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ish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28초

수은 노출에 대한 기수산 물벼룩 Diaphnosoma celebensis의 항산화 반응 (Antioxidant Responses in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 Exposed to Mercury)

  • 배철희;이영미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4-80
    • /
    • 2018
  • 수은은 다양한 산업활동에 사용되어 해양 환경 내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며 먹이사슬을 따라 축적되며 생물체 내로 유입 시 해양 생물의 성장, 발생, 생식, 대사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lelbensis에 대한 수은의 급성 독성과 산화적 스트레스 지표(총 glutathione 함량, GST, GR, GPx 활성)를 이용한 항산화 반응을 조사하였다. 24시간 수은을 노출시킨 결과 생존율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4시간 LC50 값은 0.589 mg/l (95% C.I. 0.521~0.655 mg/l)로 나타났다. 수은(0.08과 0.4 mg/l)을 24시간 노출시킨 D. celebensis에서 총 glutathione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GST, GR, GPx 활성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은 노출에 의해 D. celebensis에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도되었음을 의미하며, 이들 산화적 스트레스 지표의 변화는 세포내에서 방어기전으로 작용하였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D. celebensis에서 수은 독성의 분자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며, 중금속 오염된 해양 생태계 모니터링과 해양 생물의 건강성 평가에서 이들 분자지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울산 태화강하구습지의 생태적 특성 및 보전을 위한 제안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in the Taehwagang River Estuarine Wetland, Ulsan, South Korea)

  • 김평범;장연희;추연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71-183
    • /
    • 2023
  • 하구습지는 독특한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생물에게 중요한 서식처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도한 개발과 이용에 따른 인위적 간섭으로 하구습지 고유의 기능 및 특성을 변화시킨다. 본 연구는 생태계가 우수한 하구습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태화강하구습지를 대상으로 식생 분포 특성 및 생물상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목림 식생, 정수 및 유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부유·침수식생 등 6개 상관식생형의 25개 식물군락이 확인되었다. 지형다양성이 높은 상류부에서 다양한 유형의 습지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7종 포함 총 696종이 확인되었다. 생태적 연결성이 양호하여 감조하천이 형성되는 구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군을 가지는 기수성 생물종이 분포하며, 하천 구간별 수환경에 따라서 잠수 및 수면성오리류 등 다양한 수조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태화강하구습지의 생태정보의 수집은 하구 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광양만 및 섬진강 하구에서 채집된 어류의 공간적 군집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Fish Assemblage in Seomjin River Estuary and Gwangyang Bay)

  • 김용준;유태식;지창우;곽인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5-293
    • /
    • 2023
  • 섬진강 하구와 광양만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대규모 둑이 없는 자연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생태학 및 경제학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위치에 있다. 또한, 다양한 어류의 주요 서식처로 알려져 있는 해역이다. 어류 군집에 대한 정보는 환경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적합한 지표군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2021년 5월과 9월에 총 8지점 섬진강 하구 (ES1~ES3)와 광양만 (ES4~ES8)에 출현하는 어종을 파악하고 어류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2강 14목 42과 68속 78종, 5,111개체가 채집되었다. 조사기간 내 채집된 우점종으로는 보구치가 2,370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상대 풍부도 (Relative abundance)는 46.4%로 나타났다. 아우점종은 주둥치가 1,643개체가 채집되어 상대 풍부도 32.1%가 나타났다. 어류 군집은 Bray-Curtis 유사도에 따라 총 3개의 그룹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기수역, 연안의 내측과 외측으로 나누어졌다. 1그룹은 주로 담수역 지점과 기수역에서 서식하는 어류가 주로 채집되었으며, 3그룹에서는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들만 채집되었다. ANOSIM (Analysis of similarity) 분석을 진행한 결과, Group 2와 Group 3 사이에서 가장 큰 유의한 차이 (ANOSIM R=0.783, p=0.001)가 나타났고, 두 그룹에 기여하는 종은 보구치와 갯장어였다.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부터 연안 외측까지 공간에 따른 어류 군집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에 따라 변화하는 주요종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제시하며, 경제성이 높은 어종의 보호와 관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기수산 물벼룩에서 수온과 polystyrene beads의 복합 독성 (Combined toxic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polystyrene beads in the brackish water flea)

  • 이윤하;박종석;박채린;조상현;유제원;이영미
    • 환경생물
    • /
    • 제41권4호
    • /
    • pp.386-399
    • /
    • 2023
  •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NMPs)은 해양생물에 대한 생식 방해, 산화적 스트레스 등의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어 해양생태계의 유해오염물질 중 하나로 간주된다.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해수 온도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세플라스틱과 온도변화 간의 독성학적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에 대한 NMPs(polystyrene beads; 0.05-, 6-㎛)의 온도 상승에 따른 독성을 개체 및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개체 수준에서의 첫 생식 시점은 온도 상승에 의해 빨라지는 양상을 보였으나 35℃ 온도 조건에서 PS beads에 노출된 경우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총 산란 수는 30℃, 0.05-㎛ PS beads에 노출된 경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상호작용 분석결과 첫번째 생식 시점과 항산화 및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GSTS1 및 Hsp70) 및 ecdysteroid 경로 관련 유전자(EcR_A, EcR_B, 및 CYP314A1)가 온도 및 PS 입자 크기에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세플라스틱이 크기 의존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줌과 동시에 온도 증가로 인해 독성이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을 평가할 때 수온 등 다양한 요소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으며, 해양동물 플랑크톤에 대한 수온과 미세플라스틱의 복합적 독성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Functionalization of polyethylene by graft copolymerization for separation processes

  • Kaur, Inderjeet;Gupta, Nitika;Kumari, Vandna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15-36
    • /
    • 2013
  • Incorporation of polar functional moieties into polyethylene (PE) film has been achieved by graft copolymerization of polar monomers such as methacrylic acid (MAAc) and acrylamide (AAm) on to PE film, preirradiated with ${\gamma}$-rays from $^{60}Co$ source, using benzoyl peroxide (BPO) as initiator in aqueous medium. Percentage of grafting of MAAc and AAm was determined as a function of irradiation dose, monomer and initiator concentration, temperature, reaction time and amount of water. Maximum percentage of grafting of MAAc (1453%) and AAm (21.28%) was obtained at [MAAc] = $235.3{\times}10^{-2}$ mol/L, [AAm] = $23.4{\times}10^{-2}$ mol/L, [BPO] = $5.5{\times}10^{-2}$ mol/L and $16.5{\times}10^{-2}$ mol/L at $80^{\circ}C$, $90^{\circ}C$ in 180 min and 90 min respectively. The grafted PE films were characterized by FTIR,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y (SEM) and X-ray diffraction methods. Some selective properties of grafted films such as swelling behavior, ion and metal uptake have been carried out. The biodegradation studies of the grafted PE films have also been investigated. The grafted films developed superior swelling behavior with maximum swelling (480%) in water as compared to pristine PE (13.55%), better thermal stability and ion and metal uptake studies showed promising results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desalination of brackish water and separation of metals from the industrial effluents.

Pre-Monsoon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Downstream of the Gagok Stream, Eastward into the East Sea, Korea

  • Kim, Saywa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223-229
    • /
    • 2015
  • Pre-monsoon dynamics of zooplankto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the downstream of the Gagok stream flowing into the East Sea of Korea. Monthly sampling was carried out to collect zooplankters at five sites in the stream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and July 2014. Dissolved oxygen contents exceeded $7.0mg\;L^{-1}$ all the time. Water temperature was in a range of 15.7 to $24.9^{\circ}C$ and pH 7.4 to 8.8, respectively. A total of 75 taxa consisted of 36 species of rotifers, 16 species of cladocerans, 16 species of copepods, four kinds of aquatic insects, two kinds of decapods and one nematod was occurred. One species of marine copepod and one cladoceran, and one species of brackish rotifer and one copepod distributed at the station located in the stream mouth. Zooplankton abundance showed to vary from 42 to 4202 individuals $m^{-3}$ due to the explosion of aquatic insects and Alona sp. at site 2 located in the downstream in April. Heavy rainfall during the monsoon period seems to decrease the zooplankton abundance caused by diffusion and drifting to the sea. Species diversity indices were generally high between 1.2~2.3 and were recorded to be high at the downstream throughout the study period. With the zooplankton dynamics, the influence of the input of sea waters into the stream seemed to be confined to some hundred meters of the stream mouth facing the East Sea.

Stellantchasmus falcatus에 의한 인체 감염 1례 (A human case of Stellantchasmus falcatus infection)

  • 손운목;채종일;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4호
    • /
    • pp.277-280
    • /
    • 1989
  • Stelldntthasntus falcatrts에 의한 인체감염 1례가 프라지콴텔 투여 후 충체를 수집함으로써 확진되었다. 환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33세 남자로 복부 불쾌감과 공복통이 있다고 하였다. Formalin-ether 침전법으로 실시한 대변 검사에서 이형홉충류의 충란이 검출되어 프라지콴텔 600 mg을 1회 투여하고 1시간 후 황산 마그네슘 25 g으로 설사를 유도한 바 설사변에서 S. falcatus 17 마리와 H. nocens 14마리가 검출되었다. 치료 후 1개월에 실시한 대변검사에서는 충란이 검출되지 않았고 임상증상도 없어졌다고 하였다. 환자는 평소에 여러 종류의 생선회를 즐겨 먹었다고 하며 이들이 감염원일 것으로 추측된다. 이 중례는 S. felcatus의 국내 4번째 인체감염례에 해당된다.

  • PDF

Land Based Test of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by Ozonation

  • Park, Sung-Jin;Yoon, Seung-Je;Kim, In-So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383-390
    • /
    • 2010
  • This study is currently giving priority to developing the ship's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Ozone BWTS). The Ozone BWTS was tested in a full scale land-based mobile barge to evaluat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MO G8 Guidelines. Test cycles using the mobile-barge were conducted in seawater and brackish water in the vicinity of the Port of Busan and Nakdong River, Republic of Korea. All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G8 Guidelines. Test results show that the Ozone BWTS meets the Ballast Water Performance Standard contained in Regulation D-2 of the IMO Ballast Water Management Convention, as well as all of the operational, safety, and environmental testing requirements of the G8 Guidelines, as required for type approval of IMO.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Ozone BWTS is capable of meeting the Ballast Water Performance Standard under Regulation D-2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and also the more stringent standards being proposed under US legislation.

액상 비료를 유도 용액으로 사용하는 정삼투 기반의 해수 담수화 (Forward Osmosis Based Seawater Desalination using Liquid Fertilizer as Draw Solution)

  • 박성직;안희경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2호
    • /
    • pp.21-27
    • /
    • 2013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way to desalinate seawater for agricultural irrigation using forward osmosis (FO) process using liquid fertilizer as draw solution. FO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a cross flow mode using flat sheet FO membrane. The effect of membrane orientation, flow rate, and draw solution concentration on the performance of forward osmosi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water flux of forward osmosis membrane. The water flux when the draw solution was placed against the membrane active layer was lower than the water flux when the feed solution was placed against the membrane active layer.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crease of effective osmotic pressure by dilutive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was less than that by concentrative internal concentration polarization. Increasing flow rate from 66.7 to 133.1 $cm^3$/min resulted in increase of the water flux when the membrane active layer orient to draw solution and feed solution, respectively. The reduction of resistance to water flow increased water flux at higher flow rate. The water flux of FO membrane increased with increasing draw solution concentration from 10000 to 30000 mg/L. The water flux for $KH_2PO_4$ draw solution was similar to that for commercial fertilizer. Optimization of FO process would contribute to economically desalinate brackish water for agricultural use.

Genetic Diversity and Molecular Phylogeny of Cyanobacteria from Sri Lanka Based on 16S rRNA Gene

  • Wanigatunge, R.P.;Magana-Arachchi, D.N.;Chandrasekharan, N.V.;Kulasooriya, S.A.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317-329
    • /
    • 2014
  • The diversity of cyanobacteria in Sri Lanka was studied in different water reservoirs, paddy fields, brackish water and tsunami affected areas using light microcopy, 16S rRNA sequences, followed by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light microscopy, 24 genera were identified from environmental samples belonging to the orders Chroococcales, Oscillatoriales, Pleurocapsales and Nostocales. In cultures, 33 genera were identified from all five cyanobacterial orders, including Stigonematale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nd their morphology, two isolates were identified up to species level, 72 to genus level, one isolate up to family and 11 up to order level. Twelve isolates couldn't be assigned to any taxonomic level. The results of 16S rRNA gene sequences along with the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some cyanobacterial isolates could be accommodated to genus or order level. The 16S rRNA sequence analysis data in this study confirmed that order Nostocales and order Pleurocapsales cyanobacteria are monophyletic while orders Chroococcales, Oscillatoriales and Stigonematales cyanobacteria are polyphyletic. Polyphasic approach including the combination of light microscopy, cultures and the analysis of 16S rRNA gene sequences provide a promising approach to ascertain the diversity of cyanobacteria in different habit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