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 MR studie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Thallium-201 SPECT 뇌종양 영상 (Thallium-201 SPECT Imaging of Brain Tumors)

  • 김상은;최창운;이동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윤병우;노재규;정희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4-25
    • /
    • 1992
  • Thallium-201 $(^{201}T1)$ SPECT studies were performed on a normal volunteer and 12 patients with intracerebral lesions: 3 patients with gliomas, 3 patients with meningiomas, 1 patient each with metastatic tumor, brain abscess, and cerebral infarction, and 3 postirradiation patients. (2 with metastatic tumors, 1 with lymphoma). A $^{201}T1$ index, based on the ratio of $^{201}T1$ uptake in the brain lesion versus the homologous contralateral brain,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umor histology and CT/MRI findings. The SPECT $^{201}T1$ scan showed minimal uptake of tracer in a normal brain. There was substantial uptake of $^{201}T1$ in high-grade gliomas (index>1.5) with little uptake in low-grade lesions. A previously irradiated patient with recurrent astrocytoma, in whom MRI study was unable to distinguish tumor recurrence from necrosis, showed the lesions with high $^{201}T1$ indices in both hemispheric regions (2.50/1.93), suggesting tumor recurrence. Two meningiomas and a metastatic tumor showed varying degrees of $^{201}T1$ uptake (index $1.71\sim8.15$), revealing that $^{201}T1$ uptake is not exclusive to high-grade gliomas. In 2 postirradiation patients with metastatic tumors, no abnormal $^{201}T1$ uptake was found in the cerebral lesions, shortly after the initiation of radiation therapy or despite the persistence of enhancing lesions-though improved-on MR images, suggesting that $^{201}T1$ uptake may reflect the metabolic and possibly clonogenic activities of tumors and the brain $^{201}T1$ SPECT imaging might be valuable for the evaluation of tumor responsiveness to the therapy and for early detection of tumor recurrence. A patient with brain abscess on antibiotic treatment, showig increased uptake of $^{201}T1$ in the resolving lesions (index 2.87/1.52) is discussed. In a patient with cerebral infarction, there was no abnormal uptake of $^{201}T1$ in infarcted tissue. When using a threshold index of 1.5, correlation rate between $^{201}T1$ uptake and contrast enhancement of the cerebral lesions on CT/MRI was 73% (8/11). In conclusion, the brain $^{201}T1$ SPECT imaging may be useful for assessment of tumor response to the therapy and to predict low-or high-grade lesions.

  • PDF

유아 자폐증 환아에서의 Tc-99m ECD를 이용한 뇌 단일 광전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상의 관류 저하: 자기 공명 영상과의 비교 분석 (Perfusion Impairment in Infantile Autism on Brain SPECT Using Tc-99m ECD : Comparison with MR Findings)

  • 유영훈;이종두;윤평호;김동익;오영택;이선아;이호분;신의진;이병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0-329
    • /
    • 1997
  • 유아 자폐증 환아에서의 신경 방사선학적 소견은 계속 연구되어 왔으나 이전의 연구에서는 일관된 특징적인 소견을 보여주지 못하였고, 대부분의 연구에서 성인이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었다. 본 연구는 8세 이전의 환아만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과 뇌혈류 SPECT의 기능적, 해부학적 이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SM-IV와 CARS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1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뇌혈류 SPECT와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분석하였다. 환아의 평균연령은 55개월(28-89 개월)이었다. SPECT는 185-370 MBq의 Tc-99m ECD를 정맥주사후 annular crystal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시행하였고 자기공명영상은 1.5 Tesla GE signa machine을 이용하여 T1, T2 axial과 T1 sagittal sequence를 얻었다. 뇌혈류 SPECT 상 13명의 환아에서 국소적인 관류저하가 관찰되었고 각각 소뇌 충부(12/18), 소뇌반구(11/18), 시상(13/18), 기저핵(4/18), 두정엽(7/18), 측두엽(1/18)에서 관류저하 소견을 보였다. 반면 자기공명영상에서는 3명의 환아에서만 이상 소견을 보였는데 각각 뇌실 주변부 백질의 감소(3/18), 뇌량의 간 및 팽대부의 위축(1/18), 소뇌 충부의 용적 감소 (1/18)를 보였다. 뇌혈류 SPECT와 자기공명영상에서 나타난 이상 소견을 비교하여 볼 때 자기공명영상상의 합당한 해부학적 이상 소견이 없음에도 뇌혈류 SPECT에서 더 광범위한 혈류 저하 부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뇌혈류 SPECT상 광범위한 관류 저하를 소뇌, 시상, 두정엽에서 관찰할 수 있었고, 뇌혈류 SPECT가 자기공명영상에 비하여 유아 자폐증의 병태생리를 반영함에 있어 더 민감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시상이나 두정엽의 관류 저하의 임상적 의미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메타버스(가상·증강·혼합·확장현실)를 이용한 운동재활의 활용 방안 (Utilization Exercise Rehabilitation Using Metaverse (VR·AR·MR·XR))

  • Yang, Jeong Ok;Lee, Jook Sook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49-258
    • /
    • 202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using virtual reality or metaverse for exercise rehabilitation in order to help the disabled or elderly patients with exercise rehabilitation, and suggest a method for using metaverse for exercise rehabilitation. Method: In this study, after analyzing and discuss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taverse and exercise rehabilitation through electronic search of recently published papers, academic journals, books, and internet websites,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lan using the metaverse was proposed. Results: In the case of domestic research, the diversity of virtual reality application technology for the rehabilitation of disabled and elderly patients was not secured, but recently, virtual reality or metaverse-related technologies were developed and specialized in a form suitable for exercise rehabilitation. In the case of overseas studies, it was analyzed that exercise rehabilitation using virtual reality and metaverse games for the rehabilitation of disabled and elderly patients can help improve brain, physical ability, and anti-aging by activating the body and mind. Conclusion: Smart metaverse health care is actively introduced to exercise rehabilitation, metaverse telemedicine business is applied to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and digital twin games and exercise rehabilitation programs developed by metaverse related companies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and elderly patients. If customized smart metaverse healthcare is used for exercise rehabilitation, it is analyzed that it can lead this field.

MRI와 동시 측정한 뇌전도 신호에서 경사자계 유발잡음의 제거 (Gradient Noise Reduction in EEG Acquired During MRI Scan)

  • 이항로;이하나;한재용;박태석;이수열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4
  • 목적: MRI를 촬영하면서 뇌전도 신호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은 뇌기능 영상에 있어 매우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MRI와 동시에 측정한 뇌전도 신호에는 많은 잡음이 유발되는데 이중 가장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은 경사자계에 의해서 유발되는 잡음이다. 경사자계 유발잡음을 ICA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9채널의 MR-compatible 뇌전도 측정시스템과 3.0 T MRI 시스템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3.0 T MRI 시스템 안에 뇌전도 캡을 쓴 피험자를 놓고 EPI 촬영을 하면서 뇌전도 신호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뇌전도 신호에 대하여 ICA를 적용해 경사자계 유발 잡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제거한 결과를 평균화 방법과 PCA 방법을 사용해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ICA 방법, 평균화 방법 , PCA 방법 모두 경사자계 유발잡음 제거에 있어 일정 부분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을 상호 비교하였을 때 잡음 제거 결과는 ICA 방법이 평균화 방법과 PCA 방법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론: ICA를 이용하여 경사자계 유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잡음이 제거된 뇌전도 신호는 간질환자에 대한 뇌기능영상이나 뇌전도결합 fMRI 촬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비글견에서 발생한 전반적 대뇌허혈 (Global Cerebral Ischemia in a Beagle Dog)

  • 최호정;최수영;안지영;오이세;정성목;조성환;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4-108
    • /
    • 2009
  • Global cerebral ischemia occurs commonly in patients who have a variety of clinical conditions including cardiac arrest and shock. Cerebral ischemia results in a rapid depletion of energy stores that triggers resulting in excitotoxic death. Imaging studies of the brain with computed tomography(CT)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are necessary to confirm the clinical neurolocalization, identify any associated mass effect, and rule out other causes of focal brain disorders. Cardiopulmonary arrest was occurred by propofol anesthesia in a 1 year old, intact female Beagle dog. After successfu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performed within 5 minutes, clinical signs such as vocalization, paddling, opisthotonus and seizure were represented. At the 12th day, CT and MRI examinations of the brain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brain. After euthanasi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transverse image of CT, lesions appeared as a hypodense in the right dorsal surface of the frontal lobe and level of optic canal, and dorsomedial surface of occipital lobe of cerebrum. No contrast enhancement was represented following intravenous contrast administration. On MR images of brain, the lesions were seen as a hyperintense on T2-weighted(T2W) images and a isointense or mild hypointense on T1-weighted(T1W) images. Hyperintense lesions both T2W and T1W images were observed at the surrounding cerebral sulcus. There was no significant signal changes on contrast T1WI.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fter euthanasia revealed that the lesion was necrosis of the cerebral cortex caused by cerebral ischemia.

홍역 후 발생된 급성 뇌염 진단시 Tc-99m ECD 뇌혈류 SPECT의 임상적 유용성 (The Clinical Usefulness of Tc-99m ECD Brain SPECT in Acute Measles Encephalitis)

  • 임석태;손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29-234
    • /
    • 2003
  • 목적: 홍역 감염 후 속발되는 뇌염은 사망률이 높아 조기진단 및 적극적인 치료가 예후에 중요하다. 저자들은 홍역 후 발생된 뇌염에 대한 Tc-99m ECD 뇌혈류 SPECT와 뇌핵자기공명영상(MRI)의 진단 성능을 비교하였고 뇌혈류 SPECT상 중등도 이상의 심한 뇌혈류 감소가 호발하는 부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홍역으로 진단받은 112명 중에서 의식저하, 경련, 마비 등의 임상증상과 혈청 및 뇌척수액에서 홍역 특이항체가 관찰되어 홍역 후 급성 뇌염으로 진단받고 Tc-99m ECD 뇌혈류 SPECT와 MRI를 시행받은 11명(M : F=4 : 7, 연령 $1.6{\sim}14$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SPECT상 관찰되는 뇌혈류는 0(정상)에서 3(결손)으로 점수화하였고 2점 이상인 경우를 중등도 뇌혈류 감소로 정의하였다. 홍역 후 발생된 뇌염 환아에서 MRI와 SPECT의 두부병소 진단 성능과 중등도 뇌혈류 감소의 호발부위를 알아보았다. 결과: MRI 시행결과 7명(63.6%)에서 T2-강조영상에서 회백질의 고강도 변화가 관찰되었으나, SPECT상 11명(100%) 모두에서 뇌혈류 감소 부위가 관찰되었다. 중등도 뇌혈류 감소는 전두엽(81.8%), 측두엽(72.7%), 후두엽(27.3%), 기저핵(27.3%), 두정엽(9.1%) 순서로 호발하였다. 결론: 홍역 후 발생된 뇌염 환아에서 두부병소를 진단하는데 MRI에 비하여 Tc-99m ECD 뇌혈류 SPECT가 좀더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교차소뇌해리현상 : SPECT와 MRI 소견의 비교와 임상징후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 : Comparison of SPECT, MRI, and Clinical Sign)

  • 손형선;김의녕;신광현;나형균;최창락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6호
    • /
    • pp.794-799
    • /
    • 200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compare findings of brain SPECT representing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CCD) with brain MRI, to evaluate relation between CCD and location of lesions on MRI and to elucidate clinically apparent cerebellar sign in patients with CCD.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was 20 patients representing CCD on SPECT. Percentage differences(${\triangle}%$) of activity on each cerebellar hemisphere were obtained from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cerebellum[${\triangle}%cbll=(IL-CL)/IL{\times}100$] and from cerebrum [${\triangle}%cbr=(CL-IL)/CL{\times}100$]. From MR studies, the percentage differences of signal intensity were also calculated as the same method. We compared the degree of percentage differences with location of cerebral lesions and with clinical cerebellar signs of the patients. Results : Among those representing CCD, the parietal lesions were the most comm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of the percentage differences in cerebellum between SPECT($18.8{\pm}7.22$) and MRI($4.4{\pm}3.38$) (p<0.05) and in cerebrum between SPECT($28.7{\pm}15.35$) and MRI($42.8{\pm}10.94$) (p<0.05). Cerebellar signs were observed in 3 of the 20 patient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degree of percentage differences of each cerebellar hemisphere on SPECT and clinical cerebellar sign(p>0.05). Conclusion : Using the percentage differences in the cerebellum, the CCD evaluation can be easily done. On MRI, the signal changes of cerebellum were not as definite as SPECT. Despite of our assump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cerebellar signs and CCD on SPECT.

  • PDF

외상후 뇌손상 환자에서 Tc-99m-HMPAO 국소뇌혈류 SPECT와 자기공명영상의 비교 (Comparison of Tc-99m-HMPAO SPECT and MRI after Acute and Subacute Closed-Head Injury)

  • 유원종;이상훈;손형선;이한진;박정미;정수교;김춘열;박용휘;신경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1-306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c-99m-HMPAO SPECT with MRI after acute and subacute closed-head injury. There were thirty two focal lesions in all cases of these. Fifteen lesions(47%) were seen on both MRI and SPECT. Fourteen lesions(44%) were seen only on MRI. Three lesions(9%) were seen only on SPECT. Of the 14 lesions seen only on MRI, one was epidural hematoma, two were subdural hematoma, three were subdural hygroma, one was intracerebral hematoma, four were contusion, and three were diffuse axonal injuries. SPECT detected 52% of the focal lesions found on MRI. For the detection of lesions, MRI was superior to SPECT in fourteen cases, while SPECT was superior to MRI in three cases. In conclusion, there was a tendency that detection rate of the traumatic lesions was higher on MRI, but the SPECT could delineate more wide extent of lesion.

  • PDF

Inception V3를 이용한 뇌 실질 MRI 영상 분류의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Brain Parenchymal MRI Image Classification Using Inception V3)

  • 김지율;예수영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32-137
    • /
    • 2019
  • 의료영상으로 생성된 데이터의 양은 전문적인 시각적 분석 한계를 점점 초과하여, 자동화된 의료영상 분석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인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상소견과 종양소견을 보이는 각각의 뇌 실질 MRI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Inception V3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종양 유무에 따른 분류 및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 평가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경우 90%,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86%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손실률 평가에서는 학습 데이터 세트의 경우 0.56, 검증 데이터 세트의 경우 1.28의 손실률을 나타내었다. 향 후 연구에서는 딥러닝 모델의 성능 향상 및 평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공개된 의료영상의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고, 라벨링 분류 작업을 통한 라벨링의 정확도를 개선하여 모델링을 구현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뇌 MRI 상 Maturation Score의 의의 (The Significance of Maturation Score of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 송인규;김수영;김규리;김윤주;신승한;이승현;이재명;이주영;김지영;손진아;이진아;최창원;김이경;천정은;김우선;김한석;김병일;김인원;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10-319
    • /
    • 2011
  • 목적: ELBWI의 출생과 생존율이 증가함에 따라 그들의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신경학적 발달을 예측 및 평가하고 재활 치료를 통해 발달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뇌 손상의 평가 및 신경학적 발달을 예측하기 위하여 뇌 MRI의 촬영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연구를 통해 다양한 프로토콜이 개발되고 있다. 저자들은 Childs 등이 제안한 뇌 성숙도를 점수화 하는 방법을 통해 ELBWI의 주산기에 발생하는 위험 인자와 뇌성숙의 관계, 뇌 성숙과 신경학적 발달 지연과의 관계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교정 주령 만삭 근처에 뇌 MRI를 시행한 ELBWI 124명을 대상으로 의무 기록을 후항적으로 분석하여 주산기적 위험인자를 확인하였고, 뇌 MRI에서 뇌 성숙도를 점수화(TMS) 하고, 동반 되는 이상 소견을 판독하였으며, BSID III를 시행하여 신경학적 발달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주산기적 위험인자와 TMS의 관계, 뇌 MRI에서 관찰 되는 이상 소견과 TMS의 관계, TMS와 BSID III 결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의 평균 출생 재태 주령은 27.1${\pm}$2.1주, 평균 출생 체중은 781.5${\pm}$143.9 g 이었다. 뇌 성숙도 점수의 평균은 10.8${\pm}$2.0점이었다. 주산기적 위험 인자와의 관계 분석에서는 MRI 검사 당일의 PMA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고 (P<0.001), BSID III에서 확인되는 신경학적 발달 지연이나 뇌 MRI에서 이상 소견과 뇌 성숙도 점수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Conventional 뇌 MRI에서 뇌 성숙도를 평가하여 신경학적 발달을 예측하고, 뇌 성숙에 영향을 주는 주산기적 위험인자를 찾고자 하였으나 MRI 검사 당일의 PMA 외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없었다. 하지만 수초화 등의 뇌 성숙의 정도가 신경학적 발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측되므로 향후 더 다양한 교정 주수에 촬영된 영상과 여러 임상 환자군의 영상에 대한 분석 및 BSID III 등 신경학적 발달 검사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