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rain biopsy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9초

Metastatic hepatocellular carcinoma in the maxilla and temporal bone: a rare case report

  • Cho, Juy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7권3호
    • /
    • pp.224-228
    • /
    • 2021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a common, primary malignant liver disease that usually metastasizes to the lungs, followed by the abdominal lymph nodes and brain. However, extrahepatic metastasis to the maxillofacial area is uncommon and predominates in the mandible, so HCCs in the maxilla or temporal bone from a primary hepatic lesion are extremely rare. We present a case of HCC in the maxilla and temporal bone in a 52-year-old male, which was first suspected to be a squamous cell carcinoma after computed tomography but was confirmed as a metastasis related to his primary HCC after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followed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가성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이형 석회화 치험례 (A Case Report of Treatment of Heterotrophic Calcification in Pseudohypoparathyroidism)

  • 윤성원;송재용;김정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81-284
    • /
    • 2010
  • Purpose: Pseudohypoparathyroidism is a hereditary disorder characterized by symptoms and signs of hypoparathyroidism, typically in association with distinctive skeletal and developmental defects. Hypoparathyroidism is caused by a insufficient end-organ response to PTH (parathyroid hormone). Hypoparathyroidism consists of four types in which the most common form, pseudohypoparathyroidism-Ia, accompany with Albright's hereditary osteodystrophy. We experienced a case of a woman who had been suffering from calcified mass on left foot, diagnosed Albright's hereditary osteodystrophy. Methods: We present a case of a 24-year-old Korean female who visited plastic surgery department with a painful mass on dorsum of the left foot. On the physical exam, bony hard and painful mass, fixed to dermis, was noted. Plain X-ray films demonstrate suspicious calcification on subcutaneous tissue of dorsum of the left foot. The patient was diagnosed pseudohypoparathyroidism 2 years ago at the plastic surgery department. At the visiting time, the laboratory results were within normal range even though the patient actually had a disease. The reason is because the patient has been treated with Vit.D, calcium replacement therapy and thyroid hormone therapy. Moreover, the patient has been treated with anticonvulsant agents due to epilepsy. On the brain computer tomography (CT), calcification was noted on the basal ganglia and dentate nucleus. So we decided the total excision of entire mass from the left foot. Results: We excised main mass with numerous pinhead sized masses which were scattered around the main mass. The $6.0{\times}4.0{\times}0.5\;cm$ sized main mass was bony hard, and its surface was flat and margin was irregular. The permanent biopsy was confirmed that the main mass and all the scattered tiny masses were heterotopic calcification. The patient did not suffer from the pain after the mass excision. The wound has been healed without any problem. Conclusions: Heterotrophic calcification is often accompanied with pseudohypoparathyroidism, but such a huge one is uncommon. We report a case of pseudohypoparathyroidism with heterotrophic calcification developed in dorsum of left foot who was diagnosed by excisional biopsy.

뇌 신경교종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Low Grade Glioma of the Brain)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79-84
    • /
    • 2000
  • 목적 : 뇌 신경교종에 대한 방사선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최적의 방사선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6월부터 1998년 5월까지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수술후 외부 방사선 치료를 받은 72명의 뇌 신경교종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나이의 중앙값은 37세였으며 남녀비는 41명대 31명였다. 15명의 환자에서는 조직검사만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57명의 환자에서는 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 소견에 따른 환자의 분포는 성세포종 환자가 42명였으며 혼합 핍지신경교종 환자는 19명, 핍지신경교종 환자는 11명였다. 2명의 환자는 뇌전체를 조사받은후 축소조사야로 치료를 받았고 70명의 환자는 처음부터 부분 조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하루에 한 번 전통적인 방사선 분할요법으로 치료하였다. 대부분의 환자는 5000$\~$5500 cGy의 총 방사선양을 조사받았다. 결과 : 72명 전체 환자의 5년 및 7년 생존율은 61$\%$ 및 50$\%$였고 무병 생존율은 5년과 7년에서 각각53$\%$ 및 45$\%$였다. 성세포종, 혼합 핍지신경교종 및 핍지신경교종의 5년과 7년 생존율은 각각 48$\%$ 와 45$\%$, 76\$\%$ 와 55$\%$, 및 80$\%$ 와 52$\%$였다. 아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는 조직검사만을 시행한 환자와 비교하여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아절제술을 시행한 57명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7$\%$였고 조직검사만을 시행받은 15명 환자의 5년생존율은 43$\%$였다. 40세 이하 46명의 환자는 5년생존율이 69$\%$로서 41세 이상 26명의 환자에서의 5년생존율 45$\%$보다 좋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비록 환자 한명이 치료중 치료를 중단하였으나 유의한 방사선치료에 의한 급성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뇌 신경교종의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요법였다. 그러나 뇌 신경교종 환자에서 최적의 방사선 시기 및 계획을 수립하고 서로 다른 치료방침에 맞는 환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보다 잘 짜여진 선행적 임상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뇌하수체상부 배아세포종의 방사선치료 성적 (Radiation Therapy of Suprasellar Germ Cell Tumors)

  • 박우윤;최두호;최은경;김일한;하성환;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6권2호
    • /
    • pp.169-176
    • /
    • 1988
  • 1979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조사를 시행한 15명의 뇌하수체상부 배아세포종(전이송과선종) 환자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생존자의 추적기간은 $30\~91$개월이었다. 10명의 환자는 방사선치료 전 조직학적으로 진단되었으며 나머지 5명은 조직학적 진단이 없이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단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9명중 배아세포종 환자 6명은 전뇌와 척추에 3명은 전뇌 조사를 시행하였다. 혼합 배아세포종 및 종양 marker양성인 5명의 환자 중 2명은 전뇌, 그리고 1명은 원발병소 부위에만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원발병소에 $5,000\~5,500 cGy$, 전뇌에 $3,000\~4,400 cGy$ 그리고 척추에 >$1,300\~3,000 cGy$였다. 상기 그룹 14명의 환자에서 원발병소는 완전 관해 되었으며 척추실패는 관찰되지 많았다. 조직학적 진만이 없고 marker의 상승이 없었던 한 환자에서 전뇌 방사선조사를 시행하였으나 원발병소의 완전관해 없이 척추 재발이 발생하였다. 방사선치료는 뇌하수체상부 배아세포종에 유효한 치료방법이며 신경 내분비학적 양상과 함께 조직학적 진단이 불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소량의 방사선치료 후 관해정도 관찰은 이후의 치료방향설정에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역설적 반응에 의하여 동시에 결핵성 뇌농양 및 결핵성 복막염이 발생한 증례 1예 (A Case Report of Tuberculous Brain Abscess and Tuberculous Peritonitis Developing Due to Paradoxical Reactions)

  • 안태홍;박민범;이기조;정은호;김진우;서상렬;강석우;김은나;한윤주;조삼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6호
    • /
    • pp.457-462
    • /
    • 2009
  • 역설적 반응은 감수성 있는 항결핵제를 복용중인 결핵 환자에서 치료시작 당시의 병변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병변이 생기는 현상이고 이는 치료실패와 감별을 요한다. 일반적으로 역설적 반응은 기존 항결핵 치료로 좋은 결과를 보이므로, 이러한 임상 경과를 잘 이해함으로써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약제 변경 등을 하지 않고 적절히 치료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저자들은 적절한 항결핵제 치료 중에도 역설적 반응으로 결핵성 뇌농양, 결핵성 복막염이 연속적으로 병발한 환자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폐포 단백증 치료를 위한 전폐세척술 후 발생한 뇌부종 1예 (A Case of Brain Edema Complicated by Whole Lung Lavage to Treat Pulmonary Alveolar Proteinosis)

  • 문희용;김세규;신동환;이기명;장중현;곽승민;이홍렬;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58-164
    • /
    • 1994
  • 호흡곤란 및 청색증을 주소로 입원한 44세의 남자환자에서 경기관지 폐생검상 폐포내 PAS염색 양성인 인지질 축적과, 전자현미경상 적층체가 관찰되어 폐포단백증으로 진단한 환자에서 치료목적으로 전폐세척술을 시행하였으나 부작용으로 뇌부종이 발생하여 사망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였다.

  • PDF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에 대한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In Management Of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Of Central Nervous System)

  • 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33-42
    • /
    • 1994
  • 1982년부터 1991년까지 경희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원발성 중추신경계 림프종으로 확진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장 흔한 세포아형은 large, noncleaved cell과 B cell의 immunoblastic 림프종이었으며 측두엽과 심핵부위에 호발하였다. 치료는 환자를 생검 또는 절제술후 전뇌에 40 Gy(range=30-50 Gy)를 방사선 조사하였으며 원발병소에 15-20 Gy를 추가조사하였다. 16명의 환자중 14명은 방사선치료후 2개월에서 49개월 사이에 사망하였으며, 2명은 재발없이 각각 8개월과 22개월째 생존하고 있다. 1년 및 2년생존율은 각각 55.6$ \% $와 34.7$ \% $이었고, 중간 생존기간은 12개월이었다. 16명의 환자중 재발된 11명을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후 원발부위에 재발은 드물었으나 전뇌조사에서 불구하고 다른 부위에서 재발하였다. 재발율은 뇌에서 68.7$ \% $ (l1/16)이고 척추에서 25.0$ \% $(4/16)이었다. 나이, 성별 발생부위, 병소수, 방사선치료선량등은 각각 생존율과 무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중추신경계 림프종은 방사선 치료의 초기반응은 양호하나 통상적인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조절이 어려운 질환이다. 따라서 분할치료방법에 의한 방사선량 증가와 항암제의 병용으로 중추신경계 림프종에 대한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리라 기대한다.

  • PDF

비전형적 혈전성 미세병증 1례 (A Case of Atypical Thrombotic Microangiopathy)

  • 오지영;박세진;김기환;임범진;정현주;기정혜;김기혁;신재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149-153
    • /
    • 2013
  • 응고성 미세혈관병증은 빠른 진단이 예후에 중요한 인자이나, 현재의 진단 기준에 따라서는 thrombotic thrombocytopenic purpura, haemolytic uremic syndrome 외의 비전형적인 응고성 미세혈관병증의 진단이 늦어짐에 따라 나쁜 예후를 초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저자들은 시행한 혈액 검사상 용혈의 증거가 없는 빈혈, 혈소판 감소증 그리고 급성 신부전을 보인 소아 환아에서 신조직 검사를 통해 비특이적 응고성 미세혈관병증을 진단받은 1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14세 여자 환아는 3주간 지속된 발열, 구역과 전신 부종을 주소로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내원하여 시행한 혈액 검사상 빈혈과 혈소판 감소증을 보였으나, 용혈의 증거는 없었으며, 혈정 크레아티닌이 증가되어 있었다. 내원 이후 급성 신부전과 발열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소변 검사상 단백뇨가 발생하였다. 환아는 내원 40일경 신고혈압과 동반된 전신 경련이 5분간 있어 뇌 자기 공명 영상을 촬영하였으며, 가역성 후백질 뇌병증 증후군의 양상을 보여 항 경련제 투여를 시작하였다. 이후 지속되는 혈소판 감소증 및 발열은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를 진행한 후 호전되었으나, 급성 신부전 및 단백뇨가 지속되어 신장 조직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검사 결과상 혈전성 미세혈관병증의 소견을 보였다. 이와 같이 조직검사상에서는 응고성 미세혈관병증을 보이나 전형적인 응고성 미세혈관병증의 혈액학적인 진단 기준이 충족되지 않는 비특이적 형태의 응고성 혈관병증의 효과적인 진단을 위하여 보체 기전이나 ADAMTS 13와 같은 유전자 범위의 보다 활발한 연구를 통한 효과적인 진단 기준의 마련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otal En Bloc Thoracic and Lumbar Spondylectom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Favorable Prognostic Indicators : Is It Merely Indicated for Solitary Spinal Metastasis?

  • Park, Jong-Hwa;Hyun, Seung-Jae;Kim, Ki-Jeong;Jahng, Tae-Ah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5호
    • /
    • pp.431-435
    • /
    • 2014
  • A fifty-year-old female non-smoker with no other specific medical history visited our institute. She complained of axial back pain with no other neurological deficit. Chest X-ray,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scan, CT-guided needle aspiration biopsy, whole-bod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pine CT and spine magnetic resonance image findings suggested NSCLC with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utation, multiple brain metastases, and two isolated metastases to the T3 and L3 vertebral bodies. She underwent chemotherapy with gefitinib ($Iressa^{TM}$) for NSCLC and gamma knife surgery for multiple brain metastases. We performed a two-staged, total en bloc spondylectomy of the T3 and L3 vertebral bodies based on several good prognost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lack of metastases to the appendicular bone, good preoperative performance status, and being an excellent responder (Asian, never-smoker and adenocarcinoma histology) to EGFR inhibitors. Improved axial back pain after the surgery enabled her to walk with the aid of a thoracolumbosacral orthosis brace on the third postoperative day. Her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score (KPS) was 90 at the time of discharge and has been maintained to date 3 years after surgery. In selected NSCLC patients with good prognostic characteristics, we suggest that locally curative treatment such as total en bloc spondylectomy or radiosurgery should be emphasized to achieve longer term survival for the selected cases.

Cerebral Aspergillosis with Multiple Enhancing Nodules in the Right Cerebral Hemisphere in the Immune-Competent Patient

  • Lee, Gwang-Jun;Jung, Tae-Young;Choi, Seong-Min;Jung, Min-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3권5호
    • /
    • pp.312-315
    • /
    • 2013
  • Aspergillosi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is a very rare disease in immune-competent patients. There was a case of a healthy man without a history of immune-compromised disease who had invasive aspergillosis with unusual radiologic findings. A 48-year-old healthy man with diabetes mellitus, presented with complaints of blurred vision that persisted for one month.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multiple nodular enhancing lesions on the right cerebral hemisphere. The diffusion image appeared in a high-signal intensity in these areas. Cerebrospinal fluid examination did not show any infection signs. An open biopsy was done and intraoperative findings showed grayish inflammatory and necrotic tissue without a definitive mass lesion. The pathologic result was a brain abscess caused by fungal infection, morphologically aspergillus. Antifungal agents (Amphotericin B, Ambisome and Voriconazole) were used for treatment for 3 months. The visual symptoms improved. There was no recurrence or abscess pocket, but the remaining focal enhanced lesions were visible in the right temporal and occipital area at a one year follow-up MRI. This immune-competent patient showed multiple enhancing CNS aspergillosis in the cerebral hemisphere, which had a good outcome with antifungal ag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