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 calcific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6초

Central, Extraventricular and Atypical Neurocytomas: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35 Cases from Pakistan Plus a Detailed Review of the Published Literature

  • Ahmad, Zubair;Din, Nasir Ud;Memon, Aisha;Tariq, Mohammad Usman;Idrees, Romana;Hasan, Shee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565-1570
    • /
    • 2016
  • Background: Central neurocytomas are rare neuronal neoplasms with a favorable prognosis. They are typically located in the lateral ventricles of the brain and mostly histologically correspond to WHO grade II with a Mib 1 labelling index of <2%. Similar tumors located in the cerebral hemispheres and spinal cord, for example, are called "extraventricular neurocytomas". A few tumors histologically show atypia, mitoses, vascular proliferation and/or necrosis and a Mib 1 index >2 % and are designated as "atypical neurocytomas. Aim: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scribe the common as well as unusual morphologic features and the role of various immunohistochemical stains in the diagnosis of these rar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ieved and reviewed 35 cases diagnosed between 2001 and 2015. Results: Sixty percent of patients were males, and the mean age was 26 years. 31 cases (88.6%) were intraventricular and 4(11.4%) were extraventricular. Histologically, 6 cases (17.1%) were compatible with "atypical neurocytomas". All cases showed the classic morphology comprising nests and sheets of uniform, round cells with uniform round to oval nuclei with finely speckled chromatin and perinuclear cytoplasmic clearing (halos). All cases also showed delicate, fibrillary, neuropil-like matrices. Other common histologic features included capillary-sized blood vessels in a branching pattern in 57.1%, foci of calcification in 34.3% and perivascular pseudorosettes in 20%. Rare findings included Homer-Wright or true rosettes in 8.6% and ganglioid cells in 2.9%. Synaptophysin was the most consistent and valuable marker, being positive in almost all cases. GFAP positivity in tumor cells was seen in 25.7% of cases. Follow up was available in 13 patients. Of these 9 had histologically typical and 4 had atypical tumors. Only 1 (with an atypical neurocytoma) died, probably due to complications of surgery within one month, while 12 (including 3 with atypical neurocytomas) remained alive. Recurrence developed in 1 of these 12 patients (histologically consistent with typical morphology) almost 9 years after surgery. Only 4 patients, including 2 with atypical tumors,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ll with surgery in 2010 or later. Overall, prognosis was excellent with prolonged, recurrence free survival and most patients, even without receiving radiation therapy, were alive and well for many years, even a decade or more after surgery, without developing any recurrence, indicating the benign nature of these neoplasms.

관상동맥 우회수술후 신경계 합병증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of Neurologic Complications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박계현;채헌;박충규;전태국;박표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9호
    • /
    • pp.790-798
    • /
    • 1999
  • 배경: 최근 관상동맥 우회수술의 조기 성적이 향상됨에 따라 뇌 경색을 비롯한 신경계 합병증이 수술 후 경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합병증으로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에 발생하는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양상을 분석하고 그 위험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우회수술을 시행받은 3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여부와 형태,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신경계 합병증은 새로운 뇌 경색이 확진된 경우와 수술후 의식 및 지남력의 완전한 회복이 24시간 이상 지연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중 18명(5.1%)에서 신경계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그 중 뇌 경색이 확진된 환자는 9명(2.6%)이었다. 운동마비를 동반한 뇌 경색이 4명에서 발생하였고 4명은 정신 지체나 지남력 장애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뇌사 판정을 받은 환자가 1명 있었다. 나머지 9명은 뇌 경색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의식 및 지남력의 완전 회복이 지연된 환자들이었다. 통계적 분석 결과 180분 이상의 심폐 바이패스, 수술중 상행 대동맥의 죽상경화반이 진단된 경우, 초음파 검사로 진단된 경동맥 협착, 뇌졸중이나 일과성 뇌허혈의 과거력 등이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 모두에서 의미있는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그밖에 고령(65세 이상), 흉부 단순 촬영상 대동맥의 석회화가 발견된 경우, 수술중 심근 경색 등도 단변량 분석시 의미있는 위험인자였다. 대동맥궁 삽관이나 single clamp technique 등 신경학적 합병증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던 수술 수기상의 변형은 합병증 발생 빈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동맥 협착의 정도 역시 합병증 발생 빈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관상동맥 우회수술 후의 신경계 합병증의 발생 원인은 복합적이긴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동맥계의 동맥경화성 병변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수술전 동맥경화성 병변에 대한 전신적인 평가와 함께 고위험군 환자들의 경우 적극적인 수술 수기의 변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