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vine tooth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2초

Bovine teeth에 대한 어린이용 영양제의 우식유발능 (Cariogenic Potential of Nutritional Supplements for Children on Bovine Teeth)

  • 허나랑;이광희;안소연;송지현;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33-240
    • /
    • 2014
  • 어린이용 영양제의 우식 유발능에 관해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에서 시판 중인 건강기능식품 어린이용 영양제 4종에 대한 생체외 연구를 시행하였다. 어린이용 영양제 4종을 실험군으로, 10% 자당을 양성 대조군, 인공 타액을 음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의 pH, 완충능, 산생성능, 우치 법랑질 침식능을 검사하였다. 실험군 4종의 pH 모두 탈회 임계 pH인 5.5보다 낮았다. 완충능은 Hama Vitamin Pharm이 가장 크고, Smart Chewable Vitamin A가 가장 작았다. 4개의 실험군은 음성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산생성능을 보였다(p < 0.05). 우치 법랑질 침식능 검사 결과, 4종의 실험군과 양성 대조군에서 표면미세경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표면미세경도 감소율은 실험군 중에서 Hama Vitamin Pharm이 유의하게 높았고, Hikid Plus는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배양된 치유두 유래세포의 조골활성 및 골기질 형성의 평가 (EVALUATION OF OSTEOGENIC ACTIVITY AND MINERALIZATION OF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 박봉욱;변준호;최문정;하영술;김덕룡;조영철;성일용;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279-288
    • /
    • 2007
  • In the present study, we focused on stem cells in the dental papilla of the tooth germ. The tooth germ, sometimes called the tooth bud, is the primordial structure from which a tooth is formed. The tooth germ consists of the enamel organ, the dental papilla, and the dental follicle. The dental papilla lies below a cellular aggregation of the enamel organ. Mesenchymal cells within the dental papilla are responsible for formation of dentin and pulp of a tooth. Tooth germ disappears as a tooth is formed, but that of a third molar stays in the jawbone of a human until the age of 10 to 16, because third molars grow slowly. Impacted third molar tooth germs from young adults are sometimes extracted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osteogenic activity and mineralization of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Dental papillas were harvested from mandible during surgical extraction of lower impacted third molar from 3 patients aged 13-15 years. After passage 3, the dental papilla-derived cells were trypsinized and subsequently suspended in the osteogenic induction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10% fetal bovine serum, 50 g/ml L-ascorbic acid 2-phosphate, 10 nM dexamethasone and 10 mM -glycerophosphate at a density of $1\;{\times}10^6\;cells/dish$ in a 100-mm culture dish. The dental papilla-derived cells were then cultured for 6 weeks and the medium was changes every 3 days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Dental papilla-derived cells showed positive alkaline phosphatase (ALP) staining during 42 days of culture period. The formation of ALP stain showed its maximal manifestation at day 7 of culture period, then decreased in intensity during the culture period. ALP mRNA level was largely elevated at 1 weeks and gradually decreased with culture time. Osteocalcin mRNA expression appeared at day 14 in culture, after that its expression continuously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up to day 28. The expression remained constant thereafter. Runx2 expression appeared at day 7 with no detection thereafter. Von Kossa-positive mineralization nodules were first present at day 14 in culture followed by an increased number of positive nodules during the entire duration of the culture period. Osteocalcin secretion was detectable in the culture medium from 1 week. The secretion of osteocalcin from dental papilla-derived cells into the medium greatly increased after 3 weeks although it showed a shallow increase by then. In conclusion, our study showed that cultured human dental papilla-derived cells differentiated into active osteoblastic cells that were involved in synthesis of bone matrix and the subsequent mineralization of the matrix.

15% Hydrogen Peroxide 전문가용 치아미백 후 시간경과에 따른 색상변화와 미세경도의 변화 (Effect of 15% Hydrogen Peroxide on Color Change and Microhardness of Bovine Teeth according to the Time)

  • 박미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19
    • /
    • 2013
  • 본 연구는 전문가 미백제를 이용하여 그룹 1은 1일 1회 1주 간격 총 3회, 그룹 2는 1일 총 3회 미백처치 한 후 시간경과에 따른 색상변화와 미세경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in vitro 평가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미백처치 후 시간경과에 따른 명도($L^*$)는 두 그룹 모두 증가하였다. 그룹 1은 미백 전과 미백 1일 후, 미백 1일 후와 미백 7일 후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그룹 2는 미백전과 미백 1일 후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2. 색차(${\Delta}E^*$)는 두 그룹 모두 컸다. 그룹 1은 미백 전과 미백 1일 후, 미백 1일 후와 미백 7일 후 사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p<0.05). 그룹 2는 미백 전과 미백 1일 후 사이에서 가장 컸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미세경도(VHN)는 두 그룹 모두 감소하였다. 그룹 1은 미백 전에 비해 미백 1일 후, 미백 7일 후, 미백 14일 후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경도가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그룹 2는 미백 전에 비해 미백 1일 후와 미백 7일 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4. 미세경도 감소율(PML)은 두 그룹 모두 컸다. 그룹 1은 미백 1일 후와 미백 7일 후 사이에서 가장 컸고, 미백 7일 후와 미백 14일 후 사이, 미백 전과 미백 1일 후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p<0.05). 그룹 2는 미백 전과 미백 1일 후 사이에서 가장 컸고, 미백 1일 후와 미백 7일 후 사이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컸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전문가 미백제를 이용한 미백 후의 치아색상은 1일의 미백횟수가 증가할수록, 동일한 횟수를 적용할 경우 미백기간이 길수록 색상의 변화를 상승 시킬 수 있었으나, 미세경도는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치아미백제를 적용할 때 색상변화의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우치의 근관에서 도말층의 존재가 수산화칼슘의 상아질 투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MEAR LAYER UPON DENTIN DIFFUSION OF CALCIUM HYDROXIDE IN BOVINE TOOTH IN VITRO)

  • 권병구;윤태철;박동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111-131
    • /
    • 1997
  • Eighty two of extracted bovine mandibular incisors were sectioned transversely through the cementoenamel junction(CEJ) and instrumented to a size minimum-# 110 file at the working length by 5.25 % NaOCl irrigation. The roots in group 1 were received a final irrigation with 10ml of 17% EDTA followed by 10ml of 5.25% NaOCl, group 2, 10ml of 40% citric acid followed by 10ml of 5.25% NaOCl, group 3, 20ml of 5.25% NaOCl, and control group, 20ml distilled water. Canal walls of four roots in each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examined by SEM(x3000). Calcium hydroxide was placed into all experimental roots except control group. Each root was placed in nalgen bottle containing unbuffered distilled water. The pH level of the medium surrounding tooth was recorded at 0, one hour, and daily for 1week, then 14days, 21days, and 28days using pH electrode. At 1, 3, 7, 14, 21days, and 28days, four roots from each group were split longitudinally and the ratio change was recorded using spectroiluorometer. The results were followings : 1. The smear layer was totally removed from canal walls in group 1 and 2, but was observed in group 3 and control group. 2. The hydroxyl ion diffused more rapidly through radicular dentin when smear layer was removed from canal walls. 3. The hydroxyl ion derived from calcium hydroxide began to diffuse from the root canal to the exterior surface of the root at 1day, and continued to 1-2weeks. 4. The pH level of dentin near the CEJ was not different in all experimental group regardless of presence of smear layer. It is clinically advisable to place calcium hydroxide into root canal for 1-2weeks for the purpose of expectation of diffusion of hydroxyl ion. But, after the placement of calcium hydroxide into root canal, the consequent pH level of external root surface will be futher studied with respect to it's effect on the root and periodontium.

  • PDF

치아 미백 효과의 장기화를 위한 Resin Infiltration의 활용 (Utilization of Resin Infiltration for Prolonging of Tooth Whitening Effects)

  • 이경호;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0
    • /
    • 2017
  • 최근 들어 치아 미백술이 대중화되고 있으나, 단기간내 색소 재침착 등 고유의 한계점이 극복되지는 못 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치아 미백 효과의 색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방법의 하나로서, resin infiltration의 활용 타당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건전한 총 40개 우치 전치 순면으로부터 법랑질 시편을 채취, 제작하여 1차 착색 및 미백술을 시행하였다. 21일 경과후 시편을 무작위로 3개 군으로 나누어, resin infiltration군(RI군) 과 레진 접착제군(RA군)에 각 15개씩, 그리고 나머지 10개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체 시편에 대하여 2차 착색을 시행하였다. 전 연구과정에서 색조 평가는 최초상태, 착색 직후, 미백제 적용후, 각 재료 적용후 및 2차 착색 후의 총 5회를 시행하였으며,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CIE $L^*a^*b^*$ 색조계로 기록하였다. 모든 군이 착색 후 $L^*$ 값은 감소, $a^*$, $b^*$ 값은 증가하였으며, RI군과 RI군 모두 재료 적용 전후의 유의한 색조변화는 없었다(p > 0.05). 1차 착색 전후의 색조변화량은 RI군, RA군 및 대조군에서 각각, $12.16{\pm}3.50$, $12.16{\pm}3.38$, $15.81{\pm}6.39$였던 반면, 2차 착색 전후의 변화량은 각각 $15.21{\pm}7.19$, $15.93{\pm}4.31$, 그리고 $26.62{\pm}17.89$로 나타났다. 2차 착색 후의 색조변화량은 RI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1, 2 차 착색 전후의 각 군내 색조변화량 비교에 있어서는, RA 군과 대조군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 < 0.05), RI군에서는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p = 0.26).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재착색에 민감한 미백후의 치아에 대하여 레진 접착제의 적용으로는 미흡하며, resin infiltration을 통하여 색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브라켓 부착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RESIN BASE IN BRACKET BONDING)

  • 김재혁;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9-668
    • /
    • 1998
  • 본 연구는 브라켓 간접부착술식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을 비교함으로써 레진 베이스 두께 증가시 전단결합강도의 저하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소의 하악 절치를 포매하여 만든 레진블럭에 micromanipulator를 사용하여 치면과 브라켓 기저면 사이의 광중합형 접착제가 0.0, 0.5, 1.0, 1.5, 2.0 mm두께가 되도록 각각 브라켓을 부착한 다음 만능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레진 베이스의 두께를 증가시킨 경우와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킨 경우로 나누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브라켓 기저부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킨 경우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유의차는 미미하였다. 3. 접착제 잔류지수를 이용하여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파절양상을 비교 관찰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볼 때 브라켓 부착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브라켓 기저부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레진 베이스 두께의 영향은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성숙 치아 모델에서 포스트의 종류와 크기가 치아의 파절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POST TYPES AND SIZES ON FRACTURE RESISTANCE IN THE IMMATURE TOOTH MODEL)

  • 김종현;박성호;박정원;정일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4호
    • /
    • pp.257-26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성숙 우치를 가타퍼챠 및 다양한 포스트와 코아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복한 후 술식에 따른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우치의 백악상아경계 상방 8 mm, 하방 12 mm 지점을 절단하여 제작한 미성숙 우치 모델에서 가타퍼챠와 이원중합형 복합레진 LuxaCore로 코어 수복을 시행하거나, 각각 D.T. LIGHT-POST, ParaPost XT 및 다양한 크기의 EverStick Post와 LuxaCore로 수복하였다. 이후 시편을 72시간 동안 증류수에 저장한 후 6,000회의 thermocycling을 진행하였다. 실험적으로 치주인대의 물성을 재현하고, Instron에 시편을 45도로 위치시켜 압축부하를 가해 파절 강도를 측정하고, 파절 부위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포스트를 이용하여 수복하였을 때 파절 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5), 포스트의 종류 및 적합도는 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부분의 시편에서 수복 가능한 파절이 나타났으며, 실험군에 따른 파절 부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성숙 치아의 상기 치근 강화 술식은 치아의 파절 강도를 증가시키고, 포스트의 종류 및 적합도는 파절 저항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fluoride varnishes on the surface hardness of bovine teeth under demineralization/remineralization cycling

  • Son, Ju-Lee;Shin, Yoon-Jeong;Jeong, Geon-Hee;Choi, Shin-Jae;Oh, Seunghan;Bae, Ji-Myung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6호
    • /
    • pp.324-335
    • /
    • 2020
  • We investigated whether fluoride varnishes recover the hardness of bovine teeth under 20 days of demineralization/remineralization cycling. The fluoride varnish groups (two commercial fluoride varnishes [V-varnish (Vericom, Korea) and CavityShield (3M ESPE, USA)] and an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 including 5 wt.% NaF were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without fluoride varnish.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at baseline, 3 days after immersion in caries-inducing solution, 24 hours after application of a fluoride varnish, and after 10 and 20 days of demineralization/remineralization cycling. Afterward, tooth surfaces were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fter fluoride varnish application and the cycling 10 and 20 days, the experimental varnish group showed the highest hardness, while the CavityShield and the control groups demonstrated the lowest hardness. The experimental varnish group recovered the hardness of the baseline at 24 hours after application of the varnish, while it was recovered after 20 days of the cycling in case of the V-varnish. However, the CavityShield and the control groups did not recover the hardness even after 20 days of the cycling. The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 with fast recovery in the hardness of the baselin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fluoride varnish to resist demineralization and to facilitate remineralization.

  • PDF

불소함유여부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제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Fluoride-Containing Sealant and Non-Fluoride Containing Sealant)

  • 허선;권선자;김재곤;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89-501
    • /
    • 1996
  •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ear bond strength of fluoride-releasing sealant and nonfluoride releasing sealant to enamel surface of bovine tooth. 80 extracted bovine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and four kinds of sealants including Teethmate-A(Kuraray Co.), Teethmate-F(Kuraray Co.), Helioseal(Vivadent Co.), Helioseal-F(Vivadent Co.) were bonded to exposed enamel surfaces using silicon plate. Shear bond strength was determined in an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1mm/min. Then, the fracture surfaces of test specimens were investigat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 Teethmate-A(18.31MPa), Teethmate-F(11.90MPa), Helioseal (11.74 MPa), Helioseal-F(10.64MPa). 2. The shear bond strength of Teethmate-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eethmate-F(P<0.05), but Helioseal and Helioseal-F didn't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P<0.05). 3. According to the SEM, Teethmate-A group showed cohesive failure, and Teethmate-A group & Helioseal group showed mixed pattern of cohesive and adhesive failure and Helioseal-F group showed adhesive failure.

  • PDF

The effect of different fluoride application methods on the remineralization of initial carious lesions

  • Byeon, Seon Mi;Lee, Min Ho;Bae, Tae Su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1권2호
    • /
    • pp.121-129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single and combined applications of fluoride on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 and the remineraliz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enamel. Materials and Methods: Each of four fluoride varnish and gel products (Fluor Protector, FP, Ivoclar Vivadent; Tooth Mousse Plus, TM, GC; 60 Second Gel, A, Germiphene; CavityShield, CS, 3M ESPE) and two fluoride solutions (2% sodium fluoride, N; 8% tin(ii) fluoride, S) were applied on bovine teeth using single and combined methods (10 per group), and then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 was measured for 4 wk. The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and the Vickers microhardnes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fluoride application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bovine teeth. Results: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 was higher in combined applications than in single application (p < 0.05). Microhardness values were higher after combined applications of N with FP, TM, and CS than single application of them, and these values were also higher after combined applications of S than single application of A (p < 0.05). Ca and P values were higher in combined applications of N with TM and CS than single application of them (p < 0.05). They were also increased after combined applications of the S with A than after single application (p < 0.05). Conclusions: Combined applications of fluoride could be used as a basis to design more effective methods of fluoride application to provide enhanced reminer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