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opulmonary Dysplasia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7초

산모의 융모양막염 및 인공호흡기 치료가 미숙아 만성 폐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onatal ventilator care or maternal chorioamnionitis on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 윤기태;이동환;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8호
    • /
    • pp.893-897
    • /
    • 2009
  • 목 적 : 신생아 집중 치료의 발전으로 인해 저출생 체중아의 생존률은 많이 향상되었으나 장기간의 산소 보충이 필요한 미숙아 만성 폐질환자의 증가는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산모의 융모양막염 및 신생아의 인공호흡기 치료가 만성 폐질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폐질환의 발생에 산모의 융모양막염 및 신생아의 인공호흡기 치료가 독립적 혹은 종속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6주 이하, 출생체중 1,500 g 이하의 환아 158례를 대상으로 융모양막염의 존재 여부와 인공호흡기 사용에 따른 만성 폐질환의 발생률을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총 158례 중 산모의 융모양막염 양성은 50례(31.6%), 음성은 92례(58.2%), 생검을 통한 조직학적인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는 16례(10.1%)였다. 융모양막염 유무와 만성 폐질환 발생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P=0.735), 융모양막염이 있고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36례 중 15례(41.7%)에서 만성 폐질환이 발생하였으며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지 않은 14례 중 4례(28.6%)에서 만성 폐질환이 발생하였다(P=0.018). 융모양막염이 없는 그룹에서도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73례 중 32례(43.8%)에서 만성 폐질환이 발생하였고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지 않은 19례 중 1례(5.3%)에서 만성 폐질환이 발생하여(P=0.002), 융모양막염 유무보다는 인공호흡기 사용이 만성 폐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다중회귀분석에서도 인공호흡기 사용(OR=7.409, 95% CI=2.532-21.681)과 패혈증(OR=4.897, 95% CI=1.227-19.539)이 각각 만성 폐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모의 융모양막염은 OR=0.461, 95% CI=0.201-1.059로 만성 폐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인공호흡기의 사용, 패혈증이 만성 폐질환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산모의 융모양막염 자체가 만성 폐질환의 발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추가 치료제로서의 Montelukast (Montelukast as an add-on therapy in bronchopulmonary dysplasia)

  • 김혜민;송지은;이순민;박민수;박국인;남궁란;이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181-186
    • /
    • 2009
  • 목적 : 기도 및 폐 간질의 염증은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중요한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염증매개 물질의 하나인 cysteinyl leukotrienes는 기관지 수축, 점액 분비, 부종을 일으켜 폐에 손상을 준다. 저자들은 기관지폐 이형성증 환자의 추가 치료제로서 montelukast의 안전성 및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7년 3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및 신촌세브란스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montelukast를 복용한 15명의 기관지폐 이형성증 환자를 montelukast 군으로 지정하였으며 2005년 5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영동세브란스병원 및 신촌세브란스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montelukast를 복용하지 않은 15명의 기관지폐 이형성증 환아들을 대조군으로 지정하였다. montelukast는 1 mg/kg/d를 하루에 두번 나누어 구강으로 복용하게 하였으며 평균적으로 12주 동안 복용하였고 기존의 기관지폐 이형성증 치료의 추가 치료제로 사용하였다. 결과 : Montelukast 군은 15명 모두 생존하였으며 특이 이상 반응 없었고 생체징후, 혈액검사 모두 정상 소견 보였으며 montelukast 복용 2주 후부터 ventilator index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다른 호흡 지표들도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 대상 환아 중에서는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기존치료에 추가로 사용된 montelukast에 특이 이상 반응이 없었으며, 대부분 well-tolerable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 mg/kg/d의 montelukast는 치료 2주째부터 기계적 환기의 기간을 줄여 주어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추가 치료제로써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montelukast 치료 및 예방의 효과 및 안전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환아를 대상으로 대규모의 다기관 무작위 대조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기관지폐 형성이상 미숙아의 젖병수유 시 저산소증: 생후 4개월까지 수유상태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Oxygen Desaturation during Nutritive Sucking in Premature Infant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 Its Effect on Feeding and Growth until 4 Months of Corrected Age)

  • 임창환;이주영;이현승;이정현;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34-141
    • /
    • 2008
  • 목 적 : 기관지폐이형성을 가진 미숙아에서 젖병 수유(nutritive sucking) 시 산소포화도 저하를 알아보고 저하 정도의 차이가 수유 상태 및 단기 성장 예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2002년부터 2007년까지 6년간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기관지폐이 형성으로 진단된 미숙아 중에서 심장, 위장관계 및 호흡 기계의 주요 기형이 없었던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재태주령 36주되는 시기에 관찰한 젖병 수유에 따른 산소 포화도의 저하 정도에 따라서 산소포화도 저하가 없거나 경한 14명(A군)과 중등도 이상의 산소포화도의 저하를 보였던 20명(B군)의 임상적 특성, 수유 상태 및 성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유 시 산소포화도가 저하되는 정도는 경증(85-89%), 중등도(81-84%), 중증(${\leq}$80%)으로 나누었다. 결 과 : B군이 A군에 비하여 출생 시 체중이 더 작고, 이른 재태주령에 출생하였으며, 입원기간이 길었고, 늦은 재태주령 시기에 퇴원하였으며, 인공환기 및 산소요법 기간이 더 길었다. B군은 A군보다 젖병 수유를 늦게 시작하였으며, 수유 전 산소포화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젖병 수유 시 산소포화도의 저하 정도가 심했다. 재태주령 40주되는 시점에 수유곤란을 경험한 영아는 B군에 더 많았고, 평균 체중 및 평균 성장 속도도 B군에서 A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교정연령 4개월 시점에는 수유곤란을 경험한 영아의 수, 평균 체중, 성장 속도 등에 있어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기관지 폐 이형성을 가진 미숙아에서 젖병 수유에 의하여 유발되는 산소포화도 저하가 중등도 이상인 경우 수유 곤란 및 성장 부진과 연관이 있으나 그 적용기간은 4개월 미만이었다.

기관지 폐 이형성증을 가진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폐고혈압증 (Pulmonary Hypertension Secondary to Bronchopulmonary Dysplasia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1,500 g))

  • 유혜수;김묘징;강지만;이차곤;김진규;안소윤;김은선;허준;장윤실;강이석;박원순;이흥재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96-103
    • /
    • 2011
  • 목적: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폐고혈압증은 기관지 폐 이형성증의 대표적인 심폐관련 합병증으로 높은 사망률과 합병증과 연관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기관지 폐 이형성증을 가진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폐고혈압증의 유병률, 경과 및 치료뿐 아니라 예후 및 이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출생 체중 1,500g 미만 환아 865명 중 28일 이상 산소 치료를 필요로 하였던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장 초음파 검사상 삼첨판 역류 속도 3 m/s 이상이 확인되면서, 우심실 비대 혹은 심실 중격이 평형함이 관찰되는 경우를 폐고혈압으로 진단하였으며, 이들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인구학적, 주산기 인자, 합병증, 사망률을 비교하였으며, 폐고혈압증을 가진 환아 중 사망군과 생존군으로 나누어 이들의 특성 및 관련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기관지 폐 이형성증을 가진 VLBWI 218명 중 14명(6%)에서 폐고혈압증이 발생하였으며, 모두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 폐 이형성증에서 발생하였다. 폐고혈압증은 평균 생후 133일(40-224일)에 진단 받았으며, 중증 기관지 폐 이형성증, 부당 경량아, 외부 환아는 폐고혈압증 발생과 관련된 인자이다. 기관지 폐 이형성증에서 발생한 폐고혈압증의 사망률은 57%이며, 중증 기관지 폐 이형성증은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다. 생존한 환아에서 회복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3개월이었다 결론: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기관지 폐 이형성증과 관련된 폐고혈압증은 높은 사망률 및 합병증을 보이며, 이들의 발생 및 예후는 기관지 폐 이형성증 정도와 연관성이 있다. 이들의 조기진단을 위해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 폐 이형성증 환아에서 정기적인 선별검사 및 퇴원 이후에도 장기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기관지폐 이형성증에 대한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 (Current Use of Dexamethasone Rescue Therapy for Bronchopulmonary Dysplasia)

  • 정의석;안요한;이주영;김윤주;손세형;손진아;이은희;최은진;김은선;이현주;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46-153
    • /
    • 2009
  • 목 적: 고식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기관지폐 이형성증에 대한 치료로서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의 사용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4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및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관지폐 이형성증으로 치료를 받은 251례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산모와 신생아들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의 반응성에 따라 반응군 및 비반응군간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에 따른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 과: 93례(37.1%)가 중증도의 기관지폐 이형성증으로 분류되었으며, 모든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는 중증도의 기관지폐 이형성증을 가진 사례에서 시행되었다. 덱사메타손은 고식적인 치료가 실패하여 기관 발관이 불가능한 호흡 곤란을 가진 24례(9.6%)에서 투여되었다. 투여된 사례 중 14례(58.3%)에서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에 반응을 나타냈다. 비반응군은 보다 많은 산소 공급을 요구하였으며 폐동맥 고혈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았다. 반응군은 입원 기간의 단축과 사망률의 감소 소견을 보였다. 고용량의 덱사메타손을 투여하는 것이 저용량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기계 환기에서 이탈을 유도한다는 근거는 도출되지 않았다. 패혈증은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 이후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결 론: 중증의 기관지폐 이형성증에서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하기 전에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치료 효과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폐동맥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에는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덱사메타손 구제 치료를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Risk Factors and Effects of Severe Late-Onset Hyponatremia on Long-Term Growth of Prematurely Born Infants

  • Park, Ji Sook;Jeong, Seul-Ah;Cho, Jae Young;Seo, Ji-Hyun;Lim, Jae Young;Woo, Hyang Ok;Youn, Hee-Shang;Park, Chan-Ho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5호
    • /
    • pp.472-483
    • /
    • 2020
  • Purpose: Sodium is an essential nutritional electrolyte that affects growth. A low serum sodium concentration in healthy premature infants beyond 2 weeks of life is called late-onset hyponatremia (LOH). Here,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LOH severity and growth outcomes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premature infants born at ≤32 weeks of gestation were reviewed. LOH was defined as a serum sodium level <135 mEq/L regardless of sodium replacement after 14 days of life.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30 mEq/L (severe) and ≥130 mEq/L (mild). Characteristics and growth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 total of 102 premature infants with LOH were included. Gestational age ([GA] 27.7 vs. 29.5 weeks, p<0.001) and birth weight (1.04 vs. 1.34 kg, p<0.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evere group. GA was a risk factor of severe LOH (odds ratio [OR], 1.328, p=0.022), and severe LOH affected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OR, 2.950, p=0.039) and led to a poor developmental outcome (OR, 9.339, p=0.049). Growth parameters at birth were lower in the severe group, and a lower GA and sepsis negatively affected changes in growth for 3 years after adjustment for time. However, severe LOH was not related to growth changes in premature infants. Conclusion: Severe LOH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developmental outcomes. However, LOH severity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premature infants beyond the neonatal perio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Surgical Closure of an Atrial Septal Defect during Infancy

  • Byeong A Yoo;Su Jin Kwon;Yu-Mi Im;Dong-Hee Kim;Eun Seok Choi;Bo Sang Kwon;Chun Soo Park;Tae-Jin 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3호
    • /
    • pp.155-161
    • /
    • 2023
  • Background: Surgical closure of an atrial septal defect (ASD) is infrequently indicated during infancy. We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ASD closure during infancy. Method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for 39 patients (19 males) who underwent surgical ASD closure during infancy between 1993 and 2020. The median body weight percentile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9.3. Results: During a median follow-up of 60.9 months, 4 late deaths occurred due to chronic respiratory failure. A preoperative history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was the only risk factor for late mortality identified in Cox regression (hazard ratio, 3.54; 95% confidence interval [CI], 1.75-163.04; p=0.015). The 5-year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history of BPD (97.0% vs. 50.0%, p<0.001) and preoperative ventilatory support (97.1% vs. 40.4%,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postoperative increases in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0.017), end-systolic (p=0.014), and stroke volume (p=0.013) indices. A generalized estimated equation model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ostoperative improvement in body weight percentiles in patients with lower weight percentiles at the time of operation (<10th percentile, p=0.01) and larger indexed ASD diameter (≥45 mm/m2, p=0.025). Conclusion: Patients with ASD necessitating surgical closure during infancy are extremely small preoperatively and remain small even after surgical closure. However, postoperative somatic growth was more prominent in smaller patients with larger defects, which may be attributable to an increase in postoperative cardiac output due to changes in ventricular septal configuration. The benefits of ASD closure in patients with BPD are undetermined.

Update of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 Shim, Gyu-H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9호
    • /
    • pp.273-281
    • /
    • 2017
  • To date,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after birth have been managed with a combin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surfactant instill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It is now recognized that noninvasive ventilation (NIV) such as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in preterm infants is a reasonable alternative to elective intubation after birth. Recently, a meta-analysis of large controlled trials comparing conventional methods and nasal CPAP suggested that CPAP decreased the risk of the combined outcom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or death. Since then, the use of NIV as primary therapy for preterm infants has increased, but when and how to give exogenous surfactant remains unclear. Overcoming this problem, minimally invasive surfactant therapy (MIST) allows spontaneously breathing neonates to remain on CPAP in the first week after birth. MIST has included administration of exogenous surfactant by intrapharyngeal instillation, nebulization, a laryngeal mask, and a thin catheter. In recent clinical trials, surfactant delivery via a thin catheter was found to reduce the need for subsequent endotracheal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and improves short-term respiratory outcomes. There is also growing evidence for MIST as an alternative to the INSURE (intubation-surfactant-extubation) procedure in spontaneously breathing preterm infants with RDS. In conclusion, MIST is gentle, safe, feasible, and effective in preterm infants, and is widely used for surfactant administration with noninvasive respiratory support by neonatologist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resolve uncertainties in the MIST method, including infant selection, optimal surfactant dosage and administration method, and need for sedation.

Assay of Nifedipine in the Plasma from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 Oh, Doo-Man;Johnson, Cary E.;Yong, Chul-Soon;Choi, Yoon-Soo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4권3호spc1호
    • /
    • pp.1-9
    • /
    • 1994
  • In order to assay the human plasma concentration of nifedipine in patients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and pulmonary hypertension, a modified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ethod was applied. The retention times for nifedipine and an internal standard (11-ketoprogesterone) were $10.5\;{\pm}\;0.41$ and $13.1\;{\pm}\;0.63$ min, respectively. Absolute recovery from the plasma was $102.9\;{\pm}\;7.07%$. Reproducibility was excellent and variability between the runs was small. There was a negligible degradation during the assay procedure. The calibration curve shows a good linearity in the range of the desired plasma concentrations of nifedipine. A stability test of nifedipine in the human plasma shows 8 and 13% degradation during the storage of 5 and 9 months, respectively. There were no interferences on the HPLC assay with any possible medications for the BPD. The method has been used to monitor the drug concentrations in a patient. The concentration-time curve of a patient after a single oral dose of 0.3 mg/kg shows a double-peak phenomenon th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port, suggesting non-bolus administration. However the hemodynamic responses were corresponding to the plasma concentration levels of nifedipine.

  • PDF

An update on necrotizing enterocolitis: pathogenesis and preventive strategies

  • Lee, Jang-H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9호
    • /
    • pp.368-372
    • /
    • 2011
  •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is one of the most critical morbidities in preterm infants. The incidence of NEC is 7% in very-low-birthweight infants, and its mortality is 15 to 30%. Infants who survive NEC have various complications, such as nosocomial infection, malnutrition, growth failure, bronchopulmonary dysplasia, retinopathy of prematurity, and neurodevelopmental delays. The most important etiology in the pathogenesis of NEC is structural and immunological intestinal immaturity. In preterm infants with immature gastrointestinal tracts, development of NEC may b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colonization with pathogenic bacteria, secondary ischemia, genetic polymorphisms conferring NEC susceptibility, anemia with red blood cell transfusion, and sensitization to cow milk proteins. To date, a variety of preventive strategies has been accepted or attempted in clinical practice with regard to the pathogenesis of NEC. These strategies include the use of breast feeding, various feeding strategies, probiotics, prebiotics, glutamine and arginine, and lactoferrin.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breast feeding and the use of probiotics in infants with birth weights above 1,000 g, and these strategies are commonly used in clinical practice. Other preventive strategies, however, require further research to establish their effect on N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