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ist Literatur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선운사 입지의 공간구성과 가람 배치 (Space Composition and Layout of the Location of Seon-Un Temple)

  • 배영한;박정해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37-151
    • /
    • 2024
  • 본 연구는 고창 도솔산(兜率山) 선운사(禪雲寺) 입지에 대한 풍수적인 특징을 현장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해 형세론적 관점과 이기론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풍수가 갖는 특징적인 요소는 자연과 조화를 최우선 하며 합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입지선정의 기준점으로 삼았다. 신라시대 입당승들은 형세풍수가 처음 나타난 강서지역에 유학을 하였는데, 강서지법의 형세풍수가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사찰의 입지선정과 가람배치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선운사는 도솔산 아래에 입지하여 그 의미가 클 수밖에 없었고, 부처님의 나라로 들어가는 도솔천(兜率川)과 도솔암(兜率庵)을 통한 불교적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바람의 실천이었다. 따라서 고창 도솔산(兜率山) 아래에 자리한 선운사 입지에는 다양한 풍수적 특징이 반영되었는데, 특히 도솔산 선운사의 입지에는 풍수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의미를 논리적으로 사용하였고, 불교의 가장 신성한 의미를 갖는 불교 교리와 사상 전파를 목적으로 하는 자연과 하나되는 모습을 실천하였다.

GIS산업진흥법(가칭)의 기본체계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Structure of GIS Industry Promotional Laws)

  • 이국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6-52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 GIS산업의 성장과 국제경쟁력 향상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GIS산업진흥법의 기본체계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국내외에서 발표된 관련 문헌의 고찰을 통해 GIS산업의 현황, 문제점 그리고 발전전망 등을 검토하였다.

  • PDF

만옹 서명서의 독서단계론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ading process of So Myong-so)

  • 김상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277-297
    • /
    • 1995
  • Historical study on the reading in Choson has been mostly focussed on few scholar's viewpoint of reading. This research has revealed the reading process of So Myong-So, and has compared it with the reading process of other scholar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have been clarified. a. So Myong-so reorganized the reading process of Yuk Se-ui, divided it into the five steps, and made the systematic reading program. b. So Myong-so made the list of selected books which included not only confucian literature, but also taoist, buddhist, and practical. c. So's reading process and selected booklist were different in system and scale from other's : Im Sang-dok, Hwang Dok-gil, and Kang P'il-hyo.

  • PDF

비쭈기나무의 이름 유래와 문헌상 기재 그리고 이용 및 번식 (The Derivation of the "Bizooki" tree in the literature, the Uses and Propagation of Cleyera japonica Thunberg)

  • 서병기;변광옥;손석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1-97
    • /
    • 2007
  • The Korean name "Bizooki" tree was named by the shape of winter bud which is like a slim bow. There are four scientific names in the tree which are Cleyera japonica Thunberg, Cleyera ochnacea DC, Sakakia ochnacea Nakai, and Ternstroemia gymnanthera. And the English name are Japanese Ternstroemia and Japanese Cleyera. "Bizooki" tree has planted at Buddhist temples in Japan for the ritual. The best result of stem cutting in "Bizooki" tree, 100 percent of rooting, could be accomplished in July when cuttings were done on the mixture-soil containing the same rates by volume of vermiculite, peatmoss and perlite with cuts processed with IBA 1,000 mg/l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70% of shade, plastic mulching, and mist were conditioned.

  • PDF

첨성대 이름의 의미 해석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Name "Cheomseongdae")

  • 장활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2-31
    • /
    • 2020
  • 첨성대의 본질에 관한 현재의 가장 보편적인 가설은 천문관측대설이다. 천문관측대설의 근거는 주장하는 학자들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근거는 '첨성대'라는 이름이며, 이에 대한 타당한 비판은 지금까지 제기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첨성대'에 내포된 의미를 밝히고, '첨성대'가 천문관측대설의 타당한 근거인지를 살펴보았다. 천문관련설은 '첨성대'를 주로 '첨+성+대'로 해석했다. '볼 첨(瞻)'자와 '별 성(星)'자와 '대 대(臺)'자의 조합인 '첨성대'는 '천문을 관측한 대'를 뜻한다고 주장해 왔다. 한편 종교관련설의 경우, '별 성'은 '하늘 천(天)'을 의미하며, 첨성대에서 바라 본 '하늘'은 불교의 천상세계인 도리천이었다고 주장해 왔다. 본 연구는 『삼국유사』(1289±) 이전의 중국 기록에서 '첨성'의 용례들을 살펴보았다. '첨성'에 내포된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드러났다. '첨성+대'는 서술의 맥락에 따라서 '천문을 관측한 대'를 뜻할 수도 있고, '도리천을 우러러 본 대'를 뜻할 수도 있었다. 또한 '첨성'이 힌두교, 유교, 불교, 천주교, 도교와 같은 다양한 종교적 배경으로 실행되었음을 알 수가 있었고, 불교의 '첨성'의 경우는 적어도 외도(外道)의 '첨성', 법도(法道)의 '첨성', 세속(世俗)의 '첨성'으로 나눠질 수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서술의 맥락에 따라서 '첨성+대'에 내포된 의미는 상당히 달라질 수가 있는 것이다. 『삼국유사』에 서술된 첨성대의 본질은 선덕여왕의 도리천 장례를 위한 묘탑(廟塔)으로 드러났다. 선덕여왕의 도리천 장례와 문무왕대의 사천왕사 건립은 신종원(1996)의 견해대로 밀교 승려 안함(안홍)에 의해 예언되었고, 『삼국유사』가 인용한 『별기』는 안함(안홍)의 참서(예언서)로 드러났다. 선덕여왕릉과 첨성대의 배치가 동지일출선에 정확하게 맞춰져 있음은 첨성대가 선덕여왕 유혼의 도리천 상생 통로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첨성대는 도리천으로 통하는 삼도보계(三道寶階)와 같은 '천국의 계단'를 가진 불탑이었고, '첨성대'는 『삼국유사』 왕력편의 '점성대'와 마찬가지로 '도리천을 우러러 본 대'라는 의미로 파악되었다. '첨성대'라는 이름은 천문관측대설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천문관련설을 총체적으로 부정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근거로 새롭게 평가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한국에서 백의호상(白衣好尙) 현상이 고착된 배경에 관한 논의 - 유창선(劉昌宣)의 백의고(白衣考)를 중심으로 - (Discussion on the Background of the Baekeuihosang Phenomenon in Korea - Focusing on Baekeuigo written by Yoo, Changseon -)

  • 서봉하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152-164
    • /
    • 2014
  • Korean people have revered the white color and enjoyed wearing white clothes. Various kinds of white clothes have been worn by the Korean people, ranging from everyday wear(便服), and scholar's robe(深衣) for the upper class, to religious costumes like Buddhist monk's robe(僧服), shaman costumes(巫服) and costumes for ancestral rites(祭服), or mourning(喪服). There have been many differing opinions by historians regarding the background of this Baekeuihosang(白衣好尙, the preference for white clothing) tradition and even now, it is frequently being discussed. This study aims to consider and discuss the background of this Baekeuihosang tradition, focusing on Chang-seon Yoo's Baekeuigo(白衣考, the consideration of white clothing), which was published in Dong-A Ilbo in 1934. The purposes of studying literature such as the Baekeuigo is to analyze the arguments on the origin of Baekeuihosang, to analyze Chang-seon Yoo's claim of its origin, and to discuss the culture of Baekeuihosang. Chang-seon Yoo claimed tha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background of Baekeuihosang based on the lack of dyes, or undeveloped technique, economic privation and national control strayed from historical facts,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It is not worth discussing the farfetched arguments such as the use of costumes for ancestral rites as everyday wears, or the nation of sorrow. Baekeuihosang tradition mostly originated from the effects of many religions and the taste for innocence, or naturalness. White clothes were infused with the sorrow and emotion of Korean people and were also worn to show resistance to foreign power as symbols of ethnicity. Therefore, there should be a new view of the discussion of white clothes and Korean aesthetic sense, away from the logic distorted by the Japanese colonial view of history.

<토끼전>의 형성 과정에 드러난 서사적 변화와 의미 연구 (Narrative changes and implications reveal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

  • 황윤정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7호
    • /
    • pp.217-252
    • /
    • 2018
  • 조선 후기의 판소리계 소설인 <토끼전>은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구토지설(龜兎之說)>을 근원설화로 갖는데, 이 <구토지설>은 또한 인도 설화의 동점(東漸)으로 이루어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도설화 - <구토지설> - <토끼전>'의 서사적 변화에 대해 검토하여 짤막한 우화가 <토끼전>과 같이 풍요로운 이본을 가진 이야기로 나아간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쟈타카의 <악본생>, "판챠탄트라"의 <원숭이와 악어>, "생경"의 <불설별미후경>, "삼국사기"의 <구토지설>, <토끼전>의 세 가지 이본을 두루 살핀 결과, 다섯 종류의 이야기들은 모두 '물속 동물의 육지 동물에 대한 위협과 음모', '대리자의 육지 동물 유혹', '육지 동물의 꾀를 통한 탈출' 이라는 공통적인 서사의 전개를 가지고 있었고, '육지 동물', '대리자', '물속 동물'이라는 공통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인물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원형적인 이야기에서 <토끼전>으로 올수록 등장 인물의 재조직이 일어나 행위의 설득력이 강화되고, 사건을 재편하는 것으로 갈등의 규모를 확장하고, 공간을 대비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서사 내 담지된 주제 의식이 다변화되는 변화들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소위 매력적인 이야기, 좋은 이야기는 어느 특정 이야기에서 그 성과가 일궈진 것이 아닌, 많은 이야기와 그만큼의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이루어낸 크고 작은 서사적 도약들이 적층됨으로써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논의의 의의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다구(茶具)에 관한 문헌적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the Tea Utensils in the Koryo Dynasty and Chosun Dynasty)

  • 이유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8-391
    • /
    • 2004
  • The Korean tea culture appeared in a variety of ceremonies of the royal household. It was a method of religion for scholars and Buddhist monks, and sometimes it also was a refinement, too. in addition, it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household medicine for the common people. As mentioned above, the Korean tea culture has a deep-rooted effect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from the spiritual aspect, art, learning, to the practical life. Recently the tea culture has been rapidly coming into vogue. So the tea culture has been recognised not only to be an index of the cultural level, but also to be an important cultural phenomenon. Besides, It came to be a major role as a reception method by which we can communicate with quests from ail over the world. Because preferred tea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s and to the regions, tea utensils have been changed along with the tea culture. The present Korean tea culture has a tendency to go to the somewhat different way from the traditional one.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let us apprehend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hold the national pride.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Tea should be assessed more properly, and our own Tea that is unique, simple, and natural, should be settled in the our culture.

말레이시아 소비자의 한국식품 인지도 및 선호도 분석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Products in Malaysia)

  • 정진이;최영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7-216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of export items in Malaysia by investigating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products. A high potential product list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included reports about the food export status in Korea and Malaysian food trends. An onlin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600 consumers in Malaysia. With 435 valid responses, the average awareness of the Korean food products was 3.13, and the preference was 3.48 on a 5-point scale.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products were higher in the 20s-30s group than in the older groups. In particular, the Muslim group had a higher awareness for 'ramyon' than the other groups, and the Buddhist group had a higher preference for 'ginseng beverage' than the other groups. The most well-known and preferred products were ramyon, hot noodles, kimchi, biscuits, fruits & vegetable beverage, and sauce (with Korean traditional sau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marketing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미얀마의 분쟁해결제도와 비즈니스협상 (Dispute Resolution Institution and Business Negotiation of Myanmar)

  • 정용균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8권4호
    • /
    • pp.61-88
    • /
    • 2018
  • Myanmar has witnessed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21st century. The cultural heritage of Myanmar (Burma) inherited from ancestors is law literature such as Dhammathat and Rajathat. Burma is a unique country in Southeast Asia in a sense that it already had a modern law system. For example, there has been a legal profession even in 12th century AD. According to Rajathat, lawyers were required to wear a uniform in court. Furthermore, lawyers and Judges participated in legal proceedings from the 15th century. As to the role of Dhammathat, there are conflicting views in the academic community. According to Professor Andrew Huxley, the profound literatures of Dhammathat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source of law in Burmese court in ancient times. Dhammathats have flourished in the struggle among the King, lawyers, and monks in old Burmese society. This customary law combined with Rajathat provided a guidance of legal proceedings in Burmese court, as well as village settlement. This traditional dispute resolution system reaches modern times in the form of Buddhist family law in Myanmar. Nowadays, the law system of Myanmar looks like a legal pluralism since the customary laws of Burma, as well as Shan and Arakan, are effective and co-exist with common law adopted at the colonial period. In recent times, Myanmar has enacted new arbitration laws (2016) in order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