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ussels sprout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Comparative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russels sprouts (Brassica oleracea var. gemmifera) and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 Kwan Woo Jeon;Min Gun Kim;Su Hyeong Heo;Kyung Hwan Boo;Jae-Hoon Kim;Chang Sook Kim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413-419
    • /
    • 2022
  • The applicability of Brussels sprouts, which are widely cultivated in Jeju, as a functional biomaterial in the cosmetics and food industries is investigated. The active ingredients (total phenols and flavonoids, β-carotene, vitamin C, free sugar, minerals, glucosinolates, and isothiocyanat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f Brussels sprouts and cabbage were analyzed. The total phenol, flavonoid, vitamin C, and β-carotene contents of Brussels sprouts were approximately 36%, 2.5 times, 2.3 times, and 65% higher than those of cabbage, respectively.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of Brussels sprouts was 58%-72% lower than that of cabbage. The K content was the highest among the other minerals,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The Na content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in cabbage than in Brussels sprouts. The total glucosinolate content of Brussels sprouts was 34.5 mol SE/g DW, twice that of cabbage. The sinigrin content of Brussels sprouts was thrice (10.06 μmol/g DW) that of cabbage. The isothiocyanate (sulforaphane, I3C) content in Brussels sprouts was double that of cabbag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russels sprout extract was 2.5 to 2.8 times higher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3.3 to 3.6 times higher in 2,2'-Azino-bis(3-eth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capacity than those of cabbage extract. These ar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study of glucosinolates and isothiocyanates, which have anticancer activity, as well as antioxidant-related substances of Brussels sprout, which has high potential for use as a biomaterial in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방울양배추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ussels Sprouts Extract on Inflammatory Cytokine Inhibition)

  • 이재혁;박정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69-74
    • /
    • 2023
  • 본 논문은 Brussels Sprouts Extract의 염증성사이토카인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염증반응은 활성산소와 같은 매개인자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나 IL-1β, IL-8에 의해 나타난다. 이에 본 논문은 MTS assay를 이용하여 세포에 대한 생존율을 살펴보고, RAW264.7 대식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 자극에 의해 생성된 NO와 TNF-α나 IL-1β, IL-8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억제를 살펴보았다. Brussels Sprouts Extract 10mg/mL, 100mg/mL, 1000mg/mL 농도로 처리 후 억제 정도를 살펴본 결과, Brussels Sprouts Extract은 세포 독성 없이 NO생성과 TNF-α, IL-8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특히 1000mg/mL 농도에서는 유의한 억제를 보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저해한 Brussels Sprouts Extract은 염증반응 감소와 염증조절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염증 예방 및 치료제로서 잠재력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방울다다기양배추 고랭지 재배시 재식거리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istance on the Growth and Yield of Brussels Sprouts in the Highland Area)

  • 엄남용;김기선;이재희;전신재;이원경;김경원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53
    • /
    • 2019
  • 방울다다기양배추는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낮은 작물이지만 최근 식생활 및 소비 패턴이 변화하면서 편의성, 차별성 등이 중요시면서 미니 과일, 미니채소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외국의 도입 채소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2013년 방울다다기양배추 수입량이 36톤이었던 것이 2015년에는 14.3배가 증가한 515톤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방울다다기양배추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과 미니채소에 대한 관심으로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할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같이 증가추세에 있는 방울다다기양배추의 수입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국내 재배면적 확대가 필요하나 저온성 작물인 방울다다기양배추는 고온기 남부지역에서는 재배가 어려워 제주지역의 겨울재배 작형으로 제한되어 재배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겨울재배 작형과 연계하여 강원도 고랭지의 서늘한 여름 기후를 이용하여 단경기인 9~11월에 생산할 수 있는 여름재배 작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어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2018년~2019년 태백 철암의 노지(표고 750 m)에서 시험품종은 "브릴리언트"를 이용하여 3월 하순 파종하여 50일 육묘하여 5월 10일 포장에 정식하였다. 흑색멀칭한 시험포장에 $80{\times}30cm$부터 $80{\times}60cm$까지 10 cm 간격으로 차이를 두고 정식하였으며 정식 전 N-P-K = 20-15-20 kg/10 a를 시비하였고 시험포장은 수확까지 병해충 방제 등 주기적으로 관리하면서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재식거리별 생육상황을 비교한 결과 초장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고 경경은 재식거리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엽장 및 엽폭은 처리간의 경향이 없었으며 엽수는 재식거리가 커질수록 증가하였고 $80{\times}30cm$ 처리시 80매내외였던 것이 $80{\times}50cm$ 이상일 경우 100매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재식거리별 구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구경은 처리간 큰 차이는 없었으나 재식거리가 커질수록 구경이 다소 증가하였으며 구중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방울다다기양배추의 구의 엽수는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고 경도 및 당도도 큰 차이가 없었다. 처리별 수량은 $80{\times}40cm$$80{\times}50cm$ 처리에서 수량이 다소 증가하였고 상품화율은 $80{\times}50{\sim}60cm$ 처리에서 80%이상으로 높았다. 따라서 방울다다기양배추의 여름 고랭지 재배시 재식거리는 $80{\times}50cm$ 처리시 생육 및 엽수 증가에 따른 구의 형성이 증가하여 수량성이 높아지고 상품화율도 증가하였다.

  • PDF

고랭지 여름 무에서 시들음병 발생 현황과 병원균의 병원학적 특성 연구 (Status of Fusarium Wilt Incidence on Summer Radish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usal Fungus in Korea)

  • 홍성기;고형래;최효원;이영기;김점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4호
    • /
    • pp.256-263
    • /
    • 2020
  • 2018년과 2019년에 강원도 여름 재배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 발생이 조사되었다. 시들음병은 7월 상순 발생했고, 7월 하순과 8월 뜨거운 여름에 급속히 확산되었으며, 심한 경우, 일부 포장에서는 80%까지 발생하였다. 유묘기에 병든 무는 생육이 불량하고 뿌리 내부조직이 갈변되었다. 생육중기 동안 시간이 지나면서 병든 잎은 황화되고 뿌리표면은 흰색에서 흑색으로 변색되고, 도관조직은 갈변하였다. 병든 식물체로부터 23개 Fusarium균이 분리되었고, EF-1α와 IGS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로 동정되었다. 무와 다른 작물에 대한 인공접종에 의해 병원성이 검정되었다. 11개 품종 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균주들은 무에서 병원성이었다. 그러나 로켓, 방울양배추, 스토크, 순무를 포함하는 배추과 작물을 제외하고는 병원성이 없었다. 병원성 검정결과는 무 포장에서 시들음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배추과 채소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er Mixture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 이재준;이유미;신형덕;정영심;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965-974
    • /
    • 2007
  • 본 연구는 새싹채소 혼합분말(배추, 유채, 브로콜리, 적무, 갓, 알팔파, 메밀 및 보리)이 혈액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게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식이의 5%와 10%로 4주간 급여한 후, 체내 지방조직의 지방 함량, 지방세포의 크기, 지방합성 관련 효소인 ME, 6PGDH, G6PDH, LPL 활성, 혈청 지질성상, 인슐린 및 렙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HF-N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고지방식이와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동시에 급여한 HF-CSL군과 HF-CSH군은 정상지방섭취군인 NF-C군과 유사하였다. 고지방식이만을 급여한 HF-N군은 지방조직의 무게와 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HF-CSL군과 HF-CSH군은 NF-C군보다도 낮은 경향이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고농도의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급여한 HF-CSH군이 정상지방섭취군인 NF-C군보다도 낮았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NF-C군보다 높았다. 혈청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효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지방세포의 크기도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컸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세포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관련 효소인 ME, 6PGDH 및 G6PDH 활성은 지방조직 모두 HF-N군에서 가장 높았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고농도 첨가한 HF-CSH군은 ME와 G6PDH 활성이 가장 낮았으며, NF-C군과는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조직의 ME, 6PGDH 및 G6PDH 활성은 저하되었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HF-N군이 다른 군들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새싹채소 혼합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HR-LPL과 TE-LPL 활성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고농도의 새싹채소 혼합분말을 첨가한 HF-CSH군은 NF-C군가 비슷한 LPL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흰쥐의 경우 식이섬유소를 첨가하지 않고 고지방식이만을 급여 시 체중 및 체지방 함량 증가,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 증가, 지방합성관련 효소 활성 증가를 유도하며, 식이 지방의 섭취 수준이 심혈관계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된 이러한 결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 섭취로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새싹채소 혼합분말이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슐린, 렙틴 농도의 변화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관련 효소의 활성 변화로 유도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