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Types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9초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업종별 버스 교통사고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us Traffic Accidents by Types Using the Decision Tree)

  • 박원일;김경현;한음;박상민;윤일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105-115
    • /
    • 2016
  • PURPOSES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us traffic accidents, by bus types, using the decision tree in order to establish customized safety alternatives by bus types, including the intra-city bus, rural area bus, and inter-city bus. METHODS : In this study, the major elements involved in bus traffic accidents were identified using decision trees and CHAID algorithm. The decision tree was us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major elements influencing bus traffic accidents. In addition, the CHAID algorithm was applied to branch the decision trees. RESULTS : The number of casualties and severe injuries are high in bus accidents involving pedestrians, bicycles, motorcycles, etc. In the case of light injury caused by bus accidents, different results are found. In the case of intra-city bus accidents, the probability of light injury is of 77.2% when boarding a non-owned car and breaching of duty to drive safely are involved. In the case of rural area bus accidents, the elements showing the highest probability of light injury are boarding an owned car, vehicle-to-vehicle accidents, and breaching of duty to drive safely. In the case of intra-city bus accidents, boarding owned car, streets, and vehicle-to-vehicle accidents work as the critical elements. CONCLUSIONS : In this study, the bus accident data were categorized by bus types, and then the influential elements were identified using decision tree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bus accidents were foun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bus typ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establishing effective alternatives to reduce bus accidents.

시내버스 노선별 특성 분석에 기초한 운행 개선 방안 연구: 공공성과 수익성을 고려하여 (Proposition of Desirable Managemen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Various Bus Route Type)

  • 이상용;정헌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76-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 준공영제 제도 아래에서 효율적인 시내버스 노선 운영 개선 방안을 도모하기 위해 버스 노선의 유형별 적정 서비스 제공 수준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내버스 준공영제 특성을 반영하는 공공성 개념을 도입하고, 수익성과 잠재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시내버스의 노선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같은 노선 유형 분류 방법을 활용하여 부산에서 실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 113개 노선을 8개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노선연장, 운행횟수, 도심통과 유무 등 9개의 노선별 운행특성을 고려하여 유형별 시내버스 노선 운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버스 노선의 운영 개선 방안을 도출함에 있어, 9개의 노선별 운행특성자료를 주성분 분석으로 3가지 운행특성 자료로 축약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유형별 시내버스 노선의 운영 개선 방안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버스 실사고 데이터 구축을 통한 대표 버스충돌유형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presentative Bus Crash Types through Establishment of Bus In-depth Accident Data)

  • 김형준;장정아;이인식;이용주;오세창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47
    • /
    • 2020
  • In this study, crash situations of representative bus crash types were elicited by analyzing a total of 1,416 bus repair record which were collected in 2018~2019. K-means clustering was used as a methodology for this study. Bus repair record contain the information of repair term, type of bus operation, responsibility of accident, weather condition, road surface condition, type of accident, other party, type of road and type of location for each data. Also, by checking collision parts of each bus repair record, each record was classified by types of collision regions. From this, 760 record are classified to frontal type, 363 record are classified to middle-frontal type, 374 record are classified to middle-rear type and 331 record are classified to rear type. As mentioned, k-means clustering was performed on each type of collision parts. As a result, this study analyzed the severity of bus crash based on actual bus accident data which are based on bus repair record not the crash data from the TAAS. Also, this study presented crash situation of representative bus crash typ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expanded to analyzing hydrogen bus crash and defining indicators of hydrogen bus safety.

친환경 버스 도입에 따른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conomic Analysis of Introducing Battery-Based Eco Bus: Case Study of Daegu City, South Korea)

  • 박재석;김성열;김동민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7권3호
    • /
    • pp.343-351
    • /
    • 2018
  • Renewable energy sources has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as clean energy sources because of changing public attitudes regarding greenhouse gas and fine dust. Recently, in this respect, the government provides the drivers of electric vehicles with various benefits such as tax reduction, financial incentives and free parking from the public to the private sector. Plug-in electric vehicles are the most common in the private sector. Otherwise, different types of battery-based buses in the public sector are being developed, and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charging: plug-in, battery swapping and wireless. Therefore, economic assessment of charging types in each bus route is requir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battery-based buses instead of the existing CNG buses. In this paper, net present value(NPV) and B/C ratio of charging types are evaluated in consideration of the bus schedule, the cost of charging station, and the life cycle of battery, etc. per each bus route. In case study, main bus routes in Daegu City are simulated with the proposed evaluation method to validate the eco-bus project.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버스 운송사업 유형 별 사고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Factors Influencing Crash Severity by the Types of Bus Transportation Services Using Ordered Probit Models)

  • 윤상원;고승영;김동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22
    • /
    • 2018
  • 버스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로서, 운행 목적, 운영 거리, 관리 기관 등에 따라 운송사업 유형별로 구분되어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버스 관련 사고는 높은 재차인원으로 인하여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버스 운송사업 유형에 따른 사고심각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버스 관련 사고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분석하고 버스 운송사업 유형 별 사고심각도를 저감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통사고 분석시스템(TAAS)에서 추출된 5년 동안의 버스 관련 사고 자료가 사용된다. 시내버스, 시외 및 고속버스, 그리고 전세버스의 세 가지 운송사업 유형 별 순서형 프로빗 모형이 사고심각도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추정된다. 분석 결과 속도, 노면상태 등 모든 버스 운송사업 유형의 사고심각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도 존재하는 반면 버스 운송사업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사고심각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시내버스의 경우 시간대, 도로 선형 및 신호기 설치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외 및 고속버스의 경우 안전벨트 착용여부와 도로 등급이 사고심각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전세버스의 경우 시간대, 운전자의 운전 경험, 안전벨트 착용여부, 신호기 설치 여부 및 시간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버스 운송사업 유형 별 사고심각도를 저감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ESIGN PROGRAM FOR THE KINEM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BUS DOOR MECHANISM

  • KWON S.-J.;SUH M.-W.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403-411
    • /
    • 2005
  • The bus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driving stability, safety, and convenience for drivers and passengers has tremendously increased in recent day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esign of the bus door mechanism composed of an actuator (or motor) and linkages. The bus door mechanism is divided into many types according to the coupling of the linkages and the driving system. The mathematical models of all types of door mechanism have been constructed for computer simulation. To design the bus door mechanism, we developed a simulation program, which automates the kinematic and dynamic analysis according to the input parameters of each linkage and the driving system. Using this program, we investigated the design parameters that affect the kinem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bus door mechanism under various simulation conditions. In addition, simple examples are examined to validate the developed program.

고장검사 적용시의 버스충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s Conflicts When Applying Test Patterns)

  • 김규철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9호
    • /
    • pp.2369-2377
    • /
    • 1998
  • 고장 시뮬레이터는 생성된 검사패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지금까지 발표된 대부분의 고장 시뮬레이터는 버스구조를 갖는 회로를 취급하지 않고 있다. 버스구조를 갖는 회로는 검사패턴에 따라 버스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버스구조를 갖는 회로에 검사패턴을 적용할 때 발생 가능한 모든 버스충돌을 분석하여 여러 유형으로 분류하고 버스충돌을 확인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버스충돌 확인 방법을 사용한 고장 시뮬레이터는 주어진 검사패턴의 품질을 평가함과 동시에 버스충돌을 일으키는 검사패턴의사용을 경고하여 버스충돌에 의한 버스구동기의 파괴를 막을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검사패턴 생성기와 연계하여 사용하면 버스충돌을 일으키지 않는 검사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 PDF

버스도착시간 정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us Arrival Information for BIS)

  • 고승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75-181
    • /
    • 2002
  • 본 연구는 BIS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버스도착안내정보의 형태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기초로 도착예정시간을 안내하는 경우 안내도착예정시간의 함수로 총대기시간을 구하고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을 도출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안내도착예정시간의 함수로 버스도착을 안내된 도착예정시간 보다 일찍 도착하는 조기도착과 늦게 도착하는 지연도착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대기시간의 합인 총대기시간을 함수화하였다. 모형 및 사례연구를 통하여 BIS 시스템에서 평균도착시간이 안내해야할 최적의 도착예정시간이 아닐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다른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최적 안내도착예정시간은 작은 범위의 표준편차와 아주 큰 표준편차의 버스통행시간에 대해서 평균도착시간에 가까워져야 하고, 중간의 표준편차 범위에서는 표준편차가 클수록 늦게 안내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An Adaptive Universal Serial Bus (USB) Protoco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ata Communication under the Heavy Traffic

  • Kim, Yoon-Gu;Lee, Ki-D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2499-2502
    • /
    • 2005
  • Universal Serial Bus (USB) is one of the most popular communication interfaces. When USB is used in more extended range, especially configuring home network by connecting multiple digital devices each other, USB interface uses the bandwidth in the way of 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so that the bottleneck of bus bandwidth can be brought under the heavy traffic. In this paper, the more effective usage of bus bandwidth to overcome this situation is introduced. Basically, in order to realize the system for transferring real-time moving picture data among digital information devices, we analyze USB transfer types and descriptors and introduce the method to enhance the detailed performance of isochronous transfer that is one of USB transfer types.

  • PDF

스마트버스정류장 유형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저감효과 (Types of Smart Bus Stop and Their Impacts on Reducing Fine Dust Concentrations in Seoul)

  • 서정기;김형규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3호
    • /
    • pp.39-50
    • /
    • 2021
  • 본 연구는 미세먼지 농도 저감을 위해 스마트버스정류장 도입 유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버스정류장 유형을 밀폐형 및 개방형으로 구분하고,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스마트버스정류장 내부와 외부 5개 지점에서 PM10 및 PM2.5를 5일간 실측하여 저감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부공간에 대한 저감효과는 두 유형에서 모두에서 미비하게 나타났으나, 밀폐형 버스정류장(PM10 26.0㎍/m3, PM2.5 20.2㎍/m3 내·외부 농도차이) 내에서 개방형 버스정류장(PM10 2.4㎍/m3, PM2.5 1.8㎍/m3 내·외부 농도차이) 내에서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농도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고려한 스마트버스정류장 도입을 검토할 경우 밀폐형을 권장한다. 또한 스마트버스정류장 외부의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스마트버스정류장 내부 용량을 초과하는 서비스 수요 발생 시 스마트버스정류장 추가 구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