고 부화율은 $30^{\circ}C$에서 94.7%로 가장 높았다. 일평균 산ㄹ나수는 $25^{\circ}C$에서 4.5개로 가장 많았다. 또, 귤응애 방제밀도에 따른 유자유목의 생육상황은 방제밀도가 낮을수록 간주 및 수관용적 증가량이 많았고 엽록소함량도 많았다. 월동후 낙엽율은 1, 3, 6마리/잎, 무방제에서 각각 13.5, 20.6, 53.1, 72.6%로 잎당 성충밀도 3마리 이하에 방제하는 것이 낙엽율이 낮았다.

  • PDF

유자 착즙액을 이용한 유자젤리의 제조 (Manufacture of Citron Jelly Using the Citron-extract)

  • 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96-402
    • /
    • 1999
  •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citron(Citrus junos), manufacturing conditions of citron jelly were studied. Citron extract was diluted 7 fold for jelly processing and it's pH was 2.64. Due to the low pH of citron extract, 2.5∼3.0% of pectin was added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mount for ordinary jelly process. To reduce the loss of citron flavor and vitamin C, it was heated for 10 min. and found to be enough for proper hardness of jelly. Agar and gelatin was used as jellying agents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of pectin jelly. From the result of compression curve analysis, addition of 5% and 7% of gelatin were more effective in jelly texture than agar in 1.5% and 2.5% pectin jelly, respectively. Sucrose was replaced by glucose and oligosaccharide; galactooligosaccharide, fructooligosaccharide and isomaltooligosaccharide. From the sensory evaluation analysis, 30% of sucrose and 30% of isomaltooligosaccharide in jelly was evaluated as superior to other sugars.

  • PDF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he Flavonoids and Limonoids in Citrus junos Seed Shells Using a UPLC-DAD-ESI/MS

  • Jo, Ara;Shin, Ji hun;Song, Hwa young;Lee, Ye Eun;Jeong, Da Eun;Oh, Sung Hwa;Mun, Myung Jae;Lee, Min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64-70
    • /
    • 2020
  • Citrus junos seeds (CS)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neuralgia. They are also used to manufacture edible oil and cosmetic perfume. A large amount of CS shells without oil (CSS) are discarded after the oil in CS is used as foods or herbal remedy. To efficiently utilize CSS as a by-products, it needs to be studied through chemical analysis. Therefore, we developed an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diode array detection (DAD) method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five components (two flavonoids and threes limonoids) in CSS. A Waters Acquity UPLC HSS T3 column C18 (2.1 × 100 mm, 1.8 ㎛) was used for this separation. It was maintained at 40 ℃. The mobile phase used for the analysis was distilled water and acetonitrile with gradient elution. To identify the quantity of the five components, a mass spectrometer (MS) with an electrospray ionization (ESI) source was used. The regression equation showed great linear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 0.9912. Limits of detection (LOD) and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of the five compounds were 0.09 - 0.13 and 0.26 - 0.38 ㎍/mL, respectively. Recoveries of extraction ranged from 97.45% to 101.91%.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lues of intra- and inter-day precision were 0.06 - 1.15% and 0.19 - 0.25%, respectively. This UPLC-DAD method can be validated to simultaneously analyze quantities of marker flavonoids and limonoids in CSS.

유자(Citrus junos SIEB.)의 접합배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Zygotic Embryo-Derived Callus in Citrus junos SIEB.)

  • 박민희;정휘현;이숙영;김홍섭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89-194
    • /
    • 1995
  • 유자의 배배양에 의한 캘러스의 유도는 미숙열매의 배로부터 가장 양호하게 유기되었다. 이들 캘러스는 3% sucrose 와 44.4 $\mu$M BA가 첨가된 1/2 MS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가장 잘 유도되었으며 배양조건은 26$^{\circ}C$ 에서 2000 lx로 16 h의 광주기와 8 h의 암주기로 배양하였다. 이들 캘러스는 담황색으로 표면에 크고 작은 많은 돌기들을 가지고 있는 캘러스와 암갈색의 캘러스가 관찰되었다. 또한 캘러스 발달 단계와 기관분화의 정도에 따라서 세포배열 양상에 많은 차이가 있었는데, 배양 6주된 캘러스는 작은 세포들이 조밀하게 나타났으며 8주경부터 신장된 세포들이 분열하는 양상을 보여 주었으며 주된 캘러스 표면의 돌기들은 기관 발생의 초기에 구형의 세포돌기가 융기된 반면 주변의 세포들 은 액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16주 후에, 재분화된 shoot는 MS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발근이 되어 정상적으로 생장하였다. Shoo떼서는 유관속 형성층과 정유를 함유하고 있는 유낭의 초기 발생과정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형성된 shoot를 화분에 이식하였을때 정상적으로 생장이 계속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

유자 첨가 사료로 사육한 뱀장어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Eels (Auguilla japonica) Fed a Diet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 황재호;이시우;라성주;정동희;한경호;신태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73-580
    • /
    • 2010
  •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levels (0 and 2.5%) of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on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eels (Auguilla japonica). Fish ($9.8{\pm}1.3g$) was fed to apparent satiation twice daily for 8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ximate composition among the treatment groups, except for th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P<0.05). The vitamin C content of eel muscle in the yuza-added group was two-times higher than in non-added groups (P<0.05). Among eight organic acids in eel muscle, lactic acid was predominant, followed by citric acid, oxalic acid, malic acid, and acetic acid. Eels fed a 2.5% yuza diet had the highest lactic acid content in all groups. Six sugars were found in all groups and glucose was the major sugar. Glucose and maltose were the dominant sugars in the yuza-added group. The abundant fatty acids in the yuza-added group were C18:1 n-9, C16:0, and C16:1 n-7, which comprised over 80% of the total fatty acids. The major amino acids in sample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and leucine. There were few differences in the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mong the groups. However, histidine was the predominant amino acid and constituted over 53%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