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ypass Grafting Effect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협착이 발생된 관상동맥에 대한 이식우회로술의 효과분석 (Analysis of Bypass Grafting Effects in Stenosed Coronary Arteries)

  • 김형호;서상호;이정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6권2호
    • /
    • pp.153-159
    • /
    • 2012
  • 협착이 발생된 관상동맥의 치료를 위해 외과적인 수술방법으로는 이식우회로술이 많이 사용된다. 이식우회로술 시술 시 개존율 향상을 위해서는 최적의 혈관 문합 시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Y-grafting bypass 와 T-grafting bypass 시술의 효과와 분지각도 및 문합각도 변화에 따른 문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하학적 형상을 최적화하고 각각의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혈류역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식혈관의 분지각도와 문합각도가 각각 $30^{\circ}$$15^{\circ}$일 경우에 LAD 와 LCX 쪽 모두 혈류량이 고르게 분배됨을 확인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Between On-Pump and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n Clinical Outcomes

  • Moon Seong-Min;Choi Seok-Cheol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7-243
    • /
    • 2004
  • In recent, many cardiac centers have preferred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to on-pump CABG to prevent the adverse effects of cardiopulmonary bypas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prove beneficial effects of off-pump CABG. Sixty adult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CAB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pump group (n=30) or Off-pump group (n=30). Arterial blood samples were drawn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Pre-OP and Post-OP, respectively) for measuring CBC, prothrombin time, activated thromboplastine time, blood gas analysis, creatine kinase-MB (CK-MB) level,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level. Perioperative parameters including heparin and protamine usages, complications, blood components usages, blood loss, ventilation and ICU-staying time, and hospitalization were also evaluated. Platelet count at Post-OP was high in Off-pump group whereas CK-MB and LDH levels were low compared with On-pump group. Off-pump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heparin and protamine usages, lower total leukocyte count, higher hematocrit and hemoglobin levels, less blood loss, lower usages of blood components, shorter ventilation and ICU-staying time, and lower incidence of pleural effusion than On-pump group. Other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wo groups. These results showed that Off-pump CABG was a satisfactory technique with less inflammatory reaction, less cardiac damage, l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less cost.

  • PDF

협착이 발생된 관상동맥내 시퀜셜 문합의 효과 (Sequential Bypass Effects in the Stenosed Coronary Artery)

  • 노형운;서상호;권혁문;이병권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9-1922
    • /
    • 2003
  • Bypass anastomosis are frequently adopted for surgical treatments. After the bypass grafting, the bypass artery is often occluded due to restenosis and/or anastomotic neointimal fibrous hyperplasia phenomena. Optimal coronary bypass anastomosis should be investigated to improve the patency for the arterial bypass techniqu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ypass with sequential bypass effects in the stenosed coronary artery. Numerical analyses are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low patterns for different sequential anastomosis techniques. Blood flow field is treated as two-dimensional incompressible laminar flow. The finite volume method is adopted for discretization of the governing equations. The Carreau model is employed as the constitutive equation for blood. To find the optimal sequential bypass anastomotic configurations, the mass flow rates at the outlet of different models are compared quantitatively.

  • PDF

Aorto-Coronary Bypass의 기하학적 형상이 관상동맥의 혈류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eometric Dimensions on the Hemodynamics of Aorto-Coronary Bypass)

  • 서상호;노형운;유상신;권혁문;김동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4-257
    • /
    • 1996
  • An aorto-coronary bypass graft is frequently adopted for the interventional therapy of the diseased atherosclerotic coronary artery grafting. The bypass artery is often occluded due to restenosis and/or anastomotic neointimal fibrous hyperplasia after bypass graft. The optimal aorto-coronary bypass procedure must be studied in order to improve patency rate for the arterial bypass techniqu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geometric dimensions of bypass on the hemodynamics around the anastomosis in the stenosed coronary artery with aorto-coronary bypass.

  • PDF

Effect of the Proximal Anastomosis Configuration of the Radial Artery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Yoon, Seung Keun;Song, Hyun;Lim, Ju Y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2호
    • /
    • pp.117-126
    • /
    • 2021
  • Background: Several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target vessel stenosi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radial artery (RA) graft patency in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There is a lack of data regarding the effect of the RA proximal configuration (aortic anastomosis versus T-anastomosi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RA proximal configuration on the patency rate and clinical outcomes after CABG.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analyzing 328 patients who had undergone CABG with an RA graft.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2 groups. The primary endpoint was RA patency and the secondary endpoints were overall mortality and major adverse cardiac and cerebrovascular events (MACCE). We performed a propensity score-matched comparison. Results: Aorta-RA anastomosis was performed in 275 patients, whereas the rest of the 53 patients received T-RA anastomosis. The mean age was 67.3±8.7 years in the T-RA anastomosis group and 63.8±9.5 years in the aorta-RA anastomosis group (p=0.02).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5.13±3.07 years. Target vessel stenosis ≥70% (hazard ratio [HR], 0.42; 95% confidence interval [CI], 0.20-0.91; p=0.03) and T-RA anastomosis configuration (HR, 2.34; 95% CI, 1.01-5.19; p=0.0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A occlusion in the multivariable analysis. However, T-RA anastomosis was not associated with higher risks of overall mortality and MACCE following CABG (p=0.30 and p=0.07 in the matched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Aorta-RA anastomosis showed a superior patency rate compared to T-RA anastomosis. However, the RA proximal anastomosis configur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mortality or MACCE.

개심술시 Cell Saver 를 이용한 자가수혈의 효과 (Effects of Autotransfusion using Cell Saver in Cardiac Surgery)

  • 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2호
    • /
    • pp.260-267
    • /
    • 1990
  • During a eight month period[from December, 1988 to July, 1989], a series of 35 adults undergoing redo-valve replacement 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was selected to an autotransfusion group[n=10] or a control group[n=25]. The Cell Saver System[Haemonetics Corp., Graintree, Mass] was employed for autotransfusion. With this system, all blood shed in the operative field before and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and remained in cardiotomy reservoir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was aspirated by means of a locally heparinized collecting system. After the salvaged blood was centrifuged, the resulting red cell concentrate subsequently reinfused. The patients receiving autologous blood required significantly less banked homologous blood than their controls[3213k1020 ml and 506051931 ml, respectively: p=0.001] There were no clinical infections in the autotransfusion group, although 40% of the cultures of processed blood were positive. And there was no apparent intergroup difference of the clinical and the hematologic and hemostatic laboratory findings. We conclude that autotransfusion using cell saver is effective for saving the homologous blood transfusion in cardiac surgery.

  • PDF

체외순환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 후 부신성 위기 (Adrenal Crisis after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최용선;류상완;홍성범;정명호;김상형;안병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7호
    • /
    • pp.601-605
    • /
    • 2004
  • 부신성 위기라 불리는 Addisonian crisis는 스트레스 호르몬의 일종인 cortisol이 분비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못함으로써 발생한다. 뇌하수체 선중은 기존에 있던 뇌하수체 선종이 어떤 원인에 의해 출혈성 또는 허혈성 변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혈관계 수술에 있어 매우 드문 합병증이다. 더구나 심혈관제 수술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뇌하수체 졸중은 체외순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체외순환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 후에 뇌하수체 졸중이 발생한 경우로 처음 보였던 여러 증상이 마치 폐혈성 쇼크와 유사하여 진단이 늦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일단 진단이 된 후에는 스트레스 용량의 부신 호르몬을 투여함으로써 급격한 증상 호전을 보였다.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로술 ("On-Pump" CABG on the Beating Heart - Two case report -)

  • 신종목;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5호
    • /
    • pp.480-483
    • /
    • 1999
  • 심폐바이패스와 심정지액을 이용하여 심장을 완전히 정지시킨 상태에서 원위부 관상동맥 문합을 시행하는 방법이 현재 관상동맥우회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심정지액을 이용한 심정지하의 관상동맥우회술은, 특히 고위험군 환자에서 수술중 심근의 허혈성 손상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심폐바이패스를 사용치 않는 방법이 관상동맥우회술중 심근의 허혈성 손상을 방지하고 심폐바이패스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이상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겠지만, 이는 기술적으로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에 저자들은 좌심실 구출률이 25%로 좌심실 기능 저하가 심했던 경우와, 경피적 관상동맥확장술 중에 심인성 쇼크가 초래된 경우 등의 고위험군 환자에서 시행한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 2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한 허혈성 좌심실 기능부전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시 체외순환 여부에 따른 좌심실 기능 회복력 비교 (The Recovery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Patients with Severe Ischemic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Off-pump Versus On-pump)

  • 김재현;김근직;백만종;오삼세;김종환;나찬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16-122
    • /
    • 2005
  • 배경: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은 체외순환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합병증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특히 고 위험군 환자에서 유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심한 허혈성 좌심실 기능부전 환자들에서 관상동맥우회슬시 체외순환 유무에 따른 수술 성적을 비교하였으며 좌심실 기능의 회복정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본원에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술 전 좌심실 박출계수(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가$ 35\%$ 이하이고, 관상동맥우회술만을 단독으로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는 전체 75명으로 OPCAB을 시행한 경우가 33명$(mean\;LVEF\;=\;28.3\%),$ 전통적인 관상동맥우회술(Conventional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CAB)을 시행한 경우가 42명$(mean\;LVEF\;=\;27.6\%)$으로 수술 전 위험인자 및 수술성적을 비교하였고 수술 후 가장 최근에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두 군간의 좌심실 기능변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위험요인 중 CCAB군에서 불안정성 협심증, 삼혈관 질환, 급성 심근경색이 많았으며 그 외 술 전 인자는 두 군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PCAB군에서 수술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으며, 원위부 문합수, 좌회선동맥 분지의 문합수는 CCAB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수술 사망률$(OPCAB\; 9.1\%\;(n=3)\;Vs\;CCAB\;9.5\%\;(n=4)),$ 호흡기 사용일수, 중환자실 체류일수 및 재원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은 통계적 의미는 없었으나 CCAB군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양상이었다. 술 후 평균 16개월에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OPCAB군은 LVEF가 평균 $9.1\%$ 향상되었고 좌심실 확장기말 치수(LVEDD)는 4.3mm, 좌심실 수축기말 치수(LVESD)는 4.2mm 감소하였으며, CCAB군은 LVEF가 $11.0\%$ 향상되었고, LVEDD는 5.1mm, LVESD는 5.5mm 감소하였다. 그러나 두 군간의 차이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심한 허혈성 좌심실 기능부전 환자에서 관상 동맥우회술이 수술 후 좌심실 기능을 향상시켜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체외순환 여부에 따른 좌심실 기능의 회복정도에는 차이가 얼었다. OPCAB은 심한 좌심실 기능저하가 있는 환자에서 수술 사망률 및 술 후 좌심실 기능 회복 측면에서 CCAB에 대등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시간이 단축되는 장점과 합병증 발생이 감소되는 경향을 고려할 때 CCAB보다 우월하므로 좌심실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 환자 수술 시 먼저 시도해 보아야 할 것이다.

심한 좌심실 부전을 갖는 환자에서 시행한 Off-Pump CABG와 On-Pump CABG의 중단기 성적비교 (The Comparison Study of Early and Midterm Clinical Outcome of Off-Pump versus On-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Patients with Severe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LVEF${\le}35{\%}$))

  • 윤영남;이교준;배미경;심영희;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184-193
    • /
    • 2006
  • 배경: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ff 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PCAB) 은 심폐체외순환 하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On 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n pump CABG)에 비해 합병증이 다소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좌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서 OPCAB과 On pump CABG의 단기 및 중기 성적을 평가하여 OPCAB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동반수술을 시행 받지 않고 관상동맥우회술만을 시행 받은 946명 중 좌심실 박출계수가 $35\%$ 이하인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OPCAB군 : On pump CABG군 =68명: 32명). 평균 연령은 두 군이 OPCAB군과 On pump CABG군이 각각 62.9$\pm$9.0세와 63.8 $\pm$ 8.0로 두 군의 차이가 없었다. 두 군의 수술 전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수술 결과 및 추적결과를 평가 및 비교하였다. 결과: OPCAB군은 평균 2.75$\pm$0.72개, On pump CABG군은 2.78$\pm$0.55개의 도관을 획득하여, 각각 3.00$\pm$0.79개, 3.16$\pm$0.72개의 원위문합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사망은 OPCAB군에서만 1명 ($1.5\%$) 발생하였으나 두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수술시간, 수술 후 1일째 CK-MB, 수술 후 기계 환기 시간, 중환자실 체류기간, 합병증 발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OPCAB군에서 더 낮았다. 평균 추적 기간은 26.6$\pm$12.8개월(4${\~}$54개월)이었으며, 추적 기간 중 좌심실 박출계수는 OPCAB군과 On pump CABG군이 각각 $27.1\pm4.5\%$$26.9\pm5.4\%$에서 $40.7\pm13.0\%$$33.3\pm13.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각 증가하였다. 4년 생존율은 OPCAB군과 On pump CABG군이 각각 $92.2\%,\;88.3\%$, 심장관련 사망에 있어서 4년 freedom rate은 각각 $97.7\%,\;96.4\%$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심장관련 합병증과 협심증 발생의 freedom rate도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좌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서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심장기능을 향상시키고 On pump CABG군에 비해 우수한 수술결과를 보였다. 특히 On pump CABG군에 비해 우수한 단기 성적을 보였으나 중기성적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좌심실 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 있어서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술방법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