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 밴드 모델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타이탄의 2-3 micron 영역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대기 중 입자에 의한 흡수밴드와 고체 탄화수소화합물 흡수밴드 모델의 비교

  • Sim, Chae-Gyeong;Kim, Sang-J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1
    • /
    • pp.102-102
    • /
    • 2012
  • 타이탄의 근적외선 영역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넓은 흡수밴드를 고체 탄화수소화합물과 질소화합물의 조합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 흡수 밴드는 대기권의 하층부에 존재하는 연무(haze)에 의한 것으로, 3.3 - 3.4 micron 부근과 2.30 - 2.35 micron 부근에서 유사한 형태가 발견됐다. 두 파장대 모두 C-H 스트레칭 모드가 존재하는 영역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그 형태가 넓은 흡수밴드로 나타나므로 대기 중에 고체상태의 탄화수소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며, 관련 분자들의 실험값과 복사전달모델을 이용하여 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 흡수밴드는 고도에 따라 그 형태와 세기가 달라지므로, 연무 입자들의 고도에 따른 수직분포 및 크기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타이탄에서 발견된 $CH_4$, $C_2H_6$, $CH_3CN$의 고체 분광선과, 해당 영역에서 흡수선을 보이는 $C_5H_{12}$, $C_6H_{12}$, $C_6H_{14}$ 등의 고체 분광선을 이용한 모델을 Cassini 탐사선의 VIMS 관측자료로부터 유도한 파장 및 고도에 따른 광학적 깊이 변화량과 비교하여 보여주고자 한다.

  • PDF

Crop classification using multiple frequency polarimetric SAR data (다중 주파수 편광 SAR 자료를 이용한 농작물 분류)

  • Park, No-Wook;Chi,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34-237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C 밴드와 L 밴드 다편광 NASA JPL AirSAR 자료를 농작물 구분에 사용함에 있어서 자료 융합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Target decomposition으로부터 얻어지는 산란특성과 관련된 특징들을 입력으로 support vector machines을 개별 파장대 편광 SAR 자료의 분류에 이용하였으며 C 밴드와 L 밴드 자료의 사후확률을 ${\tau}$모델을 이용하여 융합하였다. 적용 결과 L 밴드 자료가 C 밴드 자료에 비해 농작물 구분에 적절한 투과 심도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높은 분류 정확도를 나타내었지만,자료 융합을 통해 보다 향상된 분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은 앞으로 이용이 가능할 C 밴드 Radarsat-2 자료와 L 밴드 ALOS 자료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cision Level Fusion of Multifrequency Polarimetric SAR Data Using Target Decomposition based Features and a Probabilistic Ratio Model (타겟 분해 기반 특징과 확률비 모델을 이용한 다중 주파수 편광 SAR 자료의 결정 수준 융합)

  • Chi, Kwang-Hoon;Park, No-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3 no.2
    • /
    • pp.89-101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fusion of multifrequency (C and L bands) polarimetric SAR data in land-cover classification. NASA JPL AIRSAR C and L bands data were used to supervised classification in an agricultural area to simulate the integration of ALOS PALSAR and Radarsat-2 SAR data to be available. Several scattering features derived from target decomposition based on eigen value/vector analysis were used as input for a support vector machines classifier and then the posteriori probabilities for each frequency SAR data were integrated by applying a probabilistic ratio model as a decision level fusion methodology. From the case study results, L band data had the proper amount of penetration power and showed better classification accuracy improvement (about 22%) over C band data which did not have enough penetration. When all frequency data were fused for the classification,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about 10% in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was achieved thanks to an increase of discrimination capability for each class, compared with the case of L band Shh data.

UV Resonance Raman Studies of Cis-Peptide, Diketopiperazine (자외선 공명 라만분광법을 이용한 시스-펩티드, 디케토피페라진 연구)

  • Song, Sunho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6 no.1
    • /
    • pp.39-45
    • /
    • 1993
  • We have examined Raman spectra of cis-peptide model complex, diketopiperazine in water and $D_2O$ with 320 nm through 218 nm excitation. Our study examines assignment of the resonance enhanced amide vibrations and characterizes their enhancement mechanism. Three resonance enhaned cis-peptide marker bands were observed in aqueous solution at 1676, 1533 and $806cm^{-1}$, which were assigned to the cis-amide I, II and S band, respectively. The $1533cm^{-1}$ amide II band, which is almost pure C-N stretching, was most dominant in water and shifted to $1520cm^{-1}$ upon N-deuteration. This band will be probably a potential probe band for cis-peptide moieties in proteins. The excitation profile data and an Albrecht A-term fit indicated that the cis-peptide vibrations derive their intensities from the 188 nm cis-peptide ${\pi}-{\pi}^*$ electronic transition. We Propose that the geometry of cis-peptide ${\pi}^*$ excited state is C-N bond displacement relative to that of electronic ground state.

  • PDF

타이탄 3 마이크론 영역에서 보이는 유기 화합물의 미확인 흡수 밴드 연구

  • Jeong, Ae-Ran;Kim, Sang-J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5 no.1
    • /
    • pp.89.1-89.1
    • /
    • 2010
  • Cassini/VIMS 관측에 의하면 타이탄의 3 마이크론 파장영역에서 다른 파장 대와 달리 메탄 분자만으로는 관측 값에 맞는 모델을 만들기 힘든 특이한 형태의 흡수 밴드 영역이 발견되었다 (Bellucci et al. 2009, Icarus, v. 201, p. 198). 이 파장영역은 행성뿐만 아니라 ISM (Interstellar Medium)과 혜성 등에서 연구 되고 있는 C-H stretching band와 흡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타이탄 연무 속에 포함된 유기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최근까진 개발된 복사방정식 모델과 2006년 Cassini/VIMS가 관측한 고도에 따른 solar occultation 데이터를 비교하여 밴드구조의 실체를 알아보는 것이 주 목적이다. 우리는 고도 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흡수밴드의 파장 영역을 세밀히 나눈 후 메탄과 함께 유기물질의 연무가 더해진 모델을 만들었다. 도출된 유기물질의 구조가 관측된 밴드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 할 것이다.

  • PDF

단일 밴드 중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표면온도 추정 방법 연구

  • Park, Uk;Lee, Yun-Gyeong;Won, Jung-Seon;Lee, Seung-Geun;Kim,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25-130
    • /
    • 2008
  • Mid-Infrared (MIR) 영상은 화산 활동 및 산불로 인한 재난관측, 지표물질 관측, 해수 온도 측정과 같은 분야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IR영역은 지표의 복사율과 대기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가 매우 심하고, 낮 영상의 경우 태양 복사량에 의한 영향도 고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단일밴드인 MIR영상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얻기 위해서는 영상이 취득된 시간과 장소에서 관측된 태양 복사량 및 여러 가지 대기 변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MIR 영상 연구가 다중밴드를 기반으로 한 것과 달리 단일 밴드의 영상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측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MODIS MIR 영상을 대상으로 MODTRAN을 사용하여 MIR 영역의 대기보정 기법을 적용 한 뒤 복사전달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의 복사량을 측정하였다. 획득된 지표온도 영상의 정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기존의 온도 알고리즘인 split-window algorithm에 의해 얻어진 해수온도 영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오차 원인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낮 영상의 경우 -4.19${\pm}$1.19$^{\circ}C$ 정도의 온도 차가 났으며, 밤 영상의 경우 0.5$^{\pm}C$0.39$^{\circ}C$ 정도로 비교적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낮 영상의 경우 지표의 복사율에 대한 온도의 민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높은 오차가 발생하지만, 밤 영상의 경우 태양빛에 의한 영향이 없으므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일밴드 MIR영상을 이용한 지표온도 추정 시 대기에 의한 영향보다 지표 복사율에 의한 영향이 높다고 추정할 수 있다.

  • PDF

Oceanic Application of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 - Focused on Sea Surface Wind Retrieval - (인공위성 합성개구레이더 영상 자료의 해양 활용 - 해상풍 산출을 중심으로 -)

  • Jang, Jae-Cheol;Park, Kyung-A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5
    • /
    • pp.447-463
    • /
    • 2019
  • Sea surface wind is a fundamental element for understanding the oceanic phenomena and for analyzing changes of the Earth environment caused by global warming. Global research institutes have developed and operated scatterometers to accurately and continuously observe the sea surface wind, with the accuracy of approximately ${\pm}20^{\circ}$ for wind direction and ${\pm}2m\;s^{-1}$ for wind speed. Given that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scatterometer is 12.5-25.0 km, the applicability of the data to the coastal area is limited due to complicated coastal lines and many island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contrast,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one of microwave sensors, is an all-weather instrument, which enables us to retrieve sea surface wind with high resolution (<1 km) and compensate the sparse resolution of the scatteromet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eophysical Model Functions (GMF), which are the algorithms for retrieval of sea surface wind speed from the SAR data depending on each band such as C-, L-, or X-band radar. We reviewed in the simulation of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s for relative wind direction, incidence angle, and wind speed by applying LMOD, CMOD, and XMOD model function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MF. We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about the validation of wind speed from the SAR data using these GMFs. The accuracy of sea surface wind from SAR data changed with respect to observation mode, GMF type, reference data for validation, preprocessing method, and the method for calculation of relative wind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potential users of SAR images who retrieve wind speeds from SAR data at the coastal reg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사파이어 기판에 증착한 MgMoO4:Eu3+ 박막의 광학 특성

  • Gang, Dong-Gyun;Kim, Jin-Dae;Jo, S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185.1-185.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라디오파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증착 온도를 변화시켜면서 Eu 이온이 도핑된 MgMoO4 적색 형광체 박막을 사파이어 기판 상부에 성장하였다. 타겟은 고상반응법을 사용하여 직접 제작하였다. 형광체 박막의 구조, 표면, 광학적 특성은 X-선 회절장치, 주사전자현미경, 투과도 및 광여기발광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증착 온도는 100, 200, 300, $400^{\circ}C$이었으며, 증착 후 $870^{\circ}C$에서 열처리 공정을 실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400^{\circ}C$에서 증착한 박막을 다양한 온도 $770-920^{\circ}C$에서 열처리를 수행하여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증착 온도 $200^{\circ}C$에서 성장한 박막의 경우에 614 nm에 피크를 갖는 주 적색 발광 피크가 관측되었으며, 열처리 온도를 달리한 박막의 경우에는 $920^{\circ}C$에서 가장 강한 발광 피크가 나타났다. UV-VIS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박막의 투과도와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Tauc의 모델을 사용하여 밴드갭 에너지를 계산하였다. 증착 온도 변화에 따라 성장된 박막의 투과도는 평균 82% 이상 이었으며 밴드갭 에너지는 4.1 eV이었다. 박막의 결정 구조는 단사정계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결정 입자, 발광 피크의 세기와 투과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 PDF

Analysis of Switch losses in Resonant Half-Bridge Converters for Induction Cooker applications (인덕션 쿠커용 공진형 하프-브릿지 컨버터의 스위치 손실 분석)

  • Kim, Jae-Keun;Baek, Ki-Ho;Park, Sung-Min;Oh, Won-Hy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300-301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인덕션 쿠커의 스위칭 전력반도체에서 발생되는 스위치 손실을 비교 분석한다. Si-기반 전력반도체의 효율 상승이 한계점에 도달함에 따라 고속 스위칭 및 저손실 특성을 지닌 SiC, GaN와 같은 와이드밴드갭 소자를 활용한 고전력밀도 컨버터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소비자 가전분야의 인덕션쿠커 공진형 하프-브릿지 전력회로의 기존 Si-IGBT를 GaN-FET과 SiC-FET으로 구성하여 스위치 손실모델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세 가지의 전력반도체가 적용된 인덕션 쿠커의 스위치 손실을 비교분석한다. 분석된 손실모델은 PSIM Thermal Module을 통하여 검증한다.

  • PDF

Detection of the Coastal Wetlands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the SRTM DEM Acquired in Gomsoman Bay, West Coasts of South Korea (Sentinel-2 위성영상과 SRTM DEM을 활용한 연안습지 탐지: 서해안 곰소만을 사례로)

  • CHOUNG, Yun-Jae;KIM, Kyoung-Seop;PARK, In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4 no.2
    • /
    • pp.52-63
    • /
    • 2021
  • In previous research, the coastal wetlands were detected by using the vegetation indices or land cover classification maps derived from the multispectral bands of the satellite or aerial imagery, and this approach caused the various limitations for detecting the coastal wetlands with high accuracy due to the difficulty of acquiring both land cover and topographic information by using the single remote sensing data. This research suggested the efficient methodology for detecting the coastal wetlands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cquired in Gomsoman Bay, west coasts of South Korea through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NDWI(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image was generated using the green and near-infrared bands of the given Sentinel-2 satellite image. Then, the binary image that separating lands and waters was generated from the NDWI image based on the pixel intensity value 0.2 as the threshold and the other binary image that separating the upper sea level areas and the under sea level areas was generated from the SRTM DEM based on the pixel intensity value 0 as the threshold. Finally, the coastal wetland map was generated by overlaying analysis of these binary images. The generated coastal wetland map had the 94% overall accuracy. In addition, the other types of wetlands such as inland wetlands or mountain wetlands were not detected in the generated coastal wetland map, which means that the generated coastal wetland map can be used for the coastal wetland management tas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