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kha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부산시 북항의 항만 재개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 하펜시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formation Proposal for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 Focused on comparison with Hafencity in Germany -)

  • 이선주;김성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63-74
    • /
    • 2007
  • In this Century, most of ports have been changing in order to keep up with change of the world. The ports are became larger and integrated with high technology because containers which pass through the ports are sharply increasing. Not to turn over the world wide competition of the ports, a renewal of Bukhang in Busan was promoted firstly in Korea. In this study, final draft renewal plan of Bukhang in Busan at this stage was compared with renewal plan of Haffencity in Germany in order to propose improved renewal plan of Bukhang in Busan. Renewal plan of Haffencity in Germany was very similar with Bukhang in Busan in terms of renewal period and direction. From the results of these comparisons, it was concluded that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 and international capital should be invested. Also, the facility plan of Bukhang was suggested to vitalize citizen's participation and embodimentof renewal plan. Prior to making a development plan enough consideration on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is needed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 Also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should have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create the most Korean appearance.

  • PDF

The cold water mass along the southeast and east coasts of Korea in 2016-2017

  • Choo, Hyo-Sa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243-259
    • /
    • 2021
  • The spatial and temporal behaviors and fluctuations of the cold water that appeared in the South East Sea and the East Sea coast from 2016 to 2017 were investigated. The water temperature drop was large in the east coast from April to June and the southeast coast from July to September, and the temperature drop period was longer in the southeast coast. The water temperature fluctuated sensitively to the wind direction, and it gradually decreased in the southwest wind but rose as if jumping in the northeast wind. Wind stress and surface water temperature had an inverse correlation, which was larger in Bukhang-Idukseo, and decreased toward the north of Guryongpo. The cold water appeared mainly in Geojedo-Pohang after 1 to 2 days when the southwest wind was strong, but when the wind became weak, it shrank to the Idukseo (Ulgi-Gampo) and extended into the open sea in a tongue shape. Cold water was distributed only in Samcheok-Toseong in mid-May, Idukseo-Guryongpo and Hupo-Jukbyeon-Samcheok from late May to mid-July, and Bukhang-Idukseo in August-September. The intensity of cold water was greatest in mid-August, and the center of cold water descended from the east coast to the southeast coast from spring to summer. The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 was dominant at the periods of 1 d and 7-21 d. In wavelet spectrum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and wind, wind speed increase-water temperature decrease showed phase difference of 12 h in 2 d, 18 h in 3 d, 1.5 d in 4-8 d, and 2-3 d in 8-24 d peri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parameters was large in Geojedo and Namhang, Bukhang-Idukseo, Guryongpo-Jukbyeon, and Samcheok-Toseong. Monitoring stations with high correlation in all periods were generally parallel to the monsoon direction.

목포연안 갯벌 및 서식생물에서의 중금속 함량 (Heavy Metals in Sediments and Organisms from Tidal Flats along the Mokpo Coastal Area)

  • 나춘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3호
    • /
    • pp.335-345
    • /
    • 2004
  • 목포연안 갯벌의 중금속 오염 및 생물농축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북항 및 복길리 갯벌의 퇴적물 및 서식생물 중의 중금속 함량을 측정하였다. 갯벌 퇴적물중의 중금속 함량은 Pb를 제외하고는 모두 배경값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조사지역 갯벌이 인위적인 금속 오염원에 의한 누적오염이 진행되었음을 시사하였다. 퇴적물에서 가용성 금속함량은 갯벌에 관계 없이 공통적으로 Mn(32-53 mg/kg)>Zn(14-42 mg/kg)>Cu(2.5-17.0 mg/kg)>Pb(2.4-6.8 mg/kg)>Cd(0.5-0.7mg/kg)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가용성염으로 존재하는 중금속 함량은 복길리 갯벌에 비해 북항 갯벌쪽이 높았다. 갯벌내에서 서식하는 해조류 및 저서생물에서 Pb를 제외한 모든 중금속들이 높은 비율로 축적되어있음을 보였다. 중금속의 생물축적 정도는, 농도면에서는 모든 생물이 공통적으로 Mn(129-374 mg/kg)>Zn(19-106 mg/kg)>Cu(6-87 mg/kg)>Cd(4.6-7.6 mg/kg)>Pb(0.2-3.7 mg/kg) 순이었으나, 생물축적률면에서는 파래가 Cd>Mn>Cu>Zn>Pb, 개불이 Cu>Cd>Mn>Zn>Pb, 털콩게가 Cd>Zn>Mn>Cu>Pb 순을 나타냈다. 파래중의 일부 중금속들 특히 북항의 Cu, Zn 그리고 미약하게 Pb, 복길리의 Mn, Cd은 퇴적물중의 중금속 함량과 비례적인 관계를 보여, 각 갯벌에서 이들 중금속들이 인위적 오염원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오염되어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북항은 물론 청정지역으로 알려진 복길리 갯벌의 해산물이 중금속에 의해 오염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노인.어린이 문화.복지 센터 계획안 (The Planning of Culture Center for The old & The young)

  • 윤지영;신제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7-178
    • /
    • 2006
  • This plan is for a different type of welfare facilities devised by analyzing problems with existing welfare centers and focusing on connection with residents and link between culture and welfare and among generations. In terms of re-development plan of Youngsun-2-dong, Youngdo-gu, Busan and the neighborhood under this plan, Youngsun-dong, Youngdo-gu is one of the densely populated districts of the aged, with lower growth rate and poor housing and welfare facilities. However, the district has a blessed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site of cultural relics of the Neolithic Age as well as growth potential as a logistics center with broader network of roads linking with Bukhang Bridge when Namhang Bridge construction is complete, showing the aspiration for change toward hi-tech maritime city in the 21st century of Youngdo-gu. This plan is expected to promote unity between the old and children, protection from social marginalization, and re-socialization education and set the stage for participation and solidarity of residents in the community.

  • PDF

항만 배후 주거지역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경관성 제고 (Improving the Landscape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Residential Area Behind the Port)

  • 강윤원;김종구;금윤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609-616
    • /
    • 2021
  • 부산은 경사진 구릉지에 고밀화 된 불량 주거지가 여전히 많이 남아있으며, 특히 항만 배후지역에 주로 입지하고 있어 항만 시설과 관련된 계획들로 인해 경관적, 생활적, 환경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부산 동구 일원의 주거지는 북항재개발 지역이 조망되며, 현재 주거환경개선사업이 계획되어 있는 곳으로 경관적 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동구 구릉지의 불량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환경개선사업 전, 후 경관 이미지에 대한 분석 및 예측(SD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하여, 정비사업으로 인해 지역의 경관적 이미지가 정리, 정돈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한편으로는, 지역이 가지고 있던 고유한 안락감이나, 생동감 등의 이미지는 다소 잃을 것으로 예상되어, 지역 고유의 이미지를 보존하되, 노후화로 인해 인접지역과의 경관적 괴리감은 줄일 수 있도록 물리적 시설의 올바른 계획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감천항 선박교통 특성을 반영한 도등 효용성 분석 (Effectiveness of Leading Ligh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Traffic at Gamcheon Port)

  • 하신영;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32-238
    • /
    • 2024
  • 본 연구는 현재 감천항에 입항하는 선박교통 특성을 반영하여 감천항 도등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감천항 도등은 1996년 4,000TEU 컨테이너선 출입항을 위해 감천항 항로표지 보완 기본설계과정에서 제안되어 설치되었다. 이후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의 감천항 정온도 향상을 위한 기존 외곽 시설 재배치 검토 연구를 통해 50,000DWT급 일반 화물선 입항 대응 및 한진 부두의 크레인 높이를 반영한 도등으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현재 감천항의 해상교통 특성을 보면 해상교통 혼잡도도 원활하고 대형선박 보다는 10,000톤 이하의 중소형 선박 비중이 높아 대형선박 입항을 대응하기 위해 개선된 도등의 효율성은 감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입항선박의 규모에 따른 변화 추이를 보면 30,000톤 이상선박의 입항비율의 연평균증가율(CAGR)이 8.45%로 증가되고 있어 향후 대형선박의 입항비중 증가에 대한 대비를 위해서는 감천항 도등을 필수 등화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등을 철거할 경우 감천항 항로의 협소한 공간 특성상 입출항 선박이 조우하는 경우에는 충돌의 위험이 증가하여 항해자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도등의 기능은 유지하는 대신 전도등을 이전설치 하여 유지보수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는 방법과 도등의 기능 대신 지향등을 설치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지향등 설치 시 인근 부산북항에 설치된 Single Sector Lights가 명확한 중시선을 제공하지 못하여 지점에 따라 명확한 구분이 어려움에 따라 이용자 만족도가 떨어지는 부분을 개선할 수 있는 Double Sector Lights를 설치를 고려해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