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button mushroo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6초

백색양송이와 갈색양송이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White and Brown Button Mushrooms)

  • 오연이;김민식;장갑열;오민지;임지훈;이종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9-126
    • /
    • 2022
  • 전염병확산에 따라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기능성이 소비자들의 버섯 구매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양송이 소비촉진을 위한 기능성 정보를 알리기 위해 백색 느티만가닥버섯를 대조구로 백색양송이와 갈색양송이로 구분하여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백색양송이는 갈색양송이에 비해 당도와 무기성분인 칼륨이 높았으며, 나트륨과 마그네슘, 비타민 C는 갈색양송이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Ergosterol 함량은 백색양송이가 갈색양송이 대비 약 2배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갈색양송이는 백색양송이에 비해 𝛽-Glucan, 유기산인 oxalic acid가 높았지만, 총 유기산 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아미노산은 Ergothionein, Isoleucine, Leucine, Glycine, Alanine, 비타민은 B 그룹,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갈색양송이가 백색양송이보다 높았다.

갈색양송이 인지도 제고를 위한 소비 성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brown button mushroom consumption for raising awareness)

  • 오연이;장갑열;오민지;임지훈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0
    • /
    • 2019
  • 갈색양송이는 백색양송이보다 병에 강하고 재배관리가 쉬워 농가에서 재배를 하고 싶지만, 아직 국내 소비자들의 인식이 부족하여 일부 친환경 농가에서만 재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갈색양송이에 대한 1분정도의 동영상으로 사전 정보를 준 후 인지도와 선호도를 SNS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응답자의 20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식미평가를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83%가 갈색양송이를 접한 적이 없다고 했으며, 동영상으로 정보를 접한 후 98%가 '맛에 대한 호기심'(44%)의 이유로 구매 의사를 밝혔다. 식미평가에서는 갈색양송이가 32%가 '맛있다', 31%가 '식감이 좋다', 28%가 '향이 좋다'로 응답하였다. 또한 섭취 후에 95%가 갈색 양송이 구매를 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갈색양송이에 대한 대중적 인식, 선호, 식미와 버섯에 영양성분과 기능성에 대한 정보가 소비로 이루어 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갈색 양송이 신품종 '호감' 육성 (Development of a new brown button mushroom cultivar 'Hogam')

  • 오연이;장갑열;공원식;신평균;김은선;오민지;최인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7-242
    • /
    • 2015
  • 신품종으로 육성된 갈색양송이 '호감'품종은 RAPD분석에 의해 선발된 동핵균주 ASI 1164-37과 ASI 1175-66 균주를 교잡하여 3차례 선발을 통해 육성된 C34계통이다. 이 품종의 '호감'품종의 CDA배지에서 균사생장은 $25^{\circ}C$에서 가장 좋았으며, 버섯발생온도와 버섯생육온도는 $14{\sim}18^{\circ}C$가 최적온도였다. 형태적 차이로는 갓과 대의 두께가 2010년도에 육성된 '다향'보다 두꺼웠으며, 갓은 밝은 갈색을 보였다. '호감' 품종은 '다향'에 비해 초발이일수와 수확기간이 3일 더 길었지만, 개체중은 1.35배 증수되었으며, 이 품종은 국내 양송이품종의 다양화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of various cereal grains in spawn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Lee, Byung-Eui;Seo, Geon-Si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7-243
    • /
    • 2014
  • Spawn is the vegetative growth of the mycelium and serves as the inoculum or seed for cultivating mushrooms. Various cereal grains, such as wheat, millet, barley, sorghum, brown rice, rye, and oat were assessed to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for spawn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The mycelial growth rates, density, and the number of completely colonized grains were measured from the twentieth day of inoculation. Wheat grains showed fastest mycelial growth with 8.4 cm followed by rye, oat, barley with 8.2, 7.5 and 7.3 cm, respectively. In the mycelial density, foxtail millet, barley, and sorghum were best compared with that of wheat grains. Especially, the number of grains which were completely colonized by mycelia were greatest in foxtail millet with 5,123 grains followed by proso millet, and wheat with 3,052 and 914,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barley, foxtail millet, and sorghum grains would be appropriate substituting for wheat grain in spawn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Cladobotryum mycophilum isolated from cobweb disease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in Korea

  • Lee, Chan-Jung;Han, Hye-Su;Jhune, Chang-Sung;Cheong, Jong-Chun;Oh, Jin-A;Kong, Won-Si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98-201
    • /
    • 2011
  • Cobweb disease symptoms were observed in a mushroom farm in Buye, Korea during a disease survey in 2008-2011. Five isolates of Cladobotryum sp. were obtained from the infected caps and stipes. These isolates of Cladobotryum sp. were identified as C. mycophilum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the ITS sequences. Early symptoms were noticed as round, fleshy, yellowish brown lesions on mushroom caps. Late symptoms progressed when the parasitic fungus formed white cobweb circular colonies on dead or damaged pinheads, spread on the surface of the casing, and covered entirely fruiting bodies. Optimal temperature and pH for mycelial growth on MEA is $23^{\circ}C$ and 6.0. Microscopically the spores of the fungus are large and most 2~3 celled produced on vertically branched conidiophores. Mushroom caps turned dark brown and shrunk due to soft rot. Testing of sensitivity to selected fungicides showed that isolate was highly resistance to Mancozeb and Thiophanate-methyl, moderately sensitivity to Iprodione, and highly sensitivity to Benomyl, Prochloraz-Mn and Carbendazim.

Identification and genetic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isolates causing brown blotch on cultivated mushrooms in Korea

  • Chan-Jung Lee;Hye-Sung Park;Seong-Yeon Jo;Gi-Hong An;Ja-Yun Kim;Kang-Hyo Lee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7-47
    • /
    • 2024
  • Fluorescent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porocarps that browned into various mushrooms during survey at places of the production in Korea. We examined the pathogenicity, biodiversity,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19 strains identified as Pseudomonas tolaasii by sequence analysis of 16S rRNA and White Line Assay.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poB gene system, fatty acid profiles, specific and sensitive PCR assays, and lipopeptide detection for the identification of P. tolaasii. As a result of these various analyses, 17 strains (CHM03~CHM19) were identified as P. tolaasii. The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16S rRNA gene showed that all strains were clustered closest to P. tolaasii lineage, two strains (CHM01, CHM02) were not identified as P. tolaasii and have completely different genet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fatty acids profile, specific and sensitive PCR, lipopetide detection, rpoB sequence and REP-PCR analysis. Pathogenicity tests showed 17 strains produce severe brown discolouration symptoms to button mushrooms and watersoaking of sporophore tissue within three days after inoculation. But two strains did not produce discolouration symptoms. Therefore, these two strains will be further investigated for correct species identification by different b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양송이 신품종 '단석1호'의 육성 및 특성 (The characterization of breeding of a new cultivar Agaricus bisporus 'Danseok-1ho')

  • 강민구;조우식;김우현;이문중;권태룡;신용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5-179
    • /
    • 2018
  • 양송이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버섯이다. 최근 갈색 계통의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단석1호'는 다포자임의재배법으로 육성되었으며, 국내 양송이 최초 재배지인 경주지역 단석산을 지명을 유래하여 명명되었다. 균사 생장적온은 $20{\sim}30^{\circ}C$이며, 버섯 발생온도는 $15{\sim}20^{\circ}C$이다. 갓 색깔은 중간정도의 갈색이며, 갓의 형태는 구형이다. 갓의 넓이는 45.1 mm, 두께는 23.5 mm이다. 경도는 $8,937g/{\Phi}5mm$이고, 갓의 색도는 L값이 50.4이다. 배양일수는 20일이면 가능하고, 복토 후 버섯의 발생은 18일 정도 소요된다. '단석1호'의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개별발생비율이 높기 때문에 수확중 버섯 손실이 적은 특성이 있다.

양송이버섯 수집균주의 다양한 형질특성평가 (Evaluation of Traits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 강민구;조우식;김우현;이숙희;권순욱;오연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1-89
    • /
    • 2016
  • 양송이버섯(Agaricus bisporus)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버섯이며, 서구화된 식습관의 확대로 인해 국내의 소비량도 최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양송이버섯 품종은 2000년 이전에는 해외품종을 도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최근 교잡에 의한 국산 품종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다른 버섯품목에 비해 품종의 수가 적은 실정이다. 배양온도별 균사생장속도는 25>20>15>30>$10^{\circ}C$ 순으로 균사생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최근 육성된 국내육성종들은 과거부터 수집된 종에 비해 균사생장이 우수한 그룹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SI1338계통은 균사생장이 우수한 범위가 넓은 계통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균성갈색무늬병 저항성 검증결과 ASI1007, ASI1085, ASI1310, ASI1339 저항성이 강한 계통이었으며, ASI1053, ASI1103, ASI1140, ASI1146, ASI1177, ASI1183, ASI1195, ASI1321, ASI1331, ASI1336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약한 계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송이버섯 수집자원의 평균 초발이 일수는 16.5일, 평균수확일수는 5.7일, 평균 수확량은 142.7 g/2 kg bag이었다. 각 특성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균사생장속도는 10, 15, 20, $25^{\circ}C$는 서로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균사가 생장하였으나, $30^{\circ}C$에서는 다른 온도의 생장결과와 상관성이 낮아졌다. 수확량은 초발이일수, 수확일수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양송이 신품종 '진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 new Agaricus bisporus cultivar 'Jinhyang')

  • 김용균;이병주;이미애;이동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6-250
    • /
    • 2021
  • 갈색양송이 수집균주를 단포자교배하여 육성한 신품종 '진향'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진향'의 균사배양, 초발이 소요일수, 자실체 발생소요기간은 대조품종인 '다향'과 차이없었다. '진향'의 갓두께는 '다향' 보다 두꺼웠으며, 갓색은 진했다, '진향'자실체 경도와 개체중은 '다향'보다 다소 높았고, 수량은 14.1 kg/m2로 '다향'의 13.1 kg/m2에 비해 8% 증수되어 양송이 재배농가에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갈색 양송이 신품종 '다향'의 형태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a new button mushroom variety 『Dahyang』)

  • 김홍규;함인기;이가순;이병주;김용균;양의석;유영복;김홍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1
    • /
    • 2011
  • 다향(CM061202)은 충청남도농업기술원에서 양송이 신품종 육성을 위해 갈색종에서 161개의 담자포자 균주를 분리하여 선발된 계통중의 하나로 705호와 생산력을 비교한 결과 수량, 균사생장 및 품질특성이 우수하여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다향 균사를 퇴비추출버섯 완전배지(CE/MCM)에 접종하여 $25^{\circ}C$ 온도에서 15일 배양시 균사생장 길이는 63mm로 705호(38mm)에 비해 양호하였다. 볏짚을 이용한 균상 재배시 다향의 생육 온도는$15{\sim}19^{\circ}C$로 705호($15{\sim}17^{\circ}C$)에 비해 $2^{\circ}C$ 높았다. 다향의 갓 색깔은 갈색이고, 초발이소요일수는 30일로 705호(29일) 보다 1일 느렸다. 수량성은 $49.1kg/3.3m^2$으로 705호($35.8kg/3.3m^2$)보다 37% 증수되었다. 다향의 개체중은 16.0g으로 705호(14.0g)보다 무거웠으며, 갓의 두께와 직경이 705호 보다 두꺼웠다. 또한 다향은 705호에 비해 대의 길이가 짧고, 굵을 뿐만 아니라 경도, 탄력성 등 물리성이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