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an foods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2초

부산 지역 직장인의 영양 지식 수준에 따른 식행동 및 편의식품 이용 실태에 관한 조사 (An Exploratory Study on Dietary Behaviors and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based on Nutritional Knowledge among Salaried Men in Busan)

  • 이윤정;윤은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90-703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etary behaviors and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among salaried men in Busan, Korea, and compared them based on the men's nutritional knowledge level.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s and was distributed to 250 office workers in Busan in February 2013. A total of 224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es. ${\chi}^2$-tests were employed for the nominal data while Mann-Whitney' U-tests were used for the ordinal data. Leven's tests were first performed before the t-tests for the interval data. Almost 60% of the respondents were female, 50% were in their 30s and 68% lived with other family members. The mean score of the nutritional knowledge test was 13.78 out of 20. Women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 or higher were likely to get a better score than men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or below.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further analyses: Low (LK) vs. High (HK) knowledge score groups. LKs were more likely to consume 20 convenience foods than HKs. Although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nutritional disadvantages of consuming convenience foods for an extended period, they continue to eat them because they lack time and further, it is quick and easy to consume convenience foods instead of preparing meals from scratch.

부산.경북지역 초.중학교 급식메뉴의 나트륨 함량 및 학생들의 나트륨 섭취 실태 조사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 이휘재;이창희;이광수;정영지;하숙희;정유영;김동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5-9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부산 경북 지역 초 중학교 단체급식에 함유된 나트륨 함량 및 초 중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 실태를 조사하여, 단체급식 중 나트륨 함량 및 섭취량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나트륨 섭취 저감화 사업 등의 과학적 기초자료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식품군별 나트륨 함량은 소스류(1459 mg/100 g)와 절임류(1165 mg/100 g)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구이류(894 mg/100 g), 조림류(786 mg/100 g), 김치류(737 mg/100 g), 볶음류(624 mg/100 g), 무침 나물류(444 mg/100 g), 튀김류(434 mg/100 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식품 섭취량은 주식인 면류(223 g/인), 일품식류(186 g/인), 밥류(122 g/인), 죽류(116 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유제품(106 g/인), 탕 전골류(77 g/인), 국류(70 g/인), 찌개류(56 g/인), 과일류(44 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은 주식인 면류(665 mg/인), 일품식류(558 mg/인), 죽류(329 m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227 mg/인), 소스류(219 mg/인), 국류(200 mg/인), 구이류(194 mg/인), 찌개류(178 mg/인), 튀김류(159 mg/인)가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식품 섭취량은 주식인 일품식류(325 g/인), 면류(323 g/인), 밥류(180 g/인), 죽류(156 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131 g/인), 음료(123 g/인), 찌개류(98 g/인), 국류(90 g/인), 유제품(76 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나트륨 섭취량은 주식인 일품식류(1039 mg/인), 면류(819 mg/인), 죽류(530 mg/인)가 높게 나타났고, 이어서 탕 전골류(374 mg/인), 튀김류(330 mg/인), 찜류(323 mg/인), 국류(316 mg/인), 볶음류(295 mg/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 끼당 나트륨 섭취량은 초등학생의 경우 1인당 605 mg(저학년 남자), 572 mg(저학년 여자), 774 mg(고학년 남자), 730 mg(고학년 여자)이며, 중학생의 경우 1인당 1423 mg(남자), 1063 mg(여자)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보아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교급식 한끼를 통해 섭취하는 나트륨의 양이 한국인(9세 이상) 나트륨 상한섭취량인 2000 mg/day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위해가능 영양성분인 나트륨의 섭취량 저감화를 위해서는 학교급식에 대한 나트륨 섭취 권고안을 만들고,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며, 이를 식단에 반영할 수 있는 지침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트륨 섭취 저감화 등 어린이 보건 향상을 위한 식품안전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부산시 향토음식과 음식점의 인지도에 따른 차이, 구매의도, 중요도-만족도의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Differences, Purchase Intention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Local Foods and Restaurants in Busan)

  • 김헌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45-52
    • /
    • 2021
  •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향토음식과 음식점에 대한 인지도의 중요도-만족도, 인지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정하고자 t-검증과 ANOVA 분석방법 사용하여 지역에 따른 차이, IPA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부산지역 향토음식점을 찾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 간 실시를 하였고, 최종 392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산지역 향토음식의 인지도는 이용객의 지역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에서 전 표본에서 돼지국밥, 밀면, 곰장어구이·짚불곰장어, 장어구이·아나고회 순으로 인지도는 높게 나타났고, 반면 산성염소불고기, 동래파전, 산성막걸리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부산지역 향토 음식점의 중요도-만족도 간의 차이에서 '타 지역과 비교하여 차별적인 맛이 있다'는 높은 만족도와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부산지역 향토음식점의 인지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분석에서 서비스, 시설, 가격이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성과 청결성은 기각이 되었다.

부산지역 학교급식에서 세시음식에 대한 영양사의 인식 및 적용에 관한 조사 (Dietitian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Festival Foods in the School Foodservice in Busan Area)

  • 류은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0-171
    • /
    • 2003
  • We surveyed dietitians' perception on application of festival foods in the school foodservice in Busan area.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44 dietitians working in elementary(143 individuals), middle(50 ind.), and high schools(51 ind.). The mean scores of dietitians' perception for the succession of the festival foods are 4.57/5.00 at Seolnal, 4.28/5.00 at Jeongwoldaeboreum, 4.12/5.00 at Dongji, 4.02/5.00 at Chuseok, 3.91/5.00 at Sambok, 3.27/5.00 at Dano, 3.00/5.00 at Chopail, 2.67/5.00 at Samjitnal, and 2.65/5.00 at YuDu. The dietitians have frequently practice the Sambok foods to the school foodservice menu, followed by the foods for Dongji, Jeongwoldaeboreum, Seolnal, and Chuseok. About two third of dietitians(72.2%) answered that it is needed to provide festival foods as the school foodservice menu for festive days. However, the survey indicate that putting festival foods on the school foodservice is hampered by the facts that foods do not appeal to the students' taste and it is difficult to cook the foods by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Mean scores of dietitians' acquaintance with about the origins and contents of festive days are Dongji(3.67/5.00), Seolnal(3.63/5.00), Sambok(3.60/5.00), Jeongwaldaeboreum(3.58/5.00), Chuseok(3.39/5.00) and Dano(3.23/5.00). When the dietitians provided lunch for the students, 80.1% of them occasional give the information on the festival foods to the studen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hand down festival foods that the dietitians develope the recipe for foods applicable in school foodservice and e government adopt a policy and education programs.

부산지역 주민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연령별 인식 및 선호도 조사 (A Comparative Study on 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Classified by Age in Busan)

  • 이정숙;김성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1-360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cognition and preference classified by age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 to March 31, 2008, by questionnaires and data analyzed by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irty-four point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interested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Over 40'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foods than under 30's. Most of the subjects (65.5%) were proud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the most proud food was kimchi in all of the subjects. The improvement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was indicated as cooking metho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of bab, juk, guksu, gug, jeon-juk-sun, gui-jjim, jigae, jorim, bokeum, kimchi, namul, eumcheong and cognition degre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the requirements and preference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age and sex is needed to develop our traditional food.

부산.경남 지역 대학생의 향토음식에 대한 의식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iversity Students' Attitude and Importance of Native Local Food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 백종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7-148
    • /
    • 2009
  • 부산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향토음식에 대한 의식 및 중요도를 연구함으로써 향토음식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는 계기를 마련하고, 계승발전 및 대중화에 대한 방안 모색과 향후 효과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향토음식에 대한 대학생들의 의식을 조사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성별, 연령, 학과, 거주연한의 특성에 따른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향토음식에 대해 38.5%가 관심을 가져 본 적이 있다고 하였고, 향토음식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매스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향토음식을 먹는 장소는 '향토음식 전문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토음식의 계승발전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할 부문에 대해서는 '대중 홍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토음식의 대중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다양한 문화적인 행사의 개최 및 홍보'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향토음식의 대중화를 위한 중요도에 대해서는 '홍보 및 마케팅이 대중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향토음식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부산 경남 거주연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퓨전요리 활동이 초등학생의 전통음식에 대한 지식, 기호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sion-Food Cooking Activit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nowledg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 배정해;이경애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6-38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usion-food cooking program and apply that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ir knowledge,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The program focused on ten components. Students learned the general feature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Western foods in the 1st lesson. They learnt about kinds, nutrition value, and histories of kimchi, Tteok (rice cake), and Jeon (pan fried food), and cooked two fusion-foods of kimchi, Tteok, and Jeon each. As a result of learning about those food items, the students advanced their knowledge (p < 0.001) of kimchi, Tteok, and Jeon. Their preferences for Tteok (p < 0.05) and Jeon (p < 0.01) were increased, but those for kimchi remained unchanged. The interest (p < 0.05) and preferences (p < 0.01) for the general Korean traditional foods were increased.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fusion-food cooking program had the ability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increasing their knowledge, preferences, and interest in them. Furthermore it was considered that the program could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valu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in turn may encourage them to consume such food items more frequently. Since the fusion-food cooking activity program can be a good learning program as shown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fusion-foods cooking activity programs, which are not discussed in this study, should be evaluated and developed in the future.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할 소비자의 태도 (Consumer Attitudes Towards Irradiated Foods)

  • 김효정;김미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119-130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sumer acceptance toward irradiated foods and the factors to distinguish subjects with differential levels of the acceptance. Data were collected from 462 adults in Seoul, Daegu and Busan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irradiated foods was very low, but the acceptance toward them was high; only 2.8%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eard about irradiated foods and knew them very well, and 60.4% were wiling to buy them, and (2) sex, subscription of consumer magazines, and concerns about irradiated foods were factors to distinguish accepters from non-accepters; the respondents who were males, subscribed for consumer magazines, and had high concerns about irradiated foods showed less willingness to irradiated foods.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인지도 및 정보요구도에 관한 분석 -방사선조사 식품과 환경호르몬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 for Food Safety -Focused on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 김효정;김미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64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the consumers' awareness and information need toward the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adults living in Daegu and Busan by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equencies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by SPS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1) consumers' awareness regarding the irradiated foods and environmental hormones were low, while consumers' concerns for them were high, (2) the orders of the information needs for the irradiated foods are safety of irradiated foods, dose permitted for food irradiation, benefits of irradiated foods, kinds of permitted irradiated foods, and legislations of food irradiation, and (3) the orders of the information needs for the environmental hormones are harmfulness of environmental hormones, standards for contamination by environmental hormones, materials releasing environmental hormones, methods to prevent environmental hormones, and kinds of environmental hormones.

중국 관광객의 부산음식의 섭취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ake and Satisfaction Levels of Busan Foods among Chinese Tourists)

  • 임양이;이종현;김영주;정지강;김신정;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492-1498
    • /
    • 2013
  • 부산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남자보다 여자가 많았으며, 직업에서는 학생과 직장인이 많았다. 연령은 20대와 30대가 주를 이루었으며, 부산을 방문한 횟수는 1회 또는 2회가 가장 많았다. 관광 중 먹어본 부산의 대표음식으로는 생선회와 해물탕이 각각 19%로 가장 많았으며, 오리불고기, 돼지국밥, 동래파전을 10% 내외로 섭취하였다. 부산을 재방문할 때 먹어 보고 싶은 음식으로는 불고기(19%), 된장찌개(17%), 비빔밥(15%), 돼지갈비(14%), 삼겹살(9%), 김치찌개(6%,) 해물탕(4%), 삼계탕(4%)을 원하였다. 부산음식에 대한 만족도는 후식의 다양성(3.4), 메뉴의 다양성(3.3), 음식의 짜고 매운맛(3.2), 저렴한 음식의 값(3.1), 음식의 양(3.0)의 순서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음식점의 서비스는 친절도와 청결성에서 4.2의 만족도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부산의 여행 중 가장 좋았던 점은 44%가 쇼핑을 선택하였고, 음식은 10%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부산을 다시 방문하겠다는 의사는 38%, 잘 모르겠다는 61%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중국인 관광객은 관광지에서의 음식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관광지의 특색 있는 음식을 먹고 싶어 하였으나, 부산음식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음식의 양과 음식의 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인 관광객은 부산시에서 홍보하고 있는 대표음식보다는 한국의 대표음식을 부산여행 중 먹고 싶어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개별관광객을 대상으로 국한하였으므로 단체관광객과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부산여행 중 음식에 대한 만족도와 그들이 먹고 싶어 하는 메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