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yl-cyanoacrylat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1초

N-butyl-2-cyanoacrylate($Histoacryl^{(R)}$)을 이용한 기관지흉막루의 치료 1예 (Closure of a Postoperative Bronchopleural Fistula with Bronchoscopic Instillation of n-butyl-2-cyanoacrylate ($Histoacryl^{(R)}$))

  • 조재화;이홍렬;류정선;전정배;이돈행;윤용한;김광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4호
    • /
    • pp.543-548
    • /
    • 1999
  • 저자들은 국균종으로 좌측 전폐절제술후 발생한 기관지흉막루에 굴곡성기관지경을 통한 n-butyl-2-cyanoacrylate($Histoacryl^{(R)}$) 주입으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omparing intra-oral wound healing after alveoloplasty using silk sutures and n-butyl-2-cyanoacrylate

  • Suthar, Pratik;Shah, Sonal;Waknis, Pushkar;Limaye, Gandhali;Saha, Aditi;Sathe, Pranav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6권1호
    • /
    • pp.28-35
    • /
    • 2020
  • Objectives: The need for proper wound closure is of paramount importance after any intra-oral surgery. Various wound closure techniques have been described in literature using traditional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s. These include like synthetic absorbable sutures, surgical staples and tissue adhesives. Cyanoacrylates are among the most commonly used biocompatible tissue adhesives. To evaluate and compare intraoral wound healing using 3-0 silk sutures and n-butyl-2-cyanoacrylate after alveol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0 patients requiring bilateral alveoloplasty in the same arch (upper or low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tients with any pre-existing pathology or systemic disease were excluded. After alveoloplasty was performed, the wound was closed using 3-0 braided silk sutures on one side, and using n-butyl-2-cyanoacrylate bio adhesive on the other side. Patient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parameters: time required to achieve wound closure; the incidence of immediate and postoperative hemostasis; the time to the use of the first rescue medication; the side where pain first arises; and the side where wound healing begins first. Results: Compared to 3-0 silk sutures, cyanoacrylate demonstrated better hemostatic properties, reduced operative time, reduced postoperative pain and better wound healing.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cyanoacrylate glue is an adequat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sutures to close the surgical wound after alveoloplasty, and better than are 3-0 silk sutures.

급성 출혈 환자에서 N-Butyl Cyanoacrylate를 이용한 경도관 동맥색전술의 유용성 (Efficacy of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with N-Butyl Cyanoacrylate in Acute Bleeding Patient)

  • 제환준;김상윤;이의중;이활;서길준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8권2호
    • /
    • pp.112-118
    • /
    • 2005
  • Background: N-Butyl Cyanoacrylate (NBCA) is a liquid embolic material that can be useful for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of acute bleeding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oagulopathy, because it does not depend on coagulation for its therapeutic effe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TAE with NBCA in acute bleeding patients. Methods: Between August 2003 and September 2004, TAE using NBCA for acute bleeding was performed in 23 patients (16 men, 7 women; mean age, 56.5years). The causes of bleeding were gastric ulcer (n=5), postoperative bleeding (n=4), post-biopsy bleeding (n=3), postpartum bleeding (n=3), duodenal ulcer (n=2), angiodysplasia (n=2), gastric lymphoma (n=1), iatrogenic injury (n=1), CMV gastritis (n=1), stab injury of the liver (n=1). TAE was performed using 1:3 mixtures of NBCA and iodized oil. The angiographic and clinical success rate, recurrent bleeding rate,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 and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Results: The angiographic and clinical success rate was 100% and 91.3% (21/23), respectively. There was no serious ischemic complication. Recurrent bleeding occurred in 2 patients (8.7%) and they were managed with successful second TAE (n=1) and endoscopic treatment (n=1). Nine patients (39.1%) had coagulopathy at the time of TAE and clinical success rate in this group of patients was 88.9% (8/9). Conclusions: TAE with NBCA is highly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modality for acute bleeding patients, especially when the patient has a coagulopathy.

수부 골절 시 Histoacryl$^{(R)}$ (N-butyl-2-cyanoacrylate)을 이용한 보조적 골 정복 2례 (Subservient Bone Reduction with Histoacryl$^{(R)}$ (N-butyl-2-cyanoacrylate) in Hand Fractures: Two Cases of Report)

  • 이원;이성환;오상아;강동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102-104
    • /
    • 2011
  • Purpose: The standard treatments of hand fractures today are fixations by K -wires, metal plates, wires and lag screws. But it is very difficult to reconstruct fractures by placing implants into small bony fragments especially in the comminuted fractures and intra-articular fractures. This paper describes a simple method of reconstruction with Histoacryl$^{(R)}$ for comminuted and intra-articular fractures in hands. Methods: 2 cases with comminuted and intra-articular fractures by crushing injury were reconstructed with Histoacryl$^{(R)}$. We performed applying Histoacryl$^{(R)}$ with swab on the bone cortex carefully to avoid Histoacryl$^{(R)}$ infiltrating into the medulla. We could rearrange and fixate bony fragments using only Histoacryl$^{(R)}$, in addition, metal plates, K-wires, wires, and lag screws could be used for secondary fixation if needed. Results: Post-operative X-ray finding of 2 patients assured that the bony fragments of the hand fractures maintained their original positions. Significant displacement and deviation, infection, nonunion, and malun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not observed.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using Histoacryl$^{(R)}$ in addition as a simple method of fixation in the comminuted and intra-articular hand fractures.

소아의 전두동에 발생한 복잡골절에서 Cyanoacrylate의 유용성 (Versatility of n-butyl-2-Cyanoacrylate for the Reconstruction of Frontal Sinus Comminuted Fracture in Children)

  • 이용석;강상규;천남주;김철한;탁민성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96-101
    • /
    • 2011
  • Purpose: In treatment of facial bone fracture, occurred in children, we generally use wires, miniplate, absorbable plate or their combination. These foreign bodies can be palpable, and sometimes may cause infections, and need reoperation for removing. When bone fragments are multiple, small or thin, they are hard to handle and make accurate reduction of all fragments. In these cases, a biodegradable tissue adhesive, Histoacryl$^{(R)}$ (n-butyl-2-cyanoacrylate), can be used as fixation technique for small, multiple, and thin fracture fragments. Methods: 3 years old and 6 years old children, who has comminuted fracture on frontal sinus, we used Histoacryl$^{(R)}$ for fixation of multiple bone fragments. After approaching by coronal incision, we pulled out all bone fragments and reconstructed bone fragments by Histoacryl$^{(R)}$ and fixed those on frontal sinus by absorbable plates. Results: Photographs and 3-dimensional CT obtain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nd we compared them each other in terms of accuracy of reconstructed bony contour. We could reconstruct almost all bone fragments easily along 3-dimensional structure and get excellent aesthetic results. There was no complication such as infection. Conclusion: In treatment of comminuted facial bone fracture, occurred in children, Histoacryl$^{(R)}$ is an excellent method for accurate reconstruction in small and thin bone fragments which cannot be fixed by wire, miniplate or absorbable plate without complication.

NaHSO4·SiO2 촉매를 이용한 Knoevenagel 축합을 거친α,β의 불포화산, α-Cyanoacrylonitriles와 α-Cyanoacrylates의 합성을 위한 무수조건하의 반응 절차 (Dry Media Reaction Procedure for Synthesis of α,β-Unsaturated Acids, α-Cyanoacrylonitriles and α-Cyanoacrylates via Knoevenagel Condensation Using NaHSO4·SiO2 Catalyst)

  • Gopalakrishnan, M.;Sureshkumar, P.;Kanagarajan, V.;Thanusu, J.;Thirunavukkarasu, S.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46-351
    • /
    • 2007
  • NaHSO4·SiO2를 사용하는 solvent-free 조건하에서 E-geometry를 가진 α,β의 불포화산, α-Cyanoacrylonitriles 와 α-Cyanoacrylates의 효율적인 입체선택적 반응을 수행하였다.

골 조직공학을 위한 치아인회석, 키토산,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새로운 생체흡수성 골시멘트 (A Novel Bioresorbable Bone Cement Using Tooth Apatite, Chitosan, and Cyanoacrylate for Bone Tissue Engineering - Handling & mechanical properties, cytotoxicity and biocompatibility-)

  • J. H. Chung;Lee, W.;P. H. Choung;J. E. Davies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4호
    • /
    • pp.347-356
    • /
    • 2004
  • 치아인회석, 키토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의 생분해성 생체재료를 이용해 새로운 생체흡수성 골시멘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들 골시멘트들에 대해서 중합온도, 응고시간 등의 조작특성과 압축강도, 전단강도 등의 물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치아인회석과 키토산의 미립가루와 부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강력접착제를 이용한 시멘트(B)에 대해서는 직접 접촉방법과 XTT 방법을 통해 세포독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시멘트(B)의 처리그룹에 따라 생체적합성을 분석하였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골시멘트의 최대중합온도는 약 33$^{\circ}C$, 조작(응고)시간은 3-6분, 압축강도는 약 15-25㎫, 전단강도는 약 0.4-l.7 ㎫를 나타내었다. 첨가제로 사용된 Lipiodol은 골시멘트의 주사성과 강력접착제의 초기 중합지연도를 높였고, 특히 송진가루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초기중합을 지연시켰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시멘트(B)의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처리 그룹에서 낮게 나타났고, 특히 키토산과 치아인회석을 사용한 경우 각각 세포 독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골시멘트(B)의 동물 생체적합성 실험의 방사선상 및 조직학적 분석에서도 뼈 형성 및 결합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치위생 임상에서 조직접착제를 활용한 외상성 치은열창의 처치 (Management of Traumatized Gingival Wound Using Tissue Adhesivein Dental Hygiene Practice)

  • 정원균;노희진;장선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4
    • /
    • 2003
  • 본 고는 치위생 임상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상성 치은 손상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조직접착제의 활용 방안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조직접착제는 조직 표층의 열창을 기존 봉합법에 의하지 않고 화학물질에 의한 접착 방식으로 폐쇄하기 위한 용도로서 그 동안 구강외과나 치주수술 분야에서 그 응용이 모색되어 왔다.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 및 치근활택술 등의 시술 과정에서 부적절하거나 과도한 기구조작에 의해 치은이나 구강점막에 열창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발생하였을 경우, 조직접착제를 이용하여 열창을 폐쇄하면 매우 효과적이며 단순하고 편리하다. 조직접착제는 n-butyl-2-cyanoacrylate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직의 수분과 접촉하면 빠르게 중합되어 접착력을 나타낸다. 조직접착제를 이용한 치은열창의 처치는 그 심미적 결과가 양호하며, 추가적인 조직 손상이 없을 뿐 아니라 시술 방법이 간단하여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국소마취가 필요치 않으며, 창상 소독이나 봉합사 제거를 위해 환자가 다시 내원하지 않아도 되는 등의 여러 임상적 장점이 있다. 창상의 감염 방지나 지혈 작용 등에도 효과적이다. 조직접착제는 치위생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직손상에 대한 처치법으로서 환자나 치과위생사 모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술전 색전술과 미세수술을 이용한 뇌동정맥기형의 치료 (Treatment of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by Preoperative Embolization and Microsurgery)

  • 김규홍;노명호;이운기;최정훈;이인창;배상도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4호
    • /
    • pp.500-506
    • /
    • 2000
  • 뇌동정맥기형의 치료에 있어 술 전 색전술과 미세뇌수술을 병합함으로서 얼마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를 알고자 후향적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군은 수술 전 초선택적 색전술후 수술을 시행하였던 10명의 뇌동정맥기형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술 전 색전술 없이 수술만으로 치료하였던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환자군은 Spetzler-Martin grade, 뇌동정맥기형의 크기 그리고 Glasgow Outcome Scale을 이용한 술 후 추적관찰 결과에 따라 나누어 비교하였다. 조사대상 37명의 환자중 남자가 23명, 여자가 14명이었으며 나이는 11세부터 74세(평균 36세)였다. 뇌동정맥기형의 크기는 술 전 색전술과 수술적 치료를 병합하였던 조사군에서 평균 4.45cm로 수술만 시행하였던 군의 3.83cm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Spetzler-Martin grade도 조사군에서는 3, 4, 5등급이 80%이었으나 대조군에서는 52%로 술 전 색전술과 수술을 병합한 군에서 높은 등급의 환자가 많았다. 수술 후 일주일째 평가한 Glasgow-Outcome Scale 점수는 조사군에서는 5점인 경우가 60%로 대조군의 44%보다 높았으며, 수술 후 6개월만에 평가한 점수도 조사군에서 5점인 경우가 80%이었고 대조군은 63%로 술 전 색전술과 수술을 병합하였던 환자에서 더 좋은 예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수술 전 N-butyl cyanoacrylate를 이용한 초선택적 색전술을 시행한 후 수술 적으로 뇌동정맥기형을 제거함으로서 비교적 등급이 높은 환자에서 치료가 용이하였으며 이전의 수술적 치료만 하였던 경우에 비해 더 좋은 예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속발성 분만 후 출혈의 임상 및 혈관 조영술의 특징과 경도관 동맥 색전술의 결과 (Clinical and Angiographic Features of Secondary Postpartum Hemorrhage and the Outcomes of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 백승대;강웅래;지승우;김영환;차중근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79권6호
    • /
    • pp.315-322
    • /
    • 2018
  • 목적: 속발성 분만 후 출혈 환자에서 임상 양상 및 혈관 조영술의 특징과 경도관 동맥 색전술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속발성 분만 후 출혈로 인해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만 방식, 출혈 원인, 임상 증상, 혈관 조영술 소견, 색전 물질과 방법, 결과 등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20명(53%)의 환자가 제왕절개를 시행하였으며, 출혈 원인은 의인성 혈관 손상(n = 11), 잔류 태반(n = 10), 자궁근 무력증(n = 8), 후천성 자궁 동정맥 기형(n = 5) 등이었다. 간헐적(50%) 및 지속적(50%) 대량 질 출혈이 임상적으로 관찰되었다. 7명(18%)의 환자에서 내원 시 저혈량 쇼크를 보였다. 혈관 조영술 상 18명이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제왕절개 후 가성동맥류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 < 0.001). 젤폼 이외에 N-butyl cyanoacrylate (7예), 미세 코일(7예)을 사용하였다. 출혈 부위 초선택이 가능하였던 10명의 환자(26.3%)에서는 단측 혈관 선택 색전술만으로 지혈이 성공적이었다. 기술적 성공률은 100%였으며, 임상적 성공률은 97.4%이었다.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16명에서 정상 월경 주기를 보였으며, 1예의 정상 임신이 관찰되었다. 결론: 속발성 분만 후 출혈은 저혈량 쇼크를 보일 수 있으며, 양성 출혈 소견을 보이는 빈도가 높았다. 따라서 조기 혈관 조영술과 동맥 색전술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