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oscop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Airway obstruction by dissection of the inner layer of a reinforced endotracheal tube in a patient with Ludwig's angina: A case report

  • Shim, Sung-Min;Park, Jae-Ho;Hyun, Dong-Min;Lee, Hwa-M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135-138
    • /
    • 2017
  • Intraoperative airway obstruction is perplexing to anesthesiologists because the patient may fall into danger rapidly. A 74-year-old woman underwent an emergency incision and drainage for a deep neck infection of dental origin. She was orally intubated with a 6. 0 mm internal diameter reinforced endotracheal tube by video laryngoscope using volatile induction and maintenance anesthesia (VIMA) with sevoflurane, fentanyl ($100{\mu}g$), and succinylcholine (75 mg). During surgery, peak inspiratory pressure increased from 22 to $38cmH_2O$ and plateau pressure increased from 20 to $28cmH_2O$. We maintained anesthesia because we were unable to access the airway, which was covered with surgical drapes, and tidal volume was delivered. At the end of surgery, we found a longitudinal fold inside the tube with a fiberoptic bronchoscope. The patient was reintubated with another tube and ventilation immediately improved. We recognized that the tube was obstructed due to dissection of the inner layer.

Fistula Formation between Right Upper Bronchus and Bronchus Intermedius Caused by Endobronchial Tuberculosis: A Case Report

  • Kim, Mikyoung;Kang, Eun Seok;Park, Jin Yong;Kang, Hwa Rim;Kim, Jee Hyun;Chang, YouJin;Choi, Kang Hyeon;Lee, Ki Man;Kim, Yook;An, Jin 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3호
    • /
    • pp.286-288
    • /
    • 2015
  • Endobronchial tuberculosis is defined as a tuberculous infection of the tracheobronchial tree and has a prevalence of up to 50% in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case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is bronchial stenosis; benign fistula formation by endobronchial tuberculosis is rare, especially inter-bronchial fistula formation. We reported a rare case of a 73-year-old woman with a fistula between the right upper bronchus and bronchus intermedius. A diagnosis of inter-bronchial fistula caused by endobronchial tuberculosis was based on the results of chest computed tomography scans, bronchoscopy, and microbiological and pathological test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tuberculous medication, and her symptoms gradually improved.

The Effects of Bronchoscope Diameter on the Diagnostic Yield of Transbronchial Lung Biopsy of Peripheral Pulmonary Nodules

  • Lee, Nakwon;Kim, Sang-Ha;Kwon, Woocheol;Lee, Myoung Kyu;Yong, Suk Joong;Shin, Kye Chul;Jung, Ye-Ryung;Choi, Yeun Seoung;Choi, Jiwon;Choi, Ji Sun;Lee, Won Ye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7권6호
    • /
    • pp.251-257
    • /
    • 2014
  • Background: Transbronchial lung biopsy (TBLB) is a valuable diagnostic tool for peripheral pulmonary lesions. The diagnostic yield of TBLB reportedly ranges from 41%-60%. Many studies demonstrated th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the yield of TBLB, including size, location, and distance from the carina or pleura. However, no study has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bronchoscope diameter. We evaluated whether the bronchoscope diameter affected the diagnostic yield of TBLB. Methods: We reviewed records from 178 patients who underwent TBLB using bronchoscopes of two different diameters (5.7 mm, thick outer diameter, Olympus BF-200; 4.9 mm, thin, BF-260). The fluoroscopic guidance rates, yield of TBLB and flexible bronchoscopy (FB)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procedures with respect to diagnosis, distance from the pleura, and size of the lesion. Results: The results of fluoroscopic guidance, TBLB, and FB yield using thin diameter bronchoscope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btained with a thick diameter bronchoscope (p=0.021, p=0.036, and p=0.010, respectively). Particularly, when the distance from the pleura was ${\leq}10mm$, success rates for fluoroscopic guidance and FB with thin bronchoscope were higher (p=0.013 and p=0.033, respectively), as compared to with thick bronchoscope. Conclusion: A thinner diameter bronchoscope increased the yield of bronchoscopy, and bronchial washing in conjunction with TBLB was useful in the diagnosis of peripheral pulmonary nodules.

기관지경 오염에 의한 비결핵항산균증의 위발생 (Pseudoepidemic of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MOTT) Due to Contaminated Bronchoscope)

  • 곽승민;김세규;장중현;이홍렬;이이형;김성규;이원영;정윤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29-34
    • /
    • 1993
  • 연구배경 : Ikeda에 의해 임상에 도입된 굴곡성 기관지경은 각종 폐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시술 증례도 증가하고 있으나 외국에서는 결핵균, 비결핵항산균 및 여러 세균들에 의한 기관지경의 교차오염예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므로 기관지경의 세척과 소독방법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방법 : 1991년 11월부터 1992년 5월 까지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한 예중에서 기관지세척액에서 비결핵항산균이 배양된 예들을 분석하고 본원에서 화학살균제로 사용하고 있는 2% alkaline glutaraldehyde의 살균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실내에서 2% alkaline glutaraldehyde와 비결핵항산균 및 세균을 접촉시킨후 균의 사멸 여부를 알아 보았다. 결과 : 2% glutaraldehyde 소독제 용액에 비결핵항산균은 2% glutaraldehyde 1:1 용액으로 30분간 접촉한 후 균이 자라지 않았으며 그 밖의 세균들은 접촉 바로 후에 자라지 않았다. 위발생 인지후 철저한 기계적 세척과 함께 세척기내에서 30분이상 2% glutaraldehyde에 담가둔 이후로는 위양성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기관지경 사용후 기계적 세척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며 2% glutaraldehyde 용액으로 소독시 비결핵항산균의 소멸을 기대하려면 적어도 30분 이상 접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감염조절 방법을 엄격하게 적용한다 하더라도 오염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일반적으로 비병원균으로 알려진 균들이 비통상적으로 갑자가 높은율로 검출되면 위발생을 생각하여야 한다.

  • PDF

기계환기중인 환자에서 기관지내시경 검사에 따른 생리적 변화 (Physiologic Changes During Bronchoscop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 편유장;서지영;고원중;유창민;전경만;전익수;함형석;강은해;정만표;김호중;권오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523-531
    • /
    • 2004
  • 연구배경 : 최근 기계환기 중 기관지내시경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시술 중 생리학적 변화나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연구자들은 PEEP을 시술전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여 생리학적 변화 및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6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삼성서울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기계환기를 하면서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했던 19명의 환자(남자 10명 여자 9명, 연령 중앙값 61.6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기 전 100% 산소로 15분간 전산 소요법을 시켰으며 기관지내시경 시술 중 기계환기는 용적조절양식으로, 일회환기량 4 ml/kg, 호흡수 20회/분, 흡기 대 호기비 1:2로 환기하였으며 PEEP은 시술전과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시행 후 30분간 100% 산소를 유지하였다. 결 과 : 기관지내시경술 시행시간의 중앙값은 6분(범위 3-15분)이었다.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면서 호흡성 산증과 저환기, 최고기도압의 상승, 심박수의 증가, auto-PEEP의 발생을 보였다. 이들 변화는 기관지내시경 시술 후에 시술 이전의 상태로 되었다. 압력손상 및 혈압 감소 등의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심각한 저산소증으로 높은 PEEP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에게서 PEEP을 유지한 채로 기관지내시경술을 시행하여도 심각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는 동안 호흡성 산증 및 저환기를 보였고, 비록 가역적이지만 이러한 상태에서 환자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기관지내시경 시행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