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la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초

거대 기포성 폐기종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Bullous Emphysema with Giant Bullae)

  • 장재한;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08-413
    • /
    • 1996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있는 기포성 폐기종 환자의 대부분은 외과적 처치에 대한 위험성이 높지만 기포 성 폐기종이 한쪽 폐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 외과적 치료는 안전하며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다. 따라 서 기포성 폐기종 환자의 외과적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대상환자를 정하는 것이다. 전북대 학교병 원 흉부외 과학교실에서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거대 기포성 폐기종 환자 11명을 수술 치료 하였다. 남자가7명,여자가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19세에서 61세까지 였다. 외과적 치료의 대 상은.점 차 진행하는 호흡곤란이 있으며, 한쪽 흥강의 113 이상을 점유하는 거대 기포가 있고, 기관 및 종 격동을 환측 반대 쪽으로 밀고있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은 폐기포 절제 및 쐐기 절제술 7례, 폐구역 절제술 2례, 그리고 폐엽 절제술 2례 시행하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모든 환자의 증상과 폐기능 검사소 견은 수술후 향상되 었다. 상기와 같이 선택되어진 거대 기포성 폐기종 환자에서는 외과적 치료가 안전하고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폐의 태반양 기포성 병소(태반양 변형) -1례 보고- (Placentoid Bullous Lesion (Placental Transmogrification) of the Lung -A Case Report-)

  • 정경영;신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6호
    • /
    • pp.634-637
    • /
    • 1998
  • 폐의 태반양 변형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27세 여자 환자가 7일간의 우측 흉통과 경미한 호흡곤란으로 입원하였다. 흉부X-선촬영 소견상 우폐상엽은 크고 작은 기포에 의하여 전체가 대치되어 있었고 우폐하엽과 중엽은 다양한 크기의 기포와 부분적인 허탈 소견을 보였다. 거대 기포 및 폐기종 진단하에 우폐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조직학적검사 소견상 기포에서 보인 변성을 동반한 태반융모와 흡사한 유두상 구조가 특징적이었다.

  • PDF

Successful Surgical Treatment of Feline Acute Bullous Keratopathy and Corneal Perforation with a Conjunctival Hood Graft

  • Kim, Joon Young;Jeong, Soon-Wuk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4-207
    • /
    • 2017
  • We report the successful treatment of feline acute bullous keratopathy (FABK) and corneal perforation with a conjunctival hood graft. Two cats with FABK and corneal perforation had severe corneal edema with large central bullae. Their corneas were thinned and perforated. Conjunctival hood grafts were performed. All corneas recovered after 3-4 weeks. The grafts were then removed from the cornea using superficial keratectomy and no ocular irritation was observed. One month later, the corneas had recovered, although there was very mild fibrosis. The cats had normal vision without any corneal problems at this time. Conjunctival hood graft was thu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severe FABK and allowed the cats to maintain vision.

자연기흉의 임상적 고찰: 165례 (Clinical Evaluation of Spontaneous Pneumothorax A Review of 165 cases)

  • 성후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82-588
    • /
    • 1985
  • We have observed 165 case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from Aug. 1978 to May. 1985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The ratio of male to female cases were 8.2:1 in male predominance, and the incidence was highest in the adolescence between 21 to 30 year of age. There were 85 patients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80 patients of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The etiologic factors of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were tuberculous origin in 50 cases, chronic bronchitis with emphysematous bullae or blebs in 17 cases, asthma in 10 cases and lung cancer in 3 cases. Closed thoracotomy was performed for reexpansion of collapsed lung in 153 cases, bed rest in 3 cases, needle aspiration in 5 cases and open thoracotomy in 14 cases. Closed thoracotomy was the main therapeutic approach of choice in the great majority of spontaneous pneumothorax with recurrence rate of 21.6%. However, open thoracotomy was undertaken in patients with continuous air leakage, recurrent episodes, bilateral pneumothorax and large visible apical blebs or bullae.

  • PDF

Tuberculosis-Infected Giant Bulla Treated by Percutaneous Drainage Followed by Obliteration of the Pulmonary Cavity Using Talc: Case Report

  • Heo, Jeongwon;Bak, So Hyeon;Ryu, Se Min;Hong, Yoon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5호
    • /
    • pp.408-411
    • /
    • 2021
  • Tuberculosis (TB)-infected giant bullae are rare. A 55-year-old man was referred when an infected bulla did not respond to empirical treatment.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giant bulla in the right upper lobe with an air-fluid level and surrounding infiltrate. Sputum culture, acid-fast bacilli (AFB) stai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TB were negative.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bullous fluid was performed. AFB stain and PCR were positive in the drained fluid. The patient was given anti-TB drugs and later underwent obliteration of the pulmonary cavity using talc. To summarize, we report a patient with a TB-infected giant bulla tha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anti-TB drugs and obliteration of the pulmonary cavity using talc.

Abrupt Bulla Formation by Visceral Pleural Detachment after Pulmonary Lobectomy: A Case Report

  • Byeong A Yoo;Seungmo Yoo;Jae Kwang Yun;Sehoon Cho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3호
    • /
    • pp.216-219
    • /
    • 2023
  • Pulmonary bullae usually grow slowly and have thin walls. However, we have observed 2 cases of abrupt bulla formation immediately after lobectomy and during surgery. The pathologic findings of what can be called visceral pleural detachment are quite distinctive: these bullae had a broad base connected to the lung, and their walls were thick, including the full extent of visceral pleural and peripheral alveolar tissues, which suggests that the visceral pleura were detached from the distal alveoli. High transpleural pressure might be the key factor in the pathogenesis of this type of bulla, unlike previously known types of bullous lung disease.

Location of Ruptured Bullae in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Choi, Jinseok;Ahn, Hyo Yeong;Kim, Yeong Dae;I, Hoseok;Cho, Jeong Su;Lee, Jongge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6호
    • /
    • pp.424-429
    • /
    • 2017
  • Background: The surgical treatment of secondary spontaneous pneumothorax (SSP) can be complicated by fragile lung parenchyma. The preoperative prediction of air leakage could help prevent intraoperative lung injury during manipulation of the lung. Common sites of bulla development and ruptured bullae were investigated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CT) and intraoperative findings. Methods: The study enrolled 208 patients with SSP who underwent air leak control through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ites of bulla development on preoperative CT and the rupture sites during VATS. Results: Of the 135 cases of right-sided SSP, the most common rupture site was the apical segment (31.9%), followed by the azygoesophageal recess (27.4%). Of the 75 cases on the left side, the most common rupture site was the apical segment (24.0%), followed by the anterior basal segment (17.3%). Conclusion: The azygoesophageal recess and parenchyma along the cardiac border were common sites of bulla development and rupture. Studies of respiratory lung motion to measure the pleural pressure at the lung surface could help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ogenic and diaphragmatic movement and bulla formation or rupture.

기흉에서 흉강조영술(Thoracography)의 진단적 가치 (Diagnostic Value of Thoracography in Pneumothorax)

  • 박영식;한재열;장지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7호
    • /
    • pp.730-734
    • /
    • 1998
  • 배경: 기흉 환자를 수술하기 전에 폐기포의 위치, 숫자, 크기와 모양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흉부 X선 사진이나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등을 이용한다. 단순 흉부 X선 사진은 간편하고 저렴하나 정확도가 낮고,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은 정확하나 비용이 많이든다. 그러나 흉강조영술을 이용하면, 폐기포의 상태를 비교적 저렴하고 정확히 파악할수 있으리라 예상되어,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임상 실험을 계획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은 개흉이나 흉강내시경을 이용하여 폐기포 절제를 시행한, 원발성 자연 기흉 환자 22명이었다. 수술전에 단순 흉부 X선 사진과 흉강조영술을 시행하여, 이를 수술시의 폐기포의 소견과 비교하였다. 결과: 흉강조영술의 Sensitivity는 75%로 단순 흉부 X선 사진의 30%에 비하여 높았고, 정확도(Accuracy)도 72.7%로 단순 흉부 X선 사진의 36.4%에 비하여 높았다. 그러나 Specificity는 흉강조영술이 50%로 단순 흉부 X선 사진의 100%에 비하여 낮았다. 검사로인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기흉의 수술전 검사로서 흉강조영술은 단순 흉부 X선 사진에 비하여 높은 진단적 가치를 지녔으며,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소아에서 출혈성 수포를 동반한 $Henoch-Sch{\"{o}}nlein$ 자반병 1례 (A Case of $Henoch-Sch{\"{o}}nlein$ Purpura with Hemorrhagic Bullae in a Child)

  • 오연미;정미림;최혜정;차희정;정진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1호
    • /
    • pp.40-44
    • /
    • 2006
  • [ $Henoch-Sch{\"{o}}nlein$ ] 자반증은 소혈관의 혈관염으로 오는 전신적 혈관 장애로 자반, 위장 증세, 관절 증세, 신 증세를 주 증세로 하는 질환이다. HSP의 흔한 피부증상은 주로 궁둥이와 하지의 자반 증상이며 성인에서는 출혈성 수포를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나 소아에서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절통과 복통을 호소하는 환아에서 출혈성 수포가 동반되어 있어 피부조직 검사를 하였고 진피의 leukocytoclastic vasculitis와 면역 형광법상 소혈관의 IgA와 fibrinogen의 침착을 관찰하였다. HSP로 진단하여 스테로이드 치료를 하였고 수일 내로 관절통과 복통이 호전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자연 기흉 수술 환자에서 반대편 폐기포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Contralateral Bulla of Lung on HRCT in the Patients Hav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r Unilateral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신동일;오태윤;장운하;김정태;정영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87-693
    • /
    • 2010
  • 배경: 자연 기흉으로 수술한 환자의 고해상도 CT에 보이는 반대편 기포 유무가 반대편 기흉 발생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다. 저자들은 고해상도 CT에 보이는 반대편 기포 유무가 기흉 발생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와 기흉 발생의 위험 인자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l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에서 흉강경을 이용하여 수술 받은 자연 기흉 환자 39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의 임상상과 고해상도 CT, 그리고 치료법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394명 중 28명 (7.10%)에서 반대편에 기흉이 발생했다. 발생까지의 기간은 13.06 (${\pm}9.79$) 개월이었다. 반대편에 기포의 유무가 반대편 자연 기흉 발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p=0.059) 반대편에 자연 기흉이 발생한 군에서 더 많은 기포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1). 성별, 흡연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10대의 젊은 연령과 $18.5kg/m^2$ 이하의 체질량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독립적 인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표본오차비율=0.04, 0.038, 0.00 각각). 결론: 자연 기흉으로 비디오 흉강경 수술 시행 받은 환자에서 고해상도CT에 보이는 기포와 크기는 반대편 자연 기흉의 발생에 영향이 없었다. 하지만 반대편 기흉이 발생한 군에서 기포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10대인 젊은 연령과 체질량 지표가 $18.5kg/m^2$ 이하라는 위험 요인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에 대하여는 외래 경과 추적 관찰을 자주하여 세심한 주의와 대중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