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vibacterium sp.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5초

바이칼 호수에 서식하는 담수 스폰지 내 공생세균의 분리 (Isolation of Bacteria Associated with Fresh Sponges in Lake Baikal)

  • 조안나;김주영;안태석
    • 생태와환경
    • /
    • 제47권spc호
    • /
    • pp.39-47
    • /
    • 2014
  • 바이칼호에 서식하는 2종의 스폰지 체내 및 주변 물로부터 92개의 저온성 균주를 분리하고 각 균주들의 기질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섬유소와 지방에 대한 분해 활성도를 갖는 균주는 38.0, 34.8%로 비교적 적었으나 전분과 단백질 분해 활성도를 갖는 균주는 78.3, 57.6%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분리한 세균을 염기서열의 유사도에 따라 분류하기 위하여 Genomic Fingerprinting을 실시한 후 31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Baikalospongia sp.에서 분리한 13균주는 모두 Pseudomonas속으로 확인된 반면, Lubomirskia sp.에서 분리한 14균주는 Pseudomonas ssp., Buttiauxella agrestis, Pseudomonas fluorescens, Yersinia ruckeri, Bacillus ssp., Paenibacillus ssp., Bacillus thuringiensis, Bacillus simplex, Brevibacterium ssp., Acinetobacter lwoffii로 다양하게 동정되었다. 그러나 총 31개 균주 중 18개가 Pseudomonas속으로 동정된 것은 타감작용에 의한 다른 세균 성장의 방해 때문으로 평가되며, 이러한 일반적인 배양 방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스폰지의 서식처와 세균의 검출 방법에 대하여 보다 다양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3. 저염정어리젓의 미생물상의 변화 (Studio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3.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Fermentation of Low Salted Sardine)

  • 차용준;정수열;하재호;정인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5
    • /
    • 1983
  • 식염 $8\%$$10\%$에 에틸알코올 $6\%$, sorbitol $6\%$, 젖산 $0.5\%$를 첨가하여 담근 저염정어리젓의 숙성중의 미생물상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숙성기간중의 수분함량은 식염을 $20\%$ 첨가한 대조시료의 경우, 숙성 20일 경에 $57.2\%$에서 숙성 80일경에 $62.8\%$로 증가하였으며, 식염을 $8\%$$10\%$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63\%$ 내의로 큰 변화는 없었고 pH는 전시료 모두 다 6.0 부근이었다. 2. 식염농도 $8\%$$10\%$ 정어리젓의 경우, 숙성기간중 식염농도 $20\%$의 정어리젓 보다 생균수가 적은 이유는 알코올, sorbitol, 젖산첨가에 의한 미생물생육억제효과라 생각된다. 3. 정어리젓 숙성중에 분리동정된 균은 Bevibacterium marinopiscosum,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sp., Halobacterium sp., Pseudomonas sp., Flavobacterium marinovirosum, Pediococcus cerevisiae의 7종의 세균과 1종의 효모인 Torulopsis sp.으로 추정되었으며, 숙성초기에 Brevibacterium, Pseudomonas, Flavobacterium, Baciilus 속의 균이 분리되었으나 숙성후기에는 대조시료에서는 Halo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 및 Torulopsis 속의 균이 분리되었고, 식염을 $10\%$$8\%$를 첨가한 저염정어리젓에서는 Brevibacterium, Micrococcus, Pediococcus 속의 균이 분리되었다.

  • PDF

발효에 의한 라이신(L-lysine) 생산에 관한 연구(1) -라이신 생산균주의 분리 및 라이신 생산조건의 검토-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lysine by fermentation process (1) -Isolation of lysine producing microorganisms and cultural conditions of lysine accumulation-)

  • 민태익;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8-77
    • /
    • 1971
  •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토양을 비롯한 기타 시료로부터 배양액중에 lysine을 생산 축적하는 미생물 94주를 분리하여 이를 다시 비교 검토함으로써 lysine생산이 2 mg/ml 이상인 균주 6주를 선정하고 균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Micrococcus 속 1주, Corynebacterium 속 3주, Brevibacterium 속 2주였다. Corynebacterium sp. 1주 (S-27-12)에 대한 합성 배지에서의 lysine 축적조건을 검토한 결과 glucose 7.5%, urea 0.6%, $KH_2PO_4\;0.2%$, $Na_2HPO_4\;0.05%$, $MgSO_4{\cdot}7H_2O\;0.03%$, $MnSO_4{\cdot}4H_2O\;0.001%$, $FeSO_4{\cdot}7H_2O\;0.0005%$, pH 7.2가 최적이었으며 이 때의 lysine 생산량은 4mg/ml 정도였다.

  • PDF

젓갈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표준화에 관한 고찰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Fermented Fish Product)

  • 허성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85-891
    • /
    • 1996
  • 전통발효 식품인 멸치 젓갈은 영양적 특성과 우수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한국적인 식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미식품 중의 하나이다. 멸치젓갈은 원료와 제조 기법상에 있어서 위생학적인 안정성과 함께 개선해야 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멸치 젓갈의 숙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상과 미생물의 분리 방법 그리고 최종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추진해야 할 연구 방향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멸치젓갈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세균속에서는 Bacillus sp., Pseudomonas sp., Pediococus sp. 및 Micrococcus sp. 등의 균속이 우세하며, 그 외 Vibrio sp., Clostridium sp., Serratia sp., Achromobacter sp., Streptococcus sp., Brevibacterium sp., Halobacterrium sp., Flavobacterium sp., Corynebacterium sp., Acinetobacter sp., Sarcina sp.와 Staphylococcus sp. 등이, 효모균속에서는 Torulopsis sp. 및 Saccharomyces sp. 등이 분리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젓갈 제조 공정의 과학화와 제품의 균일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복합 미생물 중 우수균주를 유전자 조작으로 개량시켜 발효 및 숙성 기간의 단축과 동시에 최종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품질표준화를 위해서는 유용미 생물을 탐색하여 다양한 제품 개발과 아울러 최종제품의 상품성을 유지 할 수 있는 위생학적인 관리로써 유통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빙초산을 탄소원으로 한 글루타민산 생성에 관한 연구 (On the Production of L-Glautamic Acid from Acetate by Some Microbes)

  • 유영진;박계인;김기주;한덕봉;김요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9-62
    • /
    • 1973
  • Bacterium strain, K-173-10, which was isolated from waste soil of Korean brewing factories, could grow on acetate as the sole carbone source and accumulate a considerable amount of L-glutamic acid (24g/l) in the liguid culture medium. This strain was named by Brevibacterium ammoniagenes sp. by the standard method of taxonomy procedures given in the Manual of Microbiogical Methods.

  • PDF

초산을 이용한 글루타민산의 발효생산에 관한 연구 (제2보) 글루타민산 생성을 위한 발효조건 (Studies on the Bacterial Production of L-Glutamate from Acetate Part II. Cultural Conditon)

  • 하덕모;노완섭;서동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41-147
    • /
    • 1974
  • 초산으로 부터의 글루타민산 발효생성을 목적으로 Brevibacterium flavum nov. sp. D2209B 균주를 이용한 발효조건에 관하여 시험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산농도는 배지 l 당 30g 하일 때 L-GA생성이 좋았다. 2. KH$_2$PO$_4$, MgSO$_4$, FeCl$_3$, MnC1$_2$ 및 NaCl 등의 무기염류의 침가는 L-GA 생성을 위하여 필수적이며 이들 무기염의 농도차에 의한 현저한 영향은 볼 수 없었다. 3. Biotin의 농도는 l당 0.3r 이하의 한정된 범위에서 L-GA 생성이 가장 좋았다. 4. L-GA 생성을 위한 최적온도는 3$0^{\circ}C$이며 최적 pH는 7.5~8.5 였다 5. Succinic acid와 malic acid의 첨가로 L-GA 생성은 증가되었다. 6. 배양도중에 있어서의 penicillin 첨가는 L-GA생성을 촉진하며 발효 16시간째 배지 l당 20 unit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였다. 7. 전배양시간은 16~20시간 배양이 가장 적당하였다.

  • PDF

Brevibacterium sp.에 의한 L-leucine의 생산에 관한 연구

  • 정병하;황두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6.3-96
    • /
    • 1978
  • Biotin 요구성 glutamic acid 생산능을 가진 Br-evibacterium sp.의 isoleucine 영양요구성 변이주가 다량의 L-leucine을 생성함을 발견하였다. 본균주에 관한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 vitamin, amino acid 등의 영양물질과 온도, 공기주입량, pH등에 관한 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균주는 탄소원, 질소원으로서 10% glucose와 4% $(NH_4)_2SO_4를$ 공합하여 $30^{\circ}C,$ 88시간 배양시킨 결과, 액중에 21 mg/ml의 L-leucine이 축적되었다. Fe$^{2+}$$Mn^{2+}$의 동시첨가는 L-leucine생성에 효과적이었으며 thiamine 역시 L-leucine 생성에 효과적이었다. 30ι jar fermentor 에서 폐당밀을 주원료로 한 실험결과, 폐당밀, $(NH_4)/SO_4,$ $KH_2PO_4,$ $MgSO_4ㆍ7H_2O로$ 구성된 액체배지에서 $30^{\circ}C,$ 36시간 배양시킨 것이, 27mg/ml의 L-leucine이 축적되었으며 이때의 대당수율은 16%이었다.

  • PDF

발효에 의한 라이신(L-Lysine) 생산에 관한 연구 (2) -영양요구성 변이주에 의한 Lysine 생산-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Lysine by Fermentation Process (2) -Lysine Production by Auxotrophs-)

  • 민태익;김항묵;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3-133
    • /
    • 1972
  • 전보에서 분리 확보한 lysine 생산균주 Corynebacterium sp. S-27-12와 Brevibacterium flavum ATCC 15168 및 Micrococcus glutamicus ATCC 13032를 친주로 하여 자외선, $Co^{60}$및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treatment를 처리, 90여주의 변이주를 분리하고 이들의 lysine 생산능을 비교하여 lysine 생산이 8mg/ml 이상인 균주 6주를 선정하였다. 이들 중 leucine 요구주 Brev. flavum U46-N59의 lysine 축적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종합하여 포도당 100, urea 10, CSL 40, $KH_2PO_4\;2;\;K_2HPO_4,\;0.5;\;MgSO_4.\;7H_2O,\;0.4;\;antifoam\;S-57,\;1g;\;Fe_2(SO_4)_3.XH-2O,\;10;\;MnCl_2,\;4H_2O,\;10mg;\;biotin,\;30;\;thiamine-HCl,\;100{\mu}g;$ 증류수 1 l로 된 pH7.5의 합성배지에 Brev. flavum U46-N59를 $28^{\circ}C$에서 4일간 플라스크(20ml/500ml)에 진탕배양했을때(180진탕/분) 최대로 21.6mg/ml의 lysine을 생산하였다. Penicilin은 40U/ml의 농도가 되도록 배양 36시간 후에 첨가하였다.

  • PDF

식물병원성 진균을 억제하는 근권세균의 항진균능과 식물생장촉진능 (Antifungal Activ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by Rhizobacteria Inhibiting Growth of Plant Pathogenic Fungi)

  • 정택경;김지현;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6-21
    • /
    • 2012
  • 여러 식물의 근권에서 세균 균주들을 분리하여 이들의 항진균성 물질 생성능을 조사하였다. 분리균주 중 Fusarium oxysproum을 포함한 5가지 주요 식물병원성 진균에 대한 생장저해가 우수한 7개 균주를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Paenibacillus peoriae RhAn32, Pseudomonas otitidis TK1과 Bacillus cereus TK2가 가장 넓은 생장 저해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항진균성 물질 중 siderophore 생성능은 P. otitidis TK1이 3.21 mM/ml로 가장 높았고 HCN은 Pseudomonas koreensis Rh2와 Rh7 균주만이 생성하였으며 Brevibacterium frigoritolerans EnA9와 P. peoriae RhAn32는 각각 1558.9와 $1436.7{\mu}M$ glucose/min/mg protein의 높은 chitin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P. otitidis TK1과 P. peoriae RhAn32의 항진균능을 진균과의 공동배양을 통해 정량분석한 결과 세 종류의 Fusarium oxysproum의 생장을 유의성 있게 저해하였다. P. otitidis TK1은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auxin의 생성능도 가장 높았는데 이 균주를 4주 자란 토마토 유묘에 F. oxysporum f. sp. lycopersici와 동시에 접종하여 8주간 재배하였을 때 줄기와 뿌리 길이 및 습윤 중량이 비접종 대조군에 비해 각각 45.7, 64.9와 118%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 균주들은 유기합성농약을 대체하면서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미생물제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hemically Modified Sepharose as Support for the Immobilization of Cholesterol Oxidase

  • Yang, Hailin;Chen, Yi;Xin, Yu;Zhang, Ling;Zhang, Yuran;Wang, W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9호
    • /
    • pp.1212-1220
    • /
    • 2013
  • Because the cholesterol oxidase from Brevibacterium sp. M201008 was not as stable as the free enzyme form, it had been covalently immobilized onto chemically modified Sepharose particles via N-ethyl-N'-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The optimum immobilization conditions were determined, and the immobilized enzyme activity obtained was 12.01 U/g Sepharose-ethylenediamine. The immobilization of the enzyme was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he immobilized enzyme exhibited the maximal activity at $35^{\circ}C$ and pH 7.5, which was unchanged compared with the free form. After being repeatedly used 20 times, the immobilized enzyme retained more than 40.43% of its original activity. The immobilized enzyme showed better operational stability, including wider thermal and pH ranges, and retained 62.87% activity after 20 days of storage at $4^{\circ}C$, which was longer than the free enzy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