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terfly Fligh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지면이륙하는 나비의 날개짓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Ground Take-off Flight of a Butterfly)

  • 장영일;이상준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2-143
    • /
    • 2008
  • In the present work, high-speed video images of the ground take-off flight of a live butterfly were captured and their dynamic motions during the first full-stroke were analyzed. To capture the dynamic images of the take-off motion, the experimental setup consisted of a high-speed camera, a Xenon lamp as a light source and a transparent chamber of $15^W{\times}15^L{\times}17^H$ $cm^3$ in physical size. The ambient temperature and supplementary lighting devices were precisely controlled. The weight and wing span of the butterfly tested in this study was 104 mg and 63.14 mm, respectively. The ground take-off images were captured with 4000 fps with a spatial resolution of (1024${\times}$512) pixels. The period of the first full-stroke was 80.5ms and the flapping speed of downstroke was 2 times faster than that of upstroke. As a result, butterflies used the fling and near-clap motion to generate lifting force and an interesting take-off behavior of early pronation and downstroke was observed.

  • PDF

광릉 숲 나비류의 생활주기 변화분석 및 문제점 (Analysis on Changes, and Problems in Phonology of Butterflies in Gwangneung Forest)

  • 권태성;변봉규;강승호;김성수;이봉우;김영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09-216
    • /
    • 2008
  • 지구온난화로 인한 나비 생활주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광릉 숲에서 1958년과 2004년에 주별로 조사한 나비모니터링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58년에 비해 2004년에 나비류의 최초 출현시기와 평균 출현시기가 빨라졌는지, 출현기간이 길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최초발생시기와 발생기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평균 출현시기에서는 느려진 종들이 오히려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온난화로 예상되는 나비류 생활주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기온 증가에도 불구하고, 예견되는 생활주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원인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국내의 나비를 지구온난화 지표로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 현재 나비상 연구에 있어서 문제점과 해결책을 검토하였다.

은줄팔랑나비(나비목: 팔랑나비과) 성충의 행동특성과 서식지 보전방안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Leptalina unicolor (Lepidoptera: Hesperiidae) and Conservation Methods for their Habitat)

  • 홍성진;김형곤;윤춘식;정선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09-818
    • /
    • 2020
  • To conserve the population of a hesperiid butterfly, Leptalina unicolor, inhabiting the protected areas of Jaeyaksan, we provide ecological information on their behavior and propose habitat conservation measures, such as the cre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based on comprehensive information. The behavioral study used a method of re-capture after releasing the butterfly with enamel marks on the wings. Adult behaviors were shown in four patterns: flying, settling on a plant, nectar absorption, and water absorption. Both males and femal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flight movement overall; however, males had a slightly higher proportion of flight movement. As for duration, females spent more time settling on plants to select spawning sites, and males seemed to take a longer time for water absorption activities, to absorb minerals needed to form the spermatophore. The average travel distance of butterflies was 27.5 m for females and 46.7 m for males, with daily activity ranges from 11.2 m to 43.8 m, and 21.4 to 57.6 m, respectively. The most important condition to preserve the habitat of Leptalina unicolor is to maintain the community of Miscanthus sinensis, a food plant. Additionally, because this butterfly has a high rate of water absorption activities, wetlands should be maintained.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L. 飛筋의 年齡에 따른 미토콘드리아의 變化에 관한 電顯的硏究 (Electron Microscopical Study on Mitochondrial Changes of Flight Muscle with Aging in a Butterfly, Pieris rapae L.)

  • Chang-Whan Kim;Woo-Kap Kim;Bong Hee Lee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53
    • /
    • 1973
  • 年齡에 따른 미토콘드리아의 構造的變化를 調査하기 위하여 電子顯微鏡을 利用하여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L.의 飛筋을 觀察하였다. 미토콘드리아는 크리스타가 잘 발달되지 않은 A型과 크리스타가 복잡하게 발달된 B型의 두種類가 存在하였다. 羽化直後의 것에서는 A型과 B型미토콘드리아가 꼭같이 存在하였고 羽化後 10日 經過한 것에서는 B型미토콘드리아에 比하여 A型이 急速히 減少하였다. 羽化後 10日이 經過된 것의 筋細胞에서는 B型미토콘드리아가 年齡의 增加에 따른 微細構造的變化를 이르켰다. 이러한 老衰된 미토콘드리아의 微細構造的 變化像은 部分的으로 그 內膜이 髓 狀構造를 再形成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곧 年齡에 따른 退化를 意味한다. 髓 狀構造를 形成하는 것은 많은 同心圓體이며 이 同心圓體의 數와 크기는 年齡과 比例하면서 增加했다. 筋細胞의 細胞質에서 미토콘드리아 內로 侵入한 글리코겐 粒子는 同心圓體의 中央에서도 觀察되었다.

  • PDF

프링-크래핑 날개의 주기적 운동에 관한 수치적 흐름 가시화 (Numerical Flow Visualization of Cyclic Motion of a Fling-Clapping Wing)

  • 장조원;손명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8권12호
    • /
    • pp.1511-1520
    • /
    • 2004
  • A flow visualization of the two-dimensional rigid fling-clap motions of the flat-plate wing are performed to gain knowledge of butterfly mechanisms that might be employed by butterflies during flight. In this numerical visualization, the time-dependent Navier-Stokes equations are solved for cyclic fling and clap types of wing motion. The separation vortex pair that is developed in the fling phase of the cyclic fling and clap motion is observed to be stronger than those of the fling followed by clap and pause motion(1st cycle motion). This stronger separation vortex pair in the fling phase is attributable to the separation vortex pair of the outside space developed in the clap phase as it moves into the opening in the following fling phase. Accordingly, higher lift and power expenditure coefficients in the fling after clap phase is caused by the stronger separation vortex pair.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행동 및 번식기 섭식행동의 다양성 (The Diversity of Reproductive and Foraging Behaviors on Breeding Season of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 윤무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6호
    • /
    • pp.383-390
    • /
    • 2004
  • 본 연구는 1999년 3월부터 2002년 9월에 걸쳐 경기도 시화호, 경기도 웅진군 동${\cdot}$서만도, 장구엽도 3곳에서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기전 행동, 텃세권 행동, 번식생태, 주요 섭식지역과 섭식행동, 종내와 종간번식 및 먹이경쟁에 대해 조사하였다. 검은머리물떼새의 번식 시작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 시화호 지역은 4월 중순부터, 동${\cdot}$서만도와 장구엽도의 경우 5월 중순 번식을 시작하였다. 번식에 들어가기 전 짝간의 유대를 강화하기 위한 행동으로 암수짝간의 섭식행동(foraging behavior)과 추적행동(male-female chasing behavior)을 보인다. 교미행동에 들어가기 전 암수는 함께 섭식행동을 하며, 다른 쌍이나 개체들이 섭식장소로 접근해 오면 삑- 삑- 하는 울음소리(piping calling)와 함께 공격적 행동을 보이며 침입자를 쫓아내거나, 침입자 추적비행을 하기도 한다. 연속적 행동양상을 관찰하지 않으면 암수 추적비행과 침입자 추적비행을 구별하기 어렵다. 텃세권 행동은 나비비행(butterfly flight), 음성행동(calling behavior), 침입자 추적행동(chasing behavior), 싸움행동(fight behavior)의 4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였다. 시화호 지역의 중요 취식 지역은 대부도 선착장 앞쪽, 방어머리 갯벌, 시화방조제 오이도 초입부의 정치망이 설치되어 있는 갯벌, 공단의 조류 조망대 앞쪽 북측 간석지 등 크게 4지역으로 구분된다. 섬지역 중 동${\cdot}$서만도는 썰물시 갯벌에서, 만조시에는 섬 주변에서 취식하였고, 밀${\cdot}$썰물의 차가 없는 장구엽도의 경우 섬 주변에서 주로 취식하였다. 섭식행동 중 종내(intraspecific)와 종간 (interspecific) 경쟁이 이루어졌다. 취식지역에서 검은머리물떼새 개체간에는 먹이를 빼앗기 위해 쫓아가는 행동이 관찰되기도 하고, 중요 취식지역에 다른 개체가 들어올 경우 침입자 추적행동을 하며 쫓아내기도 하였다. 종간 섭식 경쟁은 주로 괭이갈매기와 일어난다. 괭이갈매기와 먹이경쟁이 이루어질 경우에 검은머리물떼새는 먹이를 갈취 당하거나 공격을 받아 다른 지역에서 먹이를 취식하는 개체보다 먹이 섭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종간 경쟁이 심하면 섭식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유시아강 곤충 꿀벌과 나비의 피부온도 측정과 이를 활용한 생체 활동 특성에 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iological Activity Analysis through Measuring Skin Temperature of Honeybee and Butterfly using Thermographic Camera)

  • 김정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0-66
    • /
    • 2021
  •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곤충들이 서식하고 있다. 요즘 가정에서 취미로 곤충을 키우거나, 약용 곤충을 산업적 이용을 위해 대량으로 사육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곤충들의 다양한 생육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주로 실험실에서 환경요인을 변화시켜 생육 특성만의 변화를 실험한 연구들이다. 그러나 곤충의 경우에는 피부온도나 체온을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날개를 가진 곤충들의 체온 혹은 피부온도에 대한 실험 결과가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상태로 서식하고 있는 벌(꿀벌)과 나비(남방부전 나비)에 대하여 정지시와 비행시 등의 생체활동 조건에서 곤충들의 피부 온도를 비접촉식 온도 측정 방법인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측정하였다. 실험으로 얻어진 결과를 정량적인 분석을 통하여 곤충별 피부온도와 생체 활동 특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꿀벌은 비행, 꿀 채취, 그리고 자리 이동이라는 세 가지 중요 활동별로 다른 피부온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나비는 나방의 특성과 유사하게 비행을 위한 워밍업 단계를 실행함을 확인하였다.

프링-크래핑 날개의 첫 번째 사이클 운동에 관한 수치적 흐름 가시화 (Numerical Flow Visualization of 1st Cycle Motion of a Fling-clapping Wing)

  • 손명환;장조원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2
    • /
    • 2004
  • 나비가 비행할 때 적용할 수 있는 프링-크래핑 (fling-clapping) 날개의 첫 번째 사이클 운동에 관한 흐름 가시화가 수행되었다. 본 수치적 흐름 가시화 연구에서는 프링-크랩-정지 (fling-clapping-pause), 크랩-프링-정지(clap-fling-pause)의 단계를 거치는 두 가지 형태의 날개 운동 해석을 위해 시간의존 Navier-Stokes 방정식을 이용하였다. 결과에서는 두개군의 분리와류 쌍과 그것들이 전개되는 과정과 같은 주요 흐름특성이 관찰되었다. 프링-크랩-정지 운동의 경우, 날개가 열리는 프링단계에서 시계반대방향의 강한 분리와류 쌍이 날개 사이의 열린 내부공간에 발달된다. 이어지는 크랩단계에서 분리와류 쌍은 열린 내부공간 밖으로 이동된다. 크랩-프링-정지 운동의 경우, 크랩 단계의 외부 공간에서 발달한 분리와 류 쌍은 뒤따르는 프링 단계에서 열린 내부공간내로 움직인다. 크랩-프링-정지 운동의 프 링 단계에서 발생된 열린 내부공간의 분리와류 쌍은 프링-크랩-정지 운동의 프링단계에서 발생된 열린 내부공간의 분리와류 짱보다 더 강한 와류 쌍임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