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plerum falcatum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시호추출물의 ICR 발암생쥐의 생존율 및 J774A.1 세포와 L1210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pleurum falcatum Extract on the Survival of Cancered ICR Mouse and the Growth of Cancer Cells such as J774A.1 Cells and L1210 Cells)

  • 하혜경;정대영;박시원
    • 생약학회지
    • /
    • 제35권4호통권139호
    • /
    • pp.293-299
    • /
    • 2004
  •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from Buplerum falcatum against cancered ICR mouse and cancer cell lines such as J774A.1 and L1210 cells. Extract of Buplerum falcatum displayed the considerable augmentation(134%) of the survival of ICR mouse bearing Sarcoma 180 cancer. In addition, the cytotox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Buplerum falcatum against J774A.1 cells and L1210 cells were found to show $IC_{50}$ values of $57.3\;{\mu}g/ml$ and $54.6\;{\mu}g/ml$, respectively. In contrast to such cyto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the extract exerted only meagre toxicity against normal lymphocytes. The increased generation of $O_2^-$ and the considerably increased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GPx) of both J774A.1 cells and L1210 cells in the presence of Buplerum falcatum extract implied that the observed cytotoxicities may have resulted from the detrimental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ROS) evoked by Buplerum falcatum extract on the cancer cells.

CCD-986sk세포내 시호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 검증 (Anti-wrinkle Activities Verification of Buplerum falcatum Extracts on CCD-986sk)

  • 김동희;박태순;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83-187
    • /
    • 2015
  • 시호 추출물로부터 자외선에 의한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주름 활성 검증을 위하여 전자공여능, elastase, pro-collagen 생합성, Matrix metalloprotease-1 (MMP-1)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호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하여 세포 독성이 100%에 가까운 농도인 5, 10, $50{\mu}g/mL$의 농도에서 pro-collagen 생합성과 MMP-1의 활성 검증하였다. 시호 추출물의 전자 공여능과 elast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0, 52%의 저해 활성을 가졌다. 또한 pro-collagen 생합성 역시 UVB를 조사한 후 시호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처리 한결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름생성에 관련되어져 있는 MMP-1의 발현을 알아본 결과 시호 추출물에 의해 total protein 양이 또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시호는 주름활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Polyamine이 시호의 모상근 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amine on Hairy Root Culture of Bupleurum falcatum L.)

  • 표병식;김영준황백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435-440
    • /
    • 1995
  • Polyamine이 Agrobacterium rhizogenes에 의해 유도된 시호(Buplerum falcatum L.)의 모상근 배양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olyamine을 처리하여 현탁배양했을 때 대조구에 비해 생체중량 과 건조중량을 모두 증가시 켰으며, 특히 spermme ($10{\mu}M, 100{\mu}M$) 처리구에셔는 약 7배 이상 증가시 켜 시호모상큰 배양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polyamine을 처리하여 시호모상근을 현탁배양한 후 내재 polyamine을 측정한 결과 putrescine($10{\mu}M, 100{\mu}M$) 처리구와 spermine ($10{\mu}M$) 처리구에서 대 조구보다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의 함량 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olyamine에 의한 ${\beta}$-glucan synthetase II 의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증 가시켰으며, 특히 spermidine(100$\mu$M)과 sperm me ($100{\mu}M$) 처리구에서는 각각 180%, 220% 정도의 효소활성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polyamine이 생장조절물질로서 시호모상근 배양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 PDF

Temperature Effect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Medicinal Umbelliferae Plants

  • Chio, Seong-Kyu;Chon, Sang-Uk
    • Plant Resources
    • /
    • 제3권1호
    • /
    • pp.66-70
    • /
    • 2000
  • Umbelliferae medicinal crops have low germination under natural condition. Speci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eds and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 and temperature on their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Umbelliferae plants, using them as oriental medicine materials. Fruits of Umbelliferae are bi-partite type and form 2 seeds. Their oil canals and funiculus or carpaphore has apparently specific shape. Seed shape of Buplerum falcatum, Ligusticum acutilobum and Foeniculum vulgare are oblong, Ledeboutiella seseloides, Angelica dahurica, Angelica gigas elliptic, and Ostericum koreanum ovate. Color of seed coats varied from yellow to dark brown. Seed size was 3.2 to 6.9 mm in length, 1.7 to 4.9 mm in width. One thousand-seed weight of Buplerum falcatum was lowest(at 1,660 mg) and Ledebouriella seseloides and Angelica gigas were relatively highest(at 3,970 mg) having larger size than any others.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ranged from 20 to $25^{\circ}C$ and especially temperature at $25^{\circ}C$ improved seed germinations of Ledebouriella seseloides, Angelica dahurica and Ligusticum acutilobum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 PDF

Acetaminophen의 간독성에 미치는 수종 생약추출물의 효과 (The Effects of Traditional Drug Extracts on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

  • 정기화;정진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72-172
    • /
    • 1993
  • Acetaminophen(이하 AAP)은 간의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에 의해 toxic metabolite로 대사되어 간괴사를 일으킨다. 최근에는 지금까지 임상적으로 사용되어온 한약이나 생약의 cytochrome P450의 활성과 간의 glutathion 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AP의 간독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규명하고자 민간이나 한방에서 보간 또는 해독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생약을 screening하였다. 그 결과 간의 약물대사 효소계에 엉힝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강활(Angelica koreana)과 민간이나 한방에서 간질환치료의 목적이나 해독제로 쓰여온 시호(Buplerum falcatum), 토복령(Smilax china) 및 금은화(Lonicera japonica)가 AAP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방법: 예비실험을 통해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의 MeOH ext.가 AAP로 유도된 간독성에 방어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hexane, ether, ethyl acetate 및 butanol로 계통분획하여 랫트에 전처치한 후 고농도의 AAP를 투여하여 간 손상을 일으키고 혈청중의 효소활성과 지질ㆍcholesterolㆍbilirubin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