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fer Solution

검색결과 999건 처리시간 0.031초

자몽씨 추출물을 함유한 Eudragit E100 미세캡슐의 제조 및 김치에 대한 영향 (Preparation and Effect of Eudragit E100 Microcapsules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on Kimchi)

  • 김한수;정성기;조성환;구재관;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39-1244
    • /
    • 2003
  • 김치의 과숙성을 조절한 고품질화를 위하여 pH 5.0이하의 산성에서 용해되는 Eudragit E100으로 자몽씨 추출물(GFSE)을 함유한 미세 캡슐을 아세톤/액체 파라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분산제로 첨가한 aluminium tristearate의 함량에 따라 89.39∼92.13%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aluminium tristearate의 양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첨가한 aluminium tristearate함량이 증가할수록 미세캡슐의 크기는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12%의 aluminium tristearate가 존재할 때, GFSE를 함유한 Eudragit E100 미세캡슐은 200 $\mu\textrm{m}$이상이 50.42%, 150∼200 $\mu\textrm{m}$의 범위 내의 것이 36.11%, 100∼150 $\mu\textrm{m}$ 범위의 것이 11.28%, 100 $\mu\textrm{m}$ 이하의 것이 0.17%의 입자 분포를 나타내었다. Eudragit E100 미세 캡슐은 전자현미경으로 구형으로 관찰되었다. Eudragit E100을 pH를 달리한 완충용액에 저장하였을 때, 함유된 GFSE는 pH 3, 4, 5, 6의 조건에서는 1일 만에 내부의 GFSE가 모두 용출되었고 pH 7에서는 9일 후에 약 70%의 GFSE가 용출되었다. 또한, 김치에 첨가하여 저장하였을 때, GFSE 함유 Eudragit E100 미세캡슐의 양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 2일까지는 김치의 pH 저하를 완화시켰으나, 3일 이후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의 경우에서도 GFS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각각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pH에 의한 엄밀한 방출은 관찰되지는 않았다.

천연 DNA와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III)과 의 상호작용 연구 (Study of Interaction of Native DNA with Iron(III)-(2,4-Dihydroxysalophen)chloride)

  • Azani, Mohammad-Reza;Hassanpour, Azin;Bordbar, Abdol-Khalegh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573-5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염화제1철을 2,4-디히드록시살로펜과 조합하여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을 합성하였다. 이 복합체를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IR 분광법으로 분석하였고, 천연의 송아지 흉선 DNA (ct-DNA)와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의 상호작용을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 형광분광법, 열변성 분석법, 점성측정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분광학적 적정실험으로 밝힌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과 ct-DNA 사이의 결합상수는 $(1.6{\pm}0.2){\times}10^3\;M^{-1}$이었다. 형광분광분석을으로 브롬화 에티디움의 DNA 결합이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에 의하여 저해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저해효과는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의 농도에 따라 선형의 Stern-Volmer 방정식을 따른다. 열변성 실험으로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이 DNA의 녹는점을 약 $4.3^{\circ}C$ 증가시킨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들은 2,4-디히드록시살로펜-염화철이 대부분 ct-DNA의 큰고랑과 상호작용한다는 모델을 잘 설명하여 준다.

관개용수 중의 질산 이온이 논토양의 철 환원과 인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ate in Irrigation Water on Iron Reduction and Phosphate Release in Anoxic Paddy Soil Condition)

  • 김병호;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8-74
    • /
    • 2010
  • 담수상태의 토양이나 습지생태계에서 ${NO_3}^-$는 환원상태의 발달을 지연시키는 완충역할을 할 수 있다. 논토양에서 관개용수를 통하여 공급되는 ${NO_3}^-$가 Fe의 환원과 그에 따른 P의 가용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관개용수중의 ${NO_3}^-$ 함량이 5 mg N $L^{-1}$ 수준일 경우 5 cm 깊이 토양에 도달하기 전에 대부분 탈질작용에 의해 제거되었으며, 5 cm 깊이 토양에서 일어나는 Fe의 환원과 P의 용출이 저해되었고 10 cm 깊이 토양의 환원현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NO_3}^-$ 함량이 10 mg N $L^{-1}$ 수준인 관개용수를 공급하였을 경우에는 10 cm 깊이 토양층까지 ${NO_3}^-$가 잔류 유입되었으며, Fe의 환원과 P의 용출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관개용수를 통하여 ${NO_3}^-$를 포함한 질소가 과도하게 논토양으로 유입되면 질소과다현상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P의 가용화를 억제함으로써 인 결핍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광화학 반응을 이용한 티오카바메이트류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검출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quid Chromatographic Detection Method for Thiocarbamates by Using Photochemical Reaction)

  • 이대운;박영훈;최용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53-461
    • /
    • 1993
  • 테프론 코일과 저압 수은 램프를 사용, 간단하게 제작된 광화학 반응기를 이용한 HPLC 검출 방법을 연구하였다. 4종의 티오카바메이트 시료들을검출함에 있어 UV, 형광 및 전기화학 검출기 등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후컬럼 검출법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된 티오카바메이트류에 254nm의 UV을 조사할 경우 4종의 시료는 모두 광반응이 일어나 형광을 통해 분리된 티오카바메이트류에 254nm의 UV을 조사할 경우 4종의 시료는 모두 광반응이 일어나 형광을 나타내거나, 전기화학 검출기에 큰 검출 응답을 나타내었다. UV 검출법의 경우 광반응 생성물은 광반응전보다 검출감도는 감소하였으나 장파장쪽에서 검출이 용이하였다. 형광 검출법의 경우 광반응전 4종의 티오카바메이트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광반응 후 MPTC,CPTC는 Ph 4.0, 50%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조건에서 5.0~9.3ng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전기화학 검출법에서는 광반응전 시료가 매우 작은 검출 응답을 보였고, 광반응 후 시료는 5~20배 이상의 검출감도가 증대되었으며 13.3~0.02ng의 검출한계를 나타내었다. 이때 최적 검출조건은 50% 아세토니트릴 $-0.5{\times}10^{-2}$ M 인산 완충용액, pH 7.0 이었다. 또한 티오카바메이트의 광반응물과 OPA-MERC를 반응 코일내에 유도체를 형성시켜 형광검출기로 검출해냄으로써 광분해물에서 1차 아민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테놀민 정에 대한 삼천당아테놀올 정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ee of Samchundang Atenolol Tablet to Tenolmin Tablet)

  • 조혜영;강현아;이석;백승희;이용복
    • 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39-344
    • /
    • 2003
  • Atenolol is a water soluble, ${\beta}_1$ selective adrenoceptor antagonist used in the treatment of angina and hypertension. It is primarily eliminated renally with minimal hepatic metabolism.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Samchundang Atenolol (Samchundang Pharmaceutical Co., Korea.) to Tenolmin(Hyundai Pharmaceutical Ind. Co., Korea). The atenolol release from the two atenolol tablet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 Apparatus II method with various different kinds of dissolution media (pH 1.2, 4.0, 6.8 buffer solution and water). Twenty four normal male volunteers, 22.83$\pm$1.99 years in age and 65.82$\pm$7.15 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one tablet containing 50 mg of atenolol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was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atenolol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 method with fluorescence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atenolol tablets were very similar at all dissolution media. Besides,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 $C_{max}$ and $T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test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and $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AUC_{t}$, $C_{max}$ and $T_{max}$ between two tablets based on the Tenolmin were 3.74%, 4.38% and 17.77%,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tablet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0.8) to log(1.25) (e.g., log(0.98)∼log(1.l1) and log(0.95)∼log(1.l5) for $AUC_{t}$ and $C_{max}$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amchundang Atenolol tablet is bioequivalent to Tenolmin tablet.

두유내의 고온성 Flat-sour 변질균의 분리.동정 및 열저항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rmophilic Flat-sour Bacteria in Soymilk: Isolation, In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Heat Resistance)

  • 정제봉;이균희;손헌수;김석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8-224
    • /
    • 1988
  • 두유제조공정 중 열처리 공정을 최적화 하기 위하여, 두유에서 4균주의 열저항성이 큰 flat-sour 변질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들은 호기성 포자형성간균으로서 $-65^{\circ}C$에서도 성장하였으며, 형태학적 및 생리학적인 특징들로부터 모두 Bacillus stearothermophilus로 동정할 수 있었다. 3분리균주 및 Bacillus stearothermophilus ATCC 12980의 두유(pH 7.0) 및 pH 7.0 완충용액 내 에서의 열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각의 균주에 대한 110, 115, 121 및 $125^{\circ}C$에서의 열치사에 관한 직선회귀식을 구하였다. 두유의 구성성분이 포자의 열저항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은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았으며, 균주간에 있어서도 D값의 대소관계가 온도에 따라 변화하여, 주어진 모든 온도에서 일관성있게 가장 큰 열 저항성을 보인 균주는 없었다. 4균주의 평균 D값은 110, 115, 121 및 $125^{\circ}C$에서 각각 77.27, 20.20, 2.76 및 1.39분이었으며, 평균 z값은 $8.36^{\circ}C$이었다.

  • PDF

초임계 ASES 공정으로 제조된 Vitamin-C 포접복합체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Vitamin-C Inclusion Complexes Prepared using Supercritical ASES Process)

  • 양준모;김석윤;한지현;정인일;유종훈;임교빈
    • KSBB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57-16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ASES 공정을 이용하여 인체내 및 피부에 여러 가지로 유익한 대표적 생리활성물질인 Vitamin-C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HP-${\beta}$-CD와의 포접복합체를 제조하여 수용액상에서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X-선 회절을 이용한 Vitamin-C와 HP-${\beta}$-CD의 결정성 분석으로 초임계 ASES 공정을 통하여 포접복합체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HP-${\beta}$-CD가 Vitamin-C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25{\pm}0.1^{\circ}C$의 온도를 유지한 pH 7.0의 50 mM 인산완충용액 상에서 순수한 Vitamin-C, 물리적인 혼합물 및 용매증발법과 초임계 ASES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포접복합체의 Vitamin-C 겉보기 1차 분해 속도 상수는 각각 $1.45{\times}10^{-2}h^{-1},\;1.41{\times}10^{-2}h^{-1},\;1.34{\times}10^{-2}h^{-1},\;0.20{\times}10^{-2}h^{-1}$로 초임계 ASES 공정으로 제조된 포접복합체의 경우 Vitamin-C의 안정성이 매우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용매증발법으로 제조된 Vitamin-C 포접복합체의 안정성 (Stability of Vitamin-C Inclusion Comolexes Prepared using a Solvent Evaporation Method)

  • 양준모;이윤경;김은미;정인일;유종훈;임교빈
    • KSBB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51-1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용매증발법을 이용하여 대표적 생리활성 물질인 Vitamin-C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HP-${\beta}$-CD와의 포접복합체를 제조하고 수용액상에서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Vitamin-C와 HP-${\beta}$-CD 간의 몰비를 변화시켜 제조한 포접복합체의 안정성 시험 결과 포접 몰비는 1:1로 추정되며, 포접복합체 제조에 사용된 용매의 유전상수가 커질수록 Vitamin-C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차 증류수를 용매로 하여 제조된 포접복합체의 경우 순수한 Vitamin-C보다 Vitamin-C의 겉보기 1차 분해속도 상수 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Vitamin-C의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HP-${\beta}$-CD와의 포접복합체 형성은 Vitamin-C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생체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불안정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에 의한 Lactobacillus plantarum의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by 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Treatment)

  • 신해헌;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75-1183
    • /
    • 1997
  • 발효식품의 산패 주원인인 Lactobacillus plantarum을 비열 살균 기술인 고전압 펄스전기장(High 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PEF) 처리에 의하여 불활성 시키고자 연속재순환 처리가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L. plantarum의 불활성에 미치는 전기장 세기, 주파수, 처리시간, 온도 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L. plantarum의 불활성화에 필요한 최소 전기장세기인 임계전기장 세기$(E_c)$는 13.6 kV/cm, 최소처리시간$(T_c)$$16.1\;{\mu}s$이었다. 전기장 세기 80 kV/cm에서 생균수의 불활성화율은 주파수 작을수록, 즉 펄스수가 작을수록 증가하여 300 Hz, $2000\;{\mu}s$처리하여 2.5 log의 생균수 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총처리시간인 재순환 사이클수가 증가할수록 생존율은 감소하였으며, 동일한 사이클수에서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불활성화율이 증가하였다. 즉 동일한 살균시간에서도 펄스전기장에 매우 짧은시간 연속적으로 노출되는 것보다 적절한 시간간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처리온도의 경우에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L. plantarum의 사멸속도가 증가하여 $50^{\circ}C$에서 80 kV/cm, $1000\;{\mu}s$처리하여 5.6 log의 균체량 감소를 가져왔다.

  • PDF

알기론 정(브롬화 시메트로피움 50 mg)에 대한 알피트 정의 생물학적 동등성 (Bioequivalence of Alpit Tablet to Algiron Tablet (Cimetropium Bromide 50 mg))

  • 조혜영;문재동;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2권1호
    • /
    • pp.47-54
    • /
    • 2002
  • Cimetropium bromide, a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which is chemically related to scopolamine, exhibits its antispasmodic activity by competing with acetylcholine for the muscarinic receptors of the smooth muscle of gastrointestinal tract. The drug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orders involving spasms of the musculature of the gastrointestinal, biliary and genitourinary trac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cimetropium bromide tablets, $Algiron^{TM}$ (Boehringer Ingelheim Korea Ltd.) and $Alpit^{TM}$ (Hana Pharmaceutical Co., Ltd.), according to the prior and revised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cimetropium bromide release from the two cimetropium bromide tablet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 Apparatus II method with various different kinds of dissolution media (pH 1.2, 4.0, 6.8 buffer solution and water). Twenty normal male volunteers, $25.25{\pm}2.10$ years in age and $65.76{\pm}6.39$ 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three tablets containing 50 mg of cimetropium bromide per tablet were orally administered, blood was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cimetropium bromide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 method with UV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cimetropium bromide tablets were very similar at all dissolution media. Besides,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C_{max}\;and\;T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test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non-transformed and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and\;C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AUC_t,\;C_{max}\;and\;T_{max}$ between two tablets based on the $Algiron^{TM}$ were 2.19%, -5.97% and 3.49%, respectively. Minimum detectable differences $({\Delta})\;at \;{\alpha}=0.05\;and\;1-{\beta}=0.8$ were less than 20% (e.g., 13.71 %, 19.05% and 15.11% for $AUC_t,\;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 powers $(1-{\beta})\;at\;{\alpha}=0.05,\;{\Delta}=0.2\;for\;AUC_t$, $C_{max}\;and\;T_{max}$ were 97.79%, 83.22% and 95.60%, respectively. The 90% confidence intervals were within ${\pm}20%$ (e.g., $-5.84{\sim}10.21,\;-17.11{\sim}5.18\;and\;-5.35{\sim}12.33\;for\;AUC_t,\;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 between two tablets in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and\;C_{max}$.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0.8) to log(1.25) (e.g., $0.94{\sim}1.10\;and\;0.85{\sim}1.05\;for\;AUC_t\;and\;C_{max}$, respectively). Two parameters met the criteria of prior and revised KFDA guideline for bioequivalence, indicating that $Alpit^{TM}$ tablet is bioequivalent to $Algiron^{TM}$ tab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