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gracili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8초

황해 동남 해역의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특성 (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Yellow Sea and Their Relationship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이병돈;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1-264
    • /
    • 1992
  • 수괴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 군집구조 그리고 요인분석으로써 황해 동남 해역에 분포하는 수괴의 시공간적 변동 및 특성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요각류인 Undinula darwini, Lucicutia flavicornis, Pleuromamma gracilis와 모악류인 Sagitta enflata는 난류 외양성 종으로, Euchaeta russelli 와 Euchaeta plana는 난류성이나 내성이 강하여 분포 범위를 넓게 가지는 종으로, Sagitta wassa는 연안성 종으로, Sagitta bedoti는 혼합성 종으로 그리고 Centropages abdominalis는 연안 저온성 종으로 특성 지어졌으며, 이들의 분포로써 수괴를 분석하였다. 2월의 경우, U. darwini, L. flavicornis, P. gracilis, E. russelli, E. plana 그리고 S. enflata가 출현하는 제주도 서방, 수온 $14^{\circ}$ 이상인 해역이 쿠로시오 난류 수괴로, 수온 $10^{\circ}$이하이며,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해역이 황해 냉수괴로 나타났다. E. plana와 E. russelli가 소량 출현하며, 혼합성 종인 S. bedoti가 출현하는 수온 $12-14^{\circ}$인 제주도-진도간 해역은 혼합 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8월의 경우, 수온 약층을 경계로 하여 0-20m층과 20m- 저층으로 분리하여 수괴를 분석하였다. 0-20m 층의 경우, E. plana와 E. russelli가 출현하는 대흑산도까지 난류가 미치며, 집괴 분석 및 수괴지표성 종의 분포로써 볼 때 수괴는 연안에서 외양으로 가면서 크게 대별되어졌다. 20m-저층의 경우, 난류성 종인 E. russelli와 E. plana가 출현하며 수온이 $12^{\circ}C$이상인 제주도 서북방 해역이 난류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성 종인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진도 이북 해역이 황해 냉수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 0-20m층의 진도부관 해역 및 20m- 저층의 진도 이북 해역에서 C. abdominalis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냉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굴, Crassostrea gigas 유생의 먹이생물 섭취 크기 (Ingestion size of food microalga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larvae)

  • 허영백;전창영;조기채;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7-315
    • /
    • 2011
  • 유생의 발달크기에 따라 미세조류 12종에 대하여 섭취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유생의 크기에 따라 섭취 가능한 미세조류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전체 유생크기에서 I. galban, I. aff. galbana, P. lutheri, C. ellipsoidea, N. oculata는 94.2-99.7%의 섭취율를 보였고, C. calcitrans, C. gracilis, C. simplex는 평균 각장 $189.3{\pm}13.8{\mu}m$ 크기인 중형 각 정기 이후 90.0% 이상의 섭취율을 보였다. P. triconutum, D. tertiolecta, T. tetrathele는 평균 각장 $65.0-100.0{\mu}m$의 D형 유생은 섭취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후 유생에서는 각각 97.3-99.7%, 43.3-99.3%, 48.5-99.3% 섭취하였다. 그러나 T. weissflogii는 평균 각장 $306.2{\pm}14.7{\mu}m$ 이상에서 1.0-1.7%의 섭취율을 보였지만, 전체 유생기동안 그의 섭취가 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해 전체 50.0% 이상 섭취 가능한 먹이생물의 세포크기를 조사한 결과, 평균 각장 $102.3{\mu}m$ 이하의 D형 단계는 장축과 단축 모두 $4.6{\mu}m$ 이하, $158.3{\mu}m$ 미만에서는 장축기준으로 $9.3{\mu}m$ 미만까지 섭취가 가능하고, $158.3{\mu}m$ 이상 크기는 단축 기준 $9.3{\mu}m$까지 섭취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제 유생기 동안 장축과 단축을 포함해서 $10.0{\mu}m$ 이상은 섭취가 되지 않았다.

황색편모조류(Isochrysis galbana)에 의한 생육저해물질의 생성 및 미세조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inhibitor formed by Isochrysis galbana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microalgae)

  • SUN, Yingying;WANG, Changhai;SUN, Liqin;CHEN, Ji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5년도 아시안 푸드의 기능성과 세계화 전략에 관한 국제심포지움
    • /
    • pp.136-147
    • /
    • 2005
  • The inhibitor, a kind of ethyl acetate crude extract, was isolated from the old culture liquid of I.galbana. Through measured the culture density,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 polysaccharide and protein in the cells,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inhibitor on the growth of cell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hibitor obviously inhibited the cell growth of three microalgae.

  • PDF

동해 대륙붕에 분포하는 주요 다모류의 서식지 환경 (The Distribution and Feeding Characteristics of Some Dominant Polychaetes i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East Sea, Korea)

  • 최준우;고철환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6-244
    • /
    • 1986
  • 본 연구는 한국 동해 대륙붕에 출현하는 주요 저서 다모류의 서식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1985년 4월에 수행되었다. 총 95출현종 중 조사 지역에서의 출현빈도, 출현량 또는 개체군 밀도에 있어서 중요한 우점종들로는 Terebellides stroemi, Chaetozone setosa, Magelona japonica, Ampharete arctica, Aglaophamus sinensis, Nothria holobranchiata, Lumbrineris japonica, Myriochele gracilis, Notoproctus pacificus 등 9개 종이다. 이들 우점동의 주된 먹이는 규조류와 기타 유기파편들로 구성되었으며 식이형에 있어서는 표층하 퇴적물 식자(subsurface deposit feeder)와 표층퇴적물 식자(surface deposit feeder)에 속하는 종들이 대부분 이다. 육식자로 간주되는 M. holobranchiata 와 L. japonica 의 경우에도 그들의 내 장 내용물이 세립질 퇴적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사질 또는 역질의 조립질 퇴적 물이 우세한 환경에 서식하는 관서 다모류는 내장이 매우 세립질의 퇴적물로 채워 져 있고 , 또한 그들의 서관도서식지 퇴적물에 비해 세립질의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이들 다모류가 식이와 서관 형성에 서관의 구조와 지역적인 분포 양상은 동해 대륙붕에서의 서식지 환경 특징인 해저지형 구조 또는 수심, 먹 이의 공급원, 퇴적환경의 에너지 분포에 의한 퇴적물 입도 조성등과 잘 일치됨을 보여준다.

  • PDF

Unveiling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uglena gracilis in Immunosuppressed Mice: Transcriptome and Pathway Analysis

  • Seon Ha Jo;Kyeong Ah Jo;Soo-yeon Park;Ji Yeon Ki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880-890
    • /
    • 2024
  •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uglena gracilis (Euglena) and its bioactive component, β-1,3-glucan (paramylon), have been clarified through various studies. However, the detailed mechanisms of the immune regulation remain to be elucidated. This study was designed not only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but also to determine the genetic mechanisms of Euglena and β-glucan in cyclophosphamide (CCP)-induced immunosuppressed mice. The animals were orally administered saline, Euglena (800 mg/kg B.W.) or β-glucan (400 mg/kg B.W.) for 19 days, and CCP (80 mg/kg B.W.) was subsequently administered to induce immunosuppression in the mice. The mice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organ weight, and the spleen index.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pleen weight and the spleen index in CCP-induced mice after the oral administration of Euglena and β-glucan. Transcriptome analysis of the splenocytes revealed immune-relate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regulated in the Euglena- and β-glucantreated groups. Gene ontology (GO) and Kyoto Encyclopedia of Genes and Genomes (KEGG) analyses indicated that pathways related with interleukin (IL)-17 and cAMP play significant roles in regulating T cells, B cells, and inflammatory cytokines. Additionally, Ptgs2, a major inflammatory factor, was exclusively expressed in the Euglena-treated group, suggesting that Euglena's beneficial components, such as carotenoids, could regulate these genes by influencing immune lymphocyt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CCP-induced mice. This study validate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uglena and highlighted its underlying mechanisms, suggesting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determination of phenotypes associated with immune-related diseases a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immunotherapies.

한국 동해 중부 해역의 지표성 요각류 및 모악류의 분포와 수괴 특성 (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of copepods and chaetognaths in the middle East Sea of Korea and their relationships to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 박주석;이삼석;강영실;허성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3-213
    • /
    • 1991
  • 요각류와 모악류 중 주요 수괴 지표종의 분포에 근거하여 한국 동해중부해역의 수층별 수괴의 시$\cdot$공간적 변동을 밝히기 위하여 14개의 정점에서 2월과 $8{\~}9$월에 폐쇄망으로 수층별로 동물 플랑크톤을 채집, 분석하였다. 요각류 중 난류 외양성 종인 Pleuromamma gracilis, Calanus tenuicornis와 모악류의 Sagita enflata 및 S. minima, 한류성 종인 Calanus cristatus, Calanus plumchrus 및 S. elegans 그리고 심해 한해성 종인 Gaetanus armiger의 분포와 수괴 변동과의 관계를 밝혔다. $0{\~}100m$ 수층에서는, 한류성 종인 C. cristatus, C. Plumchrus 및 S. elegans의 분포로써 북한한류 세력이 주문진 연안까지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주문진-죽변이북 연안해역에서 S. elegans는 출현하지 않다가 죽변연안에서 다시 출현하는 것은 동한난류의 강한 연안측 침투로 북한한류는 하층으로 잠입되고 표층에서 주변해역보다 약 $2{\~}4^{\circ}C$ 높은 고온수가 분포하기 때문이다. 난류종인 S. enflata의 출현역시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100{\~}300m$ 수층에서는, 2월의 경우 울릉도 서북방 해역이 동한난류의 영향을 받는 수괴임을 C. tenuicomis와 P. gracilis의 분포로써 입증하였으며, $8{\~}9$월의 경우, 동한난류의 영향을 받는 울릉도 서북방 해역과 북한한류수계인 속초-주문진 연안역 사이에 혼합성을 띈 수괴가 존재하는 것을 S. bedoti의 분포로써 밝혔다. $300{\~}500m$ 수층의 경우, 2월과 $8{\~}9$월 모두 S. bedoti와 S. enflata의 출현수역인 울릉도 서북방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해고유수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9원에 있어서 전선 역에 혼합종인 S. bedoti가 풍부한 반면, 난류종인 S. minima와 S. enflata가 없거나 아주 소량 출현하는 것은 수괴 배치이동과 잘 일치하므로, 이들은 전선형성을 밝히는데 유용한 지표종들이었다.

  • PDF

The Effects of PAHs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Exposure on Fertilization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Cho, Sang-Man;Jeong, Woo-Geo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145-145
    • /
    • 2003
  • To evaluate the effect of PAHs on fertilization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via in vivo exposure for 30 days. Conditioned C. gigas adult brood stock was taken from oyster farm in May 2003 and raised in flow through tank at 20-22$^{\circ}C$ with feeding equivalently mixed marine microalgae: Chaetoceros simplex, C. gracilis, Isochrysis galbana and Tetrasemis tetrathele. The oysters were exposed to PAHs cocktail at 200ppb (10 species) until they are fully riped with an untreated group. Motility of sperm, Fertilization and The percent of D-shaped larvae was measured under microscope (Olympus BX-50). Fertilization capability using dry sperm and eggs from both non- and PAHs treated brood stocks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treated group (P<0.01). In addition to the origin effect, it was obvious that fertilization of eggs from both group were adversely suppressed in consistent with PAHs level (P<0.01). The percent of D-shaped larvae in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ing to non-treated. The percent was adversely correlated with PAHs level, which was more significantly reduced in treated group. Therefore, it was obvious that PAHs exposure on the Pacific oyster has adverse affects on the sperm as well as larvae in both maternal and acute source.

  • PDF

민간약 "마가목"의 생약학적 연구 (P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orean Folk Medicine "Ma Ga Mog")

  • 박종희;도원임;김미희
    • 생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2-34
    • /
    • 2009
  • Korean folk medicine 'Ma Ga Mog' has been used as a remedy for rheumatis, cough and bronchitis in Korea.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been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Ma Ga Mog',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rk of Sorbus amurensis Koehne, S. commixta Hedl. and S. sambucifolia (Cham. et Schltdl.) Roemer var. psuedo-gracilis C. K. Schneid.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Ma Ga Mog' from Korea was the bark of Sorbus amurensis Koehne and S. commixta Hedl.

인 결핍에 따른 하수배양 미세조류의 지방산 특성 분석 연구 (Effects of Phosphorus Starvation on Fatty Acid Production by Microalgae Cultivated from Wastewater Environment)

  • 우성근;박준홍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4B호
    • /
    • pp.253-259
    • /
    • 2012
  • 하수에서 배양된 미세조류인 Chlorella vulgaris AG10032, Ankistrodesmus gracilis SAG278-2, Scenedesmus quadricauda AG10308은 오폐수에서 질소 및 인 제거가 우수하고 높은 지질을 함유하고 있어서, 오폐수에서 바이오연료나 기타 바이오 기반의 자원 회수에 유용한 생물자원이다. 오폐수 환경에는 다양한 인의 농도가 존재하는데, 인의 농도 특히 인 결핍조건에 따른 조류의 지방산 특성에 대한 정보가 매우 제한적이다. 이는 표준 분석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데 일부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의 지방산을 분석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극성 컬럼법과 식물성 지질을 분석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극성 WAX-type 컬럼 GC-FID 방법의 미세조류 지방산 분석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고, 하수배양 조류에 적용이 보다 적절한 방법을 이용해서 인 결핍에 의한 조류 지방산 생성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무극성 컬럼 방법에 비해 극성 WAX-type 컬럼 GC 방법이 $C_{18:3}$ 지방산과 같은 고불포화지방산을 규명하는 분석능력이 우수하였고, 실제 하수배양에서 배양 분리된 미세조류의 지방산 분석에 보다 정확한 결과를 보이었다. 이 WAX-type 컬럼 방법으로 인 결핍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세조류의 지방산 조성과 생성량은 인의 농도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음을 밝히었다.

동강의 어류상과 생태학적 군집분석 (Ichthyofauna and Ecological Community Analysis in the Dong River)

  • 최준길;오사무 미타무라;이동준;신현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6-624
    • /
    • 2008
  • 2006년 5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동강의 어류상과 생태학적 군집분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종은 총 10과 31종이었다. 총 31종의 어종 중 일차담수어가 26종, 주연성 담수어가 5종으로 나타나 일차담수어의 구성비가 매우 높았다. 우점종은 참갈겨니(Zacco koreanus) 55.73%, 아우점종은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7.15%였으며, 우세종은 배가시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6.12%, 어름치(Hemibarbus mylodon) 4.87%, 참종개(Iksookimia koreensis) 4.49% 등이었다. 한국고유종은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줄납자루(A. yamatsutae),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us), 쉬리(C. splen야연),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그리고 어름치(H. mylodon)등 19종(61.29%)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천연기념물이 1종,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I급 종이 5종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예상되는 종수(기대종)의 분석 결과, 동강의 전 조사지점에서는 18(지점4, 5)$\sim$22종(지점 3)이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사도 분석은 62.28%(지점 1과 2)$\sim$84.13%(지점 1과5)의 범위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강유역은 어류가 서식하기에 매우 적합한 수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며, 각 조사지점별 수환경도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