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casting device

검색결과 550건 처리시간 0.025초

HDD를 이용한 저장ㆍ재생기의 구현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그래밍 (The Implementation of Recording and Replaying System and Its Device Driver Programming)

  • 최효정;이중호;김대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통신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82-385
    • /
    • 2003
  • Introduction of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does not only mean the chang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but also the change of total broadcasting system. In past day, Television was only received one-sided information from broadcasting station, but digital broadcasting means that digital television become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information transmission by the introduction of new programming, lots of channels, data service, multi communication. In the ag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the recording and replay medium's interest is getting higher. The medium is able to record more than 24 hours' digital broadcasting programs without additional tapes. In this paper the recording and replay device using HDD was implemented and device driver based on linux was programmed. It has Intel PXA250 processor and hard disk is used as storage equipment. And transport Stream is saved on hard disk through PXA250's data bus. FIFO is added to solve the different saving speed and FPGA is also added to display the saved data.

  • PDF

분산형 전관방송 시스템의 이중화 운영 방법 (Redundancy operation method for a distributed public address system)

  • 류태하;김승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47-53
    • /
    • 2020
  • 전관 방송 시스템에서 장비 노후화나 건물 공사 시 작업자의 실수 등의 원인으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 방송이 불가능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도 방송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방송 서비스는 메인 방송 장치를 사용하여 작동하며, 로컬 방송 장치는 로컬 지역에서만 별도로 작동한다. 메인 방송 장치가 작동 불가능하게 되면, 메인 컨트롤러에 의해 백업 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로컬 방송 장치 중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장치를 활성화시킨다. 본 논문은 기존의 비상 방송 장치 이중화 방법보다 개선 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방식은 정상 상태에서 대기 장비를 사용할 수 없었으나 제안 된 방법에서는 대기 장비를 정상 상태에서 로컬 방송 장비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은 값 비싼 장치의 중복 구성으로 인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다.

Novel Hybrid Content Synchronization Scheme for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s

  • Kim, Soonchoul;Choi, Bumsuk;Jeong, Youngho;Hong, Jinwoo;Kim, Kyuheon
    • ETRI Journal
    • /
    • 제36권5호
    • /
    • pp.791-798
    • /
    • 2014
  • As a new hybrid broadcasting service, augmented broadcasting shows enhanced broadcasting content on a large TV screen, while augmented reality (AR) on a mobile device augments additional graphical content onto an input image from the device's own camera to provide useful and convenient information for users. A one-sided broadcasting service using AR has already been attempted in virtual advertisements during sport broadcasts. However, because its augmentation is preprocessed before the video image is transmitted, the viewer at home may have no influence on this formation; and no interaction for the user is possible unless the viewer has a direct connection to the content provider. Augmented broadcasting technology enables viewers to watch mixed broadcasting content only when they want such service and to watch original broadcasting content when they do not. To realize an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o resolve the hybrid content synchronization over heterogeneous broadcast and broadband network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hybrid content synchronization scheme for an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and presents its implementation and results in a terrestrial DTV environment.

Development of Scent Display and Its Authoring Tool

  • Kim, Jeong Do;Choi, Ji Hoon;Lim, Seung Ju;Park, Sung Dae;Kim, Jung Ju;Ahn, Chung Hyun
    • ETRI Journal
    • /
    • 제37권1호
    • /
    • pp.88-9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authoring tool and a corresponding device for an olfactory display that can augment the immersion and reality in broadcasting services. The developed authoring tool allows an olfactory display to be properly synchronized with the existing video service by applying the standardized format using ISO/IEC 23005 (MPEG-V) and the corresponding developed scent display device. To propose the proper data format for the olfactory display, we have analyzed both the multimodal combination and the cross-modality related to the olfactory display.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erived a set of olfactory parameters for the olfactory display that are related to emotion. The analyzed parameters related to emotion in an olfactory display are synchronization, scent intensity, scent persistence, and hedonic tone. These parameters should be controlled so that the olfactory display can be in harmony with the existing media to augment emotion. In addition, we developed a scent display device that can generate many kinds of scents and that satisfies design conditions for olfactory parameters that are for use with broadcasting services.

모바일 장치에서 DMB용 MPEG-4 컨텐츠 저작 (MPEG-4 Contents Authoring with Mobile Device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송록;김상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6호
    • /
    • pp.631-636
    • /
    • 2005
  • DMB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나날이 증가되면서 PC에서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DMB 방송을 위한 대화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저작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성을 감안하여 단독저작뿐만 아니라 여러 클라이언트들과의 공동 저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DMB 방송 중에서 BIFS 정보에 대한 디코딩 시간으로 인한 지연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동적인 BIFS 정보 생성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개발 결과를 보인다.

제한수신 기능 기반 T-DMB 시스템 (T-DMB System Based on Limited Reception Function)

  • 이종원;강인식;유대상;김종문;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57-962
    • /
    • 2016
  • 현재 지상파 이동 멀티미디어방송(T-DMB)은 국지적인 재난경보 방송을 실시하거나 다양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그러나 전파 음영 지역에는 시설 투자의 한계로 인해 서비스가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T-DMB 시청이 불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들도 있기에 T-DMB는 제한된 지역과 모바일 디바이스들만 시청할 수 있는 방송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T-DMB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T-DMB 방송을 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로 재전송해주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T-DMB 수신이 불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도 방송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으며 제한수신 기능을 통한 단방향/양방향 인증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에 한해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디지털방송의 꽃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Flower of Digital Broadcasting DMB)

  • 차환주
    • 기술사
    • /
    • 제38권3호
    • /
    • pp.6-12
    • /
    • 2005
  •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was started, DMB enables people on the move to enjoy seamless video streaming, theater-quality audio and data through a hand-held digital device much like a handset or an in-car terminal. Realization of any-time, any-where, any-device, any-one DMB Service is needed for the government effective policy, Technical R&D and Standization, Corporate investment.

  • PDF

IoT Device Testing for Efficient IoT Device Framework

  • Gong, Dong-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2호
    • /
    • pp.77-82
    • /
    • 2020
  • IoT devices frequently require input resources to communicate with various sensors or IoT platforms. IoT device wastes a lot of time as idle time or waiting time to check the data of the input resource and use the input resource. In addition, IoT devices use various input resources. We compares and analyzes input idle time and input waiting time generated from hardware serial input resource, software serial input resource, digital port input resource, and analog port input resource using Arduino widely used as IoT device. In order to design the IoT device framework,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put resources and to design them to minimize unnecessary input idle time and input waiting time. The analog input wait time has a much larger input wait time than the digital input wait time, so it must be designed to receive analog information periodically at the appropriate tim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resources analyzed in this way help to design an efficient IoT device.

COFDM 전송기술을 이용한 Wireless 카메라영상 전송시스템 연구 (A Wireless Camera Image Transmission System)

  • 김준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89-96
    • /
    • 2010
  • 본 논문은 방송현장에서 TV중계차와 EFP카메라 또는 ENG카메라간의 카메라 케이블 연결이 방송프로그램 제작시 여러가지 장애물과 거리에 한계가 있어 자유로운 카메라 촬영활동에 불편을 주고 있는바, DVB-T방송에서 사용하는 무선영상 전송장치와 수신장비를 제작하여 본 연구에 응용하는 사례로, 야외는 물론 실내에서도 카메라 촬영활동이 자유스러운 "Wireless 카메라 영상전송 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접근이 용이한 아날로그 콤포지트 영상신호 출력을 갖는 카메라와 이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MPEG-2시스템, COFDM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영상전송시스템으로 제작실험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영상 및 전송장치에 대하여 양호한 QoS값을 얻게 되었으며, 본 실험을 통해 TV방송제작 현장의 활용은 물론, 무선 CCTV 장치산업의 적용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되었다.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적 다운로드를 지원하는 리턴 채널 활용 기법 (A Scheme for Return Channel Utilization for Efficient Download of Data Broadcasting Applications)

  • 강승미;선승상;엄영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7호
    • /
    • pp.1047-1056
    • /
    • 2005
  • 기존 데이터 방송 시스템은 수신 단말이 완전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획득하지 못한 경우 반복적으로 방송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전체를 다운로드하는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이 방식은 다운로드 시간이 길어지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은 리턴 채널을 활용하여 누락된 방송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비교 성능 평가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