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ccal undercu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Buccal acrylic appliance의 임상적 적용 (THE CLINICAL APPLICATION OF BUCCAL ACRYLIC APPLIANCES)

  • 노홍석;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15-321
    • /
    • 2007
  • 어린이의 공간유지와 교합유도의 치료를 위하여 가철성 장치는 소아치과 임상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악의 경우와는 달리 하악에서는 가철성 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 유지력의 저하에 따른 치료효과의 감소, 환자의 불편감과 거부감으로 인한 미착용 등의 문제가 흔히 발생한다. 이것은 유치열기나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경우, 하악구치부의 undercut양이 충분치 못함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협측 undercut으로부터 유지력을 얻는 각종 clasp를 적용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전통적인 가철성 장치들의 acrylic base plate가 설측에 위치하고 있어 설측 연조직이나 치조능 undercut과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어린이들은 하악 장치의 작업모형을 위한 인상채득과정에서 술자의 지시대로 혀를 바르게 거상하지 못하는 예가 많은 것도 그 원인요소로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하악의 Hawley acrylic plate로부터 clasp와 acrylic baseplate의 위치를 바꾸어 협측 base plate와 설측 clasp을 이용한 buccal acrylic appliance를 유치열기 및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구강에 적용하여 그 장단점을 조사하고 환아들의 수용도와 효율성을 기존의 lingual acrylic appliance와 비교, 검토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공간유지 및 치아이동을 필요로 하는 5개 증례를 대상으로 각 증례에 buccal acrylic appliance와 기존의 lingual acrylic appliance를 모두 적용하여, 유지력, 환자 수용도, 혀의 기능과의 조화, 치료 효과 등의 측면을 상호 비교해 보았다. 조사 결과, 조사 대상의 모든 증례에서 유지력과 환아의 수용도 측면에서 협측 장치가 설측 장치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 효과의 측면에서도 협측 장치는 설측 장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악에 가철성 장치를 사용할 경우, 전통적인 설측 장치와 관련된 각종 부작용을 해결하는 데에 buccal acrylic appliance가 훌륭한 대안으로서 임상적용을 추천할 만 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A morphometric study on stainless steel crowns of the primary first molar using a three dimensional scanner

  • Lee, Jihyun;Shin, Teo Jeon;Kim, Young-Jae;Kim, Jung-Wook;Jang, Ki-Taeg;Lee, Sang-Hoon;Kim, Chong-Chul;Hyun, Hong-Keu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6호
    • /
    • pp.414-428
    • /
    • 2016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stainless steel crowns (SSCs) for the first primary molar using a 3D scanner. Study design: Two types of SSCs, KIDS CROWN (KC) and 3M ESPE ND-96 (ND), for the first primary molars were scanned using a 3D scanner. The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ameters at the height of the contour and the cervical margin, occlusocervical diameters on th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aspects were measured, and the crown shape ratio, the smooth surface crown height ratio, and the cervical convergence were calculated. Results: In the crown shape ratio of the mandibular SSC, KC was larger buccolingually compared with ND. In the smooth surface crown height ratio, ND was larger than KC in all of the maxilla and mesial, distal, and lingual aspects of the mandible. ND was more convergent to the cervical mesiodistally and buccolingually compared with KC. Conclusion: In the superimposed images of the maxillary SSC, the mesiolingual and distolingual line angles of KC were more prominent compared with ND. In the mandible, ND demonstrated higher cusps and more obvious buccal developmental lobes than KC. ND showed a larger cervical undercut than K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