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ch Library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17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분관 운영체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Branch System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이용남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53-372
    • /
    • 2006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분관 운영체제에 대한 설문조사와 주요지역 사례 조사를 통해 분관 체제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성 증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분관의 담당 업무는 대체적으로 타당한 편이나. 분관의 유형에 대한 구분과 이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이 시급하며, 그 유형에 따라 공립문고와 이동도서관도 개념에 포함시켜 공공도서관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공공도서관 분관은 기초자치단체 행정구역 단위로 운영하되 중앙관-분관-이동도서관-공립문고-순회문고로 시스템화하구 민간단체가 운영 주체인 새마을이동도서관이나 사립문고는 분관과 연계 운영하는 방안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도교육청 소관의 분관은 기능 위주가 아니라 구조조정 목적으로 이루어져 왜곡 운영되고 있는 바, 시정이 필요하다.

보존도서관으로서의 규장외각 연구 (A study on the Branch library of Kyujang-gak at Kanghwa Magistracy as a deposit library)

  • 배현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7-117
    • /
    • 2004
  • 광복 후 우리나라 도서관계는 장서의 확충에만 급급하였다. 결과로 20세기 말에 들어와서는 서적을 보존할 공간이 협소하게 되었다. 장서 보존에 있어 중요한 요소의 하나는 자료를 수장할 공간이다. 따라서 도서관계의 중대한 관심사의 하나는 공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존도서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차원의 보존도서관을 설립해야 하는데, 보존이란 '보존' '보호', '복원'의 개념으로 나누어 정의되고 있다. 열람이 주목적이 아닌 자료를 보존하기 위한 도서관은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고려시대부터 비롯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외사고와 규장각의 규장외각에 계승되었다. 본고는 조선 정조년간에 설치된 규장외각의 설치, 보존도서관으로서 문헌의 '보존', '보호', '복원' 활동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 PDF

국가도서관 지역분관 건립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ranch Establishment Planning of National Library)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1-34
    • /
    • 2006
  •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국가도서관은 정부가 설립 운영하는 국립도서관으로서, 자국에서 생산 유통되는 모든 유형의 정보자료를 수집 보존하여 당대의 국민에게 제공하고. 완벽하게 전수하여 후대의 접근과 이용을 보장해야 하는 책무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문화선진국은 석러 지역에 위치하는 분산형 국가도서관시스템을 운영하는데 비하여 한국은 서울중심의 완전 집중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집중형 국가도서관 시스템을 집중-분산형으로 재편하기 위한 논거를 도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국립 지역분관 건립을 위한 중장기기본계획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조직구조의 개선모형연구 (An Improved Model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397-441
    • /
    • 1992
  •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improved model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 small scale library serving to a population of less than 15,000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50-60 persons, 3 departments and 10-13 sections (3 departments and 9-12 sections of central library + 1 section of branch library) 2. A medium scale library serving to 15,000-25,000 population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80-120 persons, an associate librarian, 5-6 departments and 18-21 sections (4-5 departments and 15-18 sections of central library + 1 department and 3 sections of branch library) 3. A large scale library serving to a population of over 25,000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140-170 persons, an associate librarian, 7-8 departments and 25-28 sections (5-6 department and 20-21 sections of central library + 2 departments and 6 sections of branch libraries)

  • PDF

대구시 공공도서관 분관 봉사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대구권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모형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6권
    • /
    • pp.105-140
    • /
    • 1979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esent a model of the effective service area for branch library system planning in Dae Gu city as one of large urban public libraries in Korea. This model is built up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tructure, based on the standard for the branch library system of a public librar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is country, each radius of the effective service area for branch libraries are as follows; $1{\sim}1.5km$. is adequate for the central library and major branches; 1km. for neighborhood branches; $0.5{\sim}0.8km$. for sub-branches. 2. Population within the radius of the effective service area of a given branch may range from 80,000 to 100,000 for major branches, from 50,000 to 60,000 for neighborhood branches, and from 20,000 to 30,000 for sub-branches. 3. The radius of the outer boundary for the effective service area may be between 4km. and 5km. from the heart of the city, and the inner boundary, 13.km. 4. Areas with the radius between 2km. and 3km. from the heart of the city may be selected as the most effective locations for branch libraries, and between 3km. and 4km. as the next priority. 5. The number of service areas may be 14, that is, 7 major branches(Sinam, Sinchun, Susung, Daemyung, Naedang, Dalsung, Rowon), 2 neighborhood branches (Pyungri, Nambu), and 5 sub-branches(Chimsan, Sangiuk, Bongduk, Hyomok, Dongchon)

  • PDF

대학도서관 분관의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Use of the Branch Library of University Libraries)

  • 이승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31-256
    • /
    • 1997
  • 대학도서관의 분관설치는 이용자들에게 봉사의 편의를 제공하고 이용자들의 장서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이용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한국 대학도서관에 설치된 분관들이 현재 어떤 상태이며 소기의 목적을 성취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밝히기 위해 한국 대학도서관 분관들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분관의 설치로 이용율의 증가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한국의 대학도서관의 분관을 설립하는데 있어서 보편적인 경향을 확인하는 것과 (2) 분관이 대학도서관 전체 이용율에 끼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도서관장서규모와 학생수, 대학의 역사, 학과수, 중앙도서관의 면적, 도서관 예산과 분관과 상호관련성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6개 분간을 가진 2개 도서관. 3개의 분관을 설치한 2개의 대학도서관, 분관이 없는 2개 대학도서관등 6개의 대학도서관들을 선택하여 조사하였다.

  • PDF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건립 방향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Branch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곽동철;심경;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7-8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건립의 논리적, 법적 근거 및 지금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 분관 건립(안)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현황에 보다 적합한 분관 건립을 위해 지향할 바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을 "또 다른 대규모 공공도서관"과 동일시하거나 "지역균형"이라는 단순한 지역안배 차원의 논리에 기반하여 건립해서는 안되며, 국가차원의 기록문화유산 보존 및 지식강국화를 달성하기 위해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의 역할 재정립 및 국가 전체의 도서관 체제 발전을 위한 선도적 역할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 지향점으로는 첫째, 국립중앙도서관 정체성 확립 및 기능의 강화,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직접적 대국민 서비스 강화, 셋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지식격차 해소 기능 분담 및 특성화를 담당할 것을 제안하였다.

브랜치 도서관디자인의 공공성 표현에 관한 연구 - 미국 마리코파 카운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the Publicness on Public Branch Library Design - Focus on the Maricopa County, USA -)

  • 손광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71-279
    • /
    • 2012
  • Among the community-based cultural facilities, public libraries are places for social and educational purpose that improve the education of the resident, the expansion of the basic cultural educa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bers of society, and the accumulations and preservations of the culture. Public libraries should be a local cultural facility that expresses the value of a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sign expression of publicness in a public branch library as a community-based cultural space through the study of branch library in the U.S. This study focused on the most future-oriented and innovative Ten New Landmark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selected by Library Journal magazine in 2011. Among the selected libraries, three branch libraries which belongs Arizona Maricopa County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tes of the branch libraries vary geographically, but the libraries increase accessibility are caused by unique appearances and design concept of intellectual interest. Second, the floor plan shows the separation of meeting rooms and faculty space from the public space and has visual and spatial open space by high ceiling of the reading room. Third, multi-functional public space for residents are meeting rooms, the external patios for reading, galleries, cafes, libraries-shops which provides a variety of cultural programs, activities, and the opportunity to socialize neighbors. Fourth, branch Libraries have unique designs that harmonizes with nearby places to reflect locality, giving the locals a sense of pride in their community. Fifth, concrete brick and metal panel were used as finishing material for the practicality of maintenance. In particular, transparent glass envelope allows the locals to stay for long time due to openness and brightness of space.

  • PDF

공공도서관 조직구조에 관한 이론적 고찰-법규적 측면에서 본 이론적 모형 (A study on the Organization Structrre for Pubilic Libraries in Korea)

  • 손정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권
    • /
    • pp.33-65
    • /
    • 1978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present a model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for public libraries based on Standard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A library serving $50,000{\sim}80,000$ population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4 persons and a part-time typist without actual departments. (2) A library serving $100,000{\sim}150,000$ population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10 persons without actual departments. (3) A library serving $400,000{\sim}500,000$ population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33 persons. $4{\sim}5$ sections and 2 branch libraries leveled with a section. (4) A library serving $900,000{\sim}1,000,000$ population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62{\sim}66$ persons, an associate librarian, $4{\sim}5$ departments, $9{\sim}10$ sections and $4{\sim}5$ branch libraries leveled with a section. (5) A library serving $1,400,000{\sim}1,500,000$ population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95 persons, an associate librarian, $5{\sim}6$ departments, $13{\sim}16$ sections, $6{\sim}8$ branch libraries leveled with a section and a full-time person taking charge of publicity. (6) A library serving $1,900,000{\sim}2,000,000$ population should be organized with a staff of 124 persons, 2 associate librarians, $7{\sim}8$ departments, 14 sections, 4 separate rooms without actual departments and $9{\sim}11$ branch libraries leveled with a section.

  • PDF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의 중.장기 건립 방안 연구 (A Research on the Medium- and Long-Term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Branch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곽동철;심경;윤정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135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도서관 상황에 가장 적합하다고 보이는 미래지향적 국립중앙도서관 분관의 중 장기 건립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건립(안)에 대한 대안으로서 "양극-다기화" 체제를 제안하였다. 이는 우선 하나의 직할 분관 건립에 주력하여 국가도서관 체제의 양축을 구성하고, 장기적으로 필요시 복수의 분야별 국립도서관을 건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시발점으로 한 국가도서관 발전체제 구축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직할 분관, 분야별 국립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의 협력 체제 확립과 국가 차원의 전국적 도서관서비스의 연계 협력 모형 구축 및 중 장기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유지하고, 둘째, 실질적인 예산 확보 및 제반 정책적 지원 방안 강구하며, 셋째, 국내 도서관들 간 지역별 도서관 협력체계의 국가적 차원 연계 및 각급 도서관의 역할 정립을 지원하고, 넷째, 국가의 지속가능한 도서관 발전정책의 방향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