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유기화합물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3초

소형방출챔버를 이용한 방향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특성에 관한 연구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Air Fresher using Small Emission Chamber)

  • 정영림;박현희;오윤희;김순근;손종렬;김선화;유영재;배귀남;김만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83-190
    • /
    • 2011
  • 소형방출챔버를 이용하여 반응조건(시료량, 온도, 환기횟수)에 따라 방향제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시료부하량($1.4{\sim}551.0g/m^2$)에 따라 방향제에서 방출되는 TVOC 방출량은 방출시험 5시간 후 $0.7{\sim}64.4mg/m^2{\cdot}hr$로 나타났다. Limonene, ${\alpha}$-pinene과 linalool 등 방향제에서 방출된 주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온도와 환기횟수가 클수록 방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결과는 방향제와 같은 생활용품의 오염물질 방출시험방법 및 방출기준을 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디시클로헥실 텔루르염에 기반한 유기텔루로늄염의 성과 분광학적 분석 (Synthesis and Spectroscopic Investigations of Some New rganotelluronium alts Based on Dicyclohexyl Telluride)

  • Al-Rubaie, Ali Z.;Al-Mudhaffar, Dhafir M. H.;Al-Mowali, Ali H.;Asker, Kahtan A.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30-535
    • /
    • 2009
  • 디시클로헥실 텔루르염은 에탄올 수용액에서 NaTeH와 디시클로헥실 브롬화물의 반응에 의해 높은 수율로 얻어진다. 일반식 ${(cyclo-C_6H_11)}_2Te(R)X$ (where R = $CH_3$, X = I (1); R = $C_2H_5$, X = Br(2); R = $C_2H_5$, X = I (3); R = C_3H_5$, X = Br (4)) 인 유기텔루로늄의 새로운 시리즈는 그에 상응하는 알킬 할로겐화물과 ${(cyclo-C_6H_11)}_2Te$의 반응에 의해 만들어진다. $NaBPh_4$와 1의 반응은 78% 수율로 화합물 5를 제공하였다. 벤질 브롬화물과 ${(cyclo-C_6H_11)}_2Te$, 4-bromophenacyl bromide의 반응에서는 뜻밖에 각각dibenzylcyclohexyltelluronium 브롬화물과 and bis(4-bromophenacyl)cyclohexyltelluronium bromide을 얻었다. 높은 수율의 tetraphenylborate 유도체는 $NaBPh_4$과 6의 반응으로 얻었다. $CDCl_3$용매에서 $^1H$ NMR분석을 통해 화합물 1 이 알킬 할로겐화물의 제거 반응을 일으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화합물은 전도성, IR, $^1H$$^{13}C$ NMR, 열분석를 통해 규명되었다.

Alkenylsilane의 제조와 고분자화반응 (Preparation and Polymerization of Alkenylsilanes)

  • 김정균;최순규;박은미;정인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8-97
    • /
    • 1997
  • 실릴트리플레이트$(Ph_{3-n}SiH(OTf)_n))$는 낮은 온도에서 트리펜일실란과 트리플산$(CF_3SO_3H)$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화합물은 새로운 기능성 실란 유도체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실릴트리플레이트와 알캔일-, 알킨일마그네슘 브롬아이드 그리고 유기리티움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해 새로운 실란 화합물 Ph_2SiHR(R=C{\equiv}(CPh,\;CH=CH_2,\;CH_2CH=CH_2,\;(CH_2)_2CH=CH_2,\;(CH_2)_3CH=CH_2)$을 높은 수율로 얻었다. 합성된 알켄일-, 알킨일실란은 백금촉매 하에서 카보실란 고분자$((Ph_2Si(CH_2)m)n;\;m=2∼4,\;n\le10)$5~6환고리 화합물을 형성하였다. 모든 생성물들은 NMR, UV, IR, 질량분석, 그리고 원소분석법에 의해 확인되었다.

  • PDF

(${\eta}^5-Cp^*$)(Ir-B3)(1,2-S,S($CH_2SiMe_3$)-o-carborane) ($C_{16}H_{35}B_{10}IrS_2Si$)의 합성 및 결정구조 (The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eta}^5-Cp^*$)(Ir-B3)(1,2-S,S($CH_2SiMe_3$)-o-carborane)($C_{16}H_{35}B_{10}IrS_2Si$))

  • 조성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1-6
    • /
    • 2007
  • 유기금속 화합물 $C_{16}H_{35}B_{10}IrS_2Si$를 o-carborane으로 출발하여 $Cp^*Ir(S_2C_2B{10}H_{10})$을 합성하고, $Me_3SiCHN_2$를 가하여 합성하였다.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C_{16}H_{35}B_{10}IrS_2Si$ 화합물의 분자구조를 규명하였다. 이 화합물의 결정학적 자료는 monoclinic, space group $P2_1/n$, $a=10.1986(12)\;{\AA}$, $b=14.834(5)\;{\AA}$, $c=17.139\;{\AA}$, ${\beta}=92.24(2)^{\circ}$, Z=4, $V=2591.0(14)\;{\AA}^3$이다. 결정 구조는 직접법으로 해석하였으며, 완전행렬최소자승법을 정밀화 하였으며 5080개의 회절 반점에 대하여 최종 신뢰도 인자 R=0.053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XAD 및 FT-IR을 이용한 영산강수계 광주시 유역 자연유기물질의 분포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Organic Matter using XAD and FTIR in Yeongsan River System)

  • 이동진;전강민;김상돈;정수정;이경희;황태희;임병진;조재원
    • 생태와환경
    • /
    • 제44권4호
    • /
    • pp.358-363
    • /
    • 2011
  • 본 연구는 영산강수계 광주지역에 대하여 XAD와 FTIR를 이용하여 자연유기물질에 대한 분포특성을 연구하였다. XAD 8/4 resin을 이용한 NOM fractionation 분석은 친수성 및 소수성을 변별하는데 사용되어졌다. FT-IR은 자연유기물의 구조에서 기능족을 분석하는데 사용되어졌다. XAD 조사에서 영산강본류의 광주상류지점(GJ-1), 광주하류지점(GJ-2), 광주천(GJC), 광주하수처리장(GJS) 등 4개 지점에서 대부분 친수성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3월에 GJ-1 지점에서는 소수성이 주를 이루었다. 5월에는 수온의 상승과 함께 미생물의 활성의 증가로 4개 지점 공통적으로 친수성으로 조사되었고, 10월에는 3월과 매우 유사한 결과가 되었다. FT-IR 조사에서는 넓거나 높아 뚜렷한 피크들이 주로 지방족 화합물, 특히 OH 그룹, CH, $C-H_2$, $C-H_3$ 및 C-O 알코올 그룹들로 나타났고, 이들은 친수성 물질들이다. FT-IR 조사에서 그 외의 피크들은 약간의 방향족 화합물, 특히 C=O (Ketone) 그룹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영산강수계 광주지역은 주로 친수성 물질들이며, 지방족 화합물(OH, C-H etc.)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토심별 분해 (Degradation of $^{14}C$-propiconazole in soil from different depths)

  • 안득현;김인선;서용택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18
    • /
    • 1999
  •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토심별 분해를 멸균 및 비멸균 조건의 토양에서 조사하였다. Propiconazole을 토양에 7.55 mg/kg의 수준으로 처리한 후 배양기간 동안 발생된 $^{14}CO_{}2$ 양, 유기용매 추출 및 추출불가 잔류량, 그리고 분해산물을 등을 조사하였다. 배양기간 20주 동안 방출된 약제의 $^{14}CO_{2}$는 멸균 토양의 경우 토심에 따라 $0.7{\sim}1.3%$ 수준이었으며 비멸균 토양의 경우 $4.8{\sim}7.6%$이었다. 토양중 유기용매 추출불가 방사능은 멸균 토양의 경우 토심에 따라 $11.2{\sim}22.12%$ 수준이었으며 비멸균 토양의 경우 $22.1{\sim}41.9%$로서 비멸균 토양에서 더 높았다. 토양중 추출불가 잔류량은 주로 humin에 분포하였으며 배양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토양중 propiconazole의 주요 분해산물은 수산화 치환된 형태 및 ketone성 화합물이었으며 멸균 토양에서는 모화합물만이 검출되었다. Propiconazole의 토양중 휘발성 물질 및 $CO_{2}$ 생성량과 잔류 및 분해특성은 이 화합물이 화학적 및 생물학적 분해에 안정함을 시사하였다.

  • PDF

세탁소 배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흡착 제거 기술 (Adsorption of VOCs from Dry Cleaning)

  • 이승재;문승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25-103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세탁소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흡착처리하는 공정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하는 재료로는 핏치계 활성탄소섬유를 선택하였고, 흡착제의 재생방법으로는 전기변동법을 사용하였다. 용제는 트리클로로에틸렌과 톨루엔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활성탄소섬유와 용제의 종류에 따른 파과곡선과 흡착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흡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탄소섬유를 전처리하였다. 또한 흡착이 완료된 활성탄소섬유의 재생에 필요한 온도와 허용전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트리클로로에틸렌의 흡착에는 미세 기공이 잘 발달된 활성탄소섬유가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 반면 톨루엔의 경우에는 비표면적이 큰 흡착제가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활성탄소섬유는 흡착제 무게의 41~54%에 해당하는 트리클로로에틸렌을 흡착하였으며 유입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높아지면 완전흡착시간은 급격히 짧아지고 흡착량은 서서히 감소하여 낮은 농도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처리하는 것이 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탄소섬유 표면의 산소작용기를 조절한 결과, 진공열처리를 한 활성탄소섬유의 톨루엔 흡착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톨루엔의 흡착은 빈자리 탄소(vacant carbon site)가 흡착점이라고 판단된다. 흡착된 용제는 $150^{\circ}C$에서 대부분 탈착되었다.

유기태양전지에서 후열처리 온도에 따른 광흡수층의 특성 변화

  • 김동영;서성보;이혜지;배강;손선영;박승환;김화민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0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85-385
    • /
    • 2011
  • Si 또는 반도체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의 높은 원재료 가격과 복잡한 공정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반도체성 고분자인 Poly(3-hexylthiophene)(P3HT)과 C60 유도체인 PCBM을 광활성 층으로 이용하여 유기 태양전지(Organic Solar Cell, OSC)를 제작하였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을 갖는 OSC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기물 자체가 갖고 있는 광 안정성, 낮은 전하 이동도 및 광 에너지 흡수대 등의 문제점들의 해결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활성 층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의 특성에서 후열처리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의 전기적 및 구조적, 광학적인 특성들이 소자의 효율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후열 처리 온도에 따른 광활성 층의 구조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EFM 이미지와 XRD패턴을 측정하였는데 열처리 후 박막의 전기적인 포텐셜과 결정성 향상의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피던스 분석 장치를 이용해 후열 처리에 따른 소자의 Resistance, Capacitance, I-V 곡선들을 분석한 결과 최적의 조건에서 열처리된 광활성 층은 전하들의 이동을 조절하여 소자 내에서 Capacitance를 증가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전극과 유기물 층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소자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함을 확인 하였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의 유기인 일리드와 카르보닐 화합물의 반응 (Reaction of Phosphorus Ylides with Carbonyl Compound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정경일;김학도;심재진;나춘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8-32
    • /
    • 2004
  • 초임계 이산화탄소 용매에서의 (벤질렌)삼페닐 인 일리드 화합물의 카르보닐 화합물과의 Wittig 반응을 연구하였다. 소량의 조용매 (THF, 5%)를 첨가한 이산화탄소 (24 mL 용기)에 녹인 (벤질렌)삼페닐 인 일리드 (약 1 mmol)를 여러 방향족 알데히드와 초임계 조건(80 $^{\circ}C$, 2,000 psi) 에서 2시간 반응시켜 올레핀 화합물을 좋은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새로운 조건에서의 반응은 기존 용매 (THF)에서의 반응보다는 약간 느리게 나타났으나 생성물의 (E)- 와 (Z)-이성체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두 이성체가 함께 생성되는 반응의 경우 (Z)-이성체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반면 t-butylcyclohexanone과 같은 케톤과의 반응은 두 조건에서 모두 낮은 전환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이산화탄소에서의 Wittig 반응이 초임계 조건에서 좋은 수율로 이루어지며 이 새로운 용매의 사용으로 반응선택성의 변화가 가능할 수 있다는 초기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는 Wittig 반응과 같은 유용한 유기반응을 친환경 용매 (이산화탄소)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공액계 탄화수소 사슬을 통한 금속원자간 전자적 상호작용 (Electronic Interaction between Metals Accross Conjugated Hydrocarbon Chain)

  • 김선규;정민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2
    • /
    • pp.1037-1041
    • /
    • 2004
  • 공액계 유기가교로서 butadiene을 사용한 이핵 유기금속착체를 합성하였고, 합성된 유기금속착체 화합물에 대한 구조적 특징과 두 금속간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p*Fe(CO)_2]_2-({\mu}-CH=CH-CH=CH)$ 착체는 $Cp*(CO)_2$FeK와 cis-3,4-dichlorocyclobutene과의 반응으로 합성하였고, 이 착체에 결합된 CO기는 UV 광반응하에서 $PPh_3$로 치환시켜 $[Cp*Fe(CO(PPh)_3]_2-({\mu}-CH=CH-CH=CH)$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착체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V 실험결과, 전위차 ${\Delta}E^{\circ}=0.575{\sim}0.605$ V이고 $K_c$값은 $109{\sim}1010$으로 매우 큰 값을 얻음으로서 두 금속간의 상호작용이 탄화수소사슬을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수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