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anical type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4초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II.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식생천이(植生遷移)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Hilly Pasture II. Studies on vegetational succession of abandoned hilly pasture)

  • 박근제;이종경;윤세형;김맹중;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7-344
    • /
    • 1998
  • 본(本) 시험(試驗)은 관리(管理)를 포기(抛棄)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식생천이(植生遷移)를 조사(調査)하여 산지초지(山地草地) 관리(管理)에 이용(利用)코자 1993년부터 1996년까지 경기도 여주 야산지(野山地)에 조성(造成)한 초지(草地)에서 수행(遂行)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지(草地)의 식생(植生)은 정지초지(整地草地)는 관리포기 후 l년차에, 임간초지(林間草地)는 방치후(放置後) 2년차에 식생이 가장 많이 변하였다. 2.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후 초지식생(草地植生)의 생활형(生活型)은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반지중식물(半地中植物), 지중식물(地中植物), 지표식물(地表植物)은 점차 감소하였으나, 1년생(年生) 식물(植物)과 어린나무를 포함한 관목류(灌木類)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식생(植生)그룹간의 유사성(類似性)은 식생구성(植生構成) 초종(草種)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초지(草地)의 식생구성(植生構成)이 비슷한 군락(群落)이 유클리드 거리계수(距離係數)가 가깝게 집단(集團)을 형성하였으며, 유사성(類似性)이 낮은 식생(植生)그룹은 유클리드 거리계수(距離係數)가 보다 먼 곳에서 서로 묶여지는 경향을 보였다.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관리를 중단(中斷)하면 개량초지(改良草地)와는 다른 산지야초지(山地野草地)나 임야(林野)로 천이(遷移)되었다.

  • PDF

과테말라와 멕시코의 민속의상 위필(Huipil)에 관한 고찰 (Traditional Clothes in Mexico and Guatemala)

  • 김희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31-145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ae forms, patterns and structures of Huipils as traditional clothes in Guatemala and Mexico, and to cite possibilities of apply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acquir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two countries' Huipils, to textile or costume design. There are two types of Huipils. One is for everyday wear and another one is for special occasion. The latter is bigger in size, more colorful and is worn on top of the daily use Huipil. Huipils consist of 1 to 3 panels, and are usually made by weaving rectangular cloth which has 4 selvedges. There are various neckline such as - type, T type, 1 type, round type and square type. The types of the neckline depends on how many panels are used. The Mexican Huipils are worn usually over skirts, whereas the Huipils of Guatemalans are practically designed with white cotton that doesn't have any patterns so as to be easily put into skirts. Different from Mexicans' Huipils which mainly show big botanical patterns, the patterns of Guatemalans' Huipils combine animals, plants and abstract concepts display mixed aspects, and it seems to me that that expressed their emotions and dearest wishes.

임간초지 개발에 관한 연구 I. 임간혼파초지의 수량 및 식생 변화 (Studies on the Grassland Development in the Forest I. Botanical composition and yield of grass-clover mixtures grown under pine trees)

  • 한영춘;박문수;서성;김정갑;이종열;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7-44
    • /
    • 1985
  • 本 試驗은 林間混播草地에서 年次間 收量 및 植生變化를 究明하고자 樹齡 10~15年의 소나무지대 (遮光程度 50%)에서 orchardgrass 위주형, tall fescue 위주형 그리고 reed canarygrass 위주형의 3가지 混播組合을 供試하여 1982~1984年에 걸쳐 水原 근교 林間地에서 수행되었으며, 이에 앞서 遮光程度0 (自然光), 50, 60%인 林間草地에서 牧草收量을 比較하였는데, 試驗의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遮光程度가 0, 50, 60%로 높아짐에 따라 牧琴의 乾物收量은 100(1,113kg/10a), 81,76%로 각각 감소하였다. 2 總植生被覆度 및 牧草率은 混播組合類型에 관계없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年次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山野草 및 雜灌木比率은 年次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 混播組崙類型別 牧草의 構成比率은 orchardgrass형, tall fescue형, reed canarygrass형, 共히 orchardgrass가 80% 내외로 優占되어 있었으며 tall fescue, reed canarygrass, Kentucky bluegrass 및 ladino clover의 比率은 낮았다. 4 龍播組合類型刷 年淡間 乾物收量을 보면 orchardgrass 위주형, tall fescue 위주형, reed canarygrass위주형에서 1年次의 경우 10a當 각각 895, 905, 793의 收量을 보였으며, 2年次의 경우 466, 457, 438을 보여 混播組合間 큰 差異는 없었으나 1年次에 비해 2年次에서 약 50%의 收量減少를 보여 주었다. 5. 이상의 結果를 綜合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林間草地에 適合한 混播組合은 牧草率 및 彦性 等으로 보아 orchardgrass 위주형이, 가장 有望하며 今後 林間草地에서는 生産性을 계속 維持시켜 주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이 목초의 식생구성 비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ture Type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Yield in Alpine Pasture)

  • 성경일;이준우;정종원;이종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59-266
    • /
    • 2005
  • 본 연구는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초지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 지역에 맞는 방목용 혼파조합을 선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대관령의 산지 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이 목초의 식생비율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은 1990년 8월부터 1993년까지 3년간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 해발 840m에 위치한 실험포에서 수행하였다. 목초의 혼파조합 및 파종량(kg/ha)은 관행혼파조합으로 대조구인 C구 : OG+TF+TI+KBG+LC (18:9:8:3:2), T1구 : OG+TF+KBG+LC (24:8:2:2), T2구: OG+TF+KBG+RC(24:8:2:2), T3구: OG+TI+KBG+LC (26:8:2:2), T4구 : OG +TF+KBG+LC (8:28:2:2), T5구: OG+TI+KBG+LC (8:24:2:2) 및 T6구: OG+RCG+KBG+LC (8:26:2:2)의 7개 처리로 하였다. 목초 파종 후 초종별로 정착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복율이 점차 높아져 목초비율은 증가하고 잡초 및 나지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생구성은 TI, OG, KBG 및 LC가 균형적인 비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잡초와 나지율이 낮은 T5구가 대관령지역에 적합한 혼파조합으로 나타났다. 방목이 경과됨에 따라 목초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차별로는 1993년의 T5구에서 건물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처리간에 건물수량도 유의차는 없었지만 T5구에서 9,344kg/ha로 가장 많았다. 이상에서 산지고랭지에서 방목용 혼파조합으로 적합한 것은 식생구성비율 및 건물수량 면에서 티머시 위주의 T5 (OG:TI:KBG:LC=8:24:2:2kg/ha)인 것으로 사료된다.

하번초형 혼파초지의 예취높이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tting Height on Dry Matter Yields and Quality of Turf Type Mixtures)

  • 이중해;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5-154
    • /
    • 2004
  • 본 연구는 1998년 9월부터 2001년 12월가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예취높이가 하번초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초지는 Kentucky bluegrass (Newport) 40%+tall fsscue(Reboil Jr.) 20%+perennial ryegrass(Palmer II) 10%+redtop (Barricuda) 10%+red fescue(Salem) 10%+creeping bentuass (Crenshaw) l0%의 비율로 파종하여 조성된 하번초형 혼파초지이었으며, 예취높이는 3, 4 및 5cm로 처리하였다. 3년 평균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 평균 ha당 건물수량은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현저히 증가되어, 5cm 예취높이에서 13,181kg으로 가장 높았고 4cm와 3cm의 예취높이에서는 각각 12,143kg과 11,158kg이였다(p<0.05). 2. 3년 평균 CP 함량과 DMD 예취높이가 높아질수록 낮아진 반면에(p<0.05), 섬유소물질의 함량은 근소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3년 평균 ha당 CPDM와 DDM 수량은 예취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현저히 증가되어, 5cm 예취높이에서 2,288kg과 9,951kg으로 가장 높았고, 4cm와 3cm의 예취높이에서는 각각 2,097kg과 9,461kg 및 2,012kg과 8,621kg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2001년도 마지막 6회 예취시의 식생비율은 예취높이에 관계없이 연도가 경과함에 따라 Kentucky bluegrass와 tall frscue는 각각 30~36%의 높은 식생비율을 유지한 반면에, perennial ryegrass는 10~15%로 낮아졌다. 그러나, 기타 초종의 식생비율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으나, redtop(8~10%)ol나 creeping bentgrass(7~8%)의 식생비율은 다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예취높이에 따른 식생비율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하번초형 혼파초지의 건물수량, 식생비율 및 품질을 고려할 때, 하번초형 혼파초지에 적합한 예취높이는 5cm라 하겠다.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동물문양의 유형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nimal Patterns Used on fabric of Chosun Dynasty)

  • 장현주;하종경
    • 복식
    • /
    • 제55권5호
    • /
    • pp.65-77
    • /
    • 2005
  • This stuffy is to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animal Patterns, to analyze their figurative characteristics focusing on fabric relics of Chosun Dynasty, and to search their internal beauty as well as their external beauty. Animal patterns can be classified as Individual type, the type that only animal patterns are used, and Compound type, the type that animal patterns are used with other patterns. The Individual type was not found at all. Only the Compound type, compounded with two or three other patterns, were found. Among the other patterns used in the Compound type, botanical patterns and heaven-and-earth-shaped patterns were the majority while letters patterns were rarely used. Bird patterns take enormously large part of the animal patterns. In terms of the arrangement, animal patterns are classified as Dense type, Sparse type, and Picturesque type.'rho three types are almost equal in their quantity. Picturesque type is found comparatively a lot. Animal patterns are much more frequently used in female clothes than in male clothes. For female clothes, they are mostly used in some parts of the clothes with ornamental effect. But, for male clothes, they are mainly used all over the fabric by weaving animal patterns on it. Not just their external beauty, animal patterns have also internally beautiful characteristics, such as keeping away from wicked ghosts, hoping for good luck, emblematic features, having ideological meanings, and so on.

Indigenous Plant Utilization and Farming System of Garo Tribe in North-East Bangladesh: a Means of Sustainable Biodiversity Conservation

  • Rahman, Md. Habibur;Fardusi, Most. Jannat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84-96
    • /
    • 2012
  • A special type of indigenous knowledge on plants utilization and farming system was explored by the Garo tribe community in the North-East region of Bangladesh, which correspond to the severe dependence on homestead forest. Results show that the Garo are totally dependent on the natural resources and that the extent of their dependency is faithfully reflected in their ethno-botanical knowledge. Dependencies that the study addressed focused on various aspects of food, fruit, energy, timber and health care on plants products. Garo tribe community in Bangladesh followed agrosilvipastoral system in their homesteads. They have indigenous hunting procedure to trap the animal in the forest. A total of 9 foods, 15 fruits, 12 energy-producing and 11 timber species was found and recorded that the Garo used in their daily life. Moreover, Garo used 23 medicinal plants species and have vast indigenous knowledge about using herbal medicine in daily health care practices. The Garo women do mostly the household activities, managing homestead forest and helping agricultural field where men perform all hard working activities like ploughing, cutting trees, digging the soil, preparation of horticultural and agricultural land, hunting, etc.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Garo could be considerably upgraded if ethno-botanical issues and their own indigenous knowledge will complement with scientific knowledge.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clude that the conservation of the indigenous knowledge of the Garo tribe related to plants utilization can also be turned to good account in forest conservation and is an important tool in this tribal area of Bangladesh.

Botanical Characteristics, Fresh Yield and Table Qualities of CNU Waxy Corn Hybrids

  • Na, Wong-Hyeun;Lee, Moon-Sub;Ha, Ji-Hyung;Yang, Jae-Hyeon;Lee, Hee-B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7-22
    • /
    • 2015
  • A total of CNU 28 hybrids were developed at the CNU Corn Breeding Lab. were evaluated to identify new cultivars in botanical characteristics, fresh yield per 10a and taste qualities. Most of these hybrids were stable in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lodging, disease and insects. Stem height ranged from 115.0 to 239.3 cm, and ear height ranged from 30.7 to 107.0 cm. The ear height to stem height ratio was showed low than 50% of standard as a stable plant type to lodging. The range of ear length was 14.2 cm to 23.0 cm. Especially, CNU 13H-73 was very longest ear as a 23 cm. The fresh yield per 10a was high in purple of CNU13H-79 hybrid than control hybrid Miheuckchal, and CNU13H-73 in white hybrid was similar Yeonnong check hybrid. The 100-kernel weights in CNU13H-3 and CNU13H-9 hybrid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hybrid. CNU13H-98 among hybrids had a 100-kernel weight of 20.32 g, which was heavier than that of the control hybrid Daehackchal Gold 1. The average pericarp thickness was $41.4{\mu}m$, CNU13H-46 among hybrids had a very thin pericarp as a $35.5{\mu}m$. The mean sugar content of the used hybrids was 14.95 brix%; CNU13H-73 and CNU13H-55 had higher than Mibak2 as a control hybrid.

종피제거와 돼지감자종자의 발아 (Seedcoat removal and seed germination in Helianthus tuberosus L.)

  • 임근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40
    • /
    • 1990
  • Pericarp and seedcoat removal treatments were tested to determine their effectiveness in the hard-to-germinate botanical seeds of jerusalem artichoke. Fresh seed of five Helianthus tuberosus L.varieties were (A)untreated (B)water soaked overnight (C) soaked overnight followed by renoval of pericarp or (D) soaked overnight followed by renoval of pericarp and seedcoat. The results indicate that treatments which removed the pericarp and seedcoat were the very effective, giving germination of over 90%. A considerable increase in germination did not follow only the peri-carp removal treatments. The factors inhibitory to germination of fresh jerusalem artichoke seed is associated withthe seedcoat. The removal treatment of pericarp and seed-cost is recommended despite its complexity because it givesa high germination percentage and varies least from varietyto variety. Heliarthus tuberosus L., a biomass potential crop, is a member of the family compositae. The genus Helianthushas provided man with two food plants, the sunflower (H.annus) and the jerusalem artichoke or topinambour (H. tube-rosus) . (3) The jerusalem artichoke grown for its tubers, has always been an extremely minor crop, but it is stillgrown in many places as a food for man or livestock and forthe production of alcohoL. Though tubers are used for pro-pagation jerusalem artichoke also flower and produce seedin head-like in florescences. Flowers are developed acro-petaLly on flattened receptacles such that outermost flowers are oldest. Each of these epigynous flowers may develop an achene-type fruit in which outer layers of the overy wallpersist, while inner layers become disorganized. Insidethe ovary wall of mature fruit, there is a papery seedcoat, probably composed of compact cells from endosperm, integu-ments, and nucellus.In general, the efforts to improving this crop havebeen hampered by the hard-to-germinate botanical seed.Seeds did not germinate for at least IL months after harvest.Fresh seeds of some varieties require one year more to gar-minate. (5) Since the time factor between generations isof concern in a prospective breeding program of jerusalemartichoke , these observations led to investigation of thenature of delayed seed germination in jerusalem artichokeas a biomass potential crop.

  • PDF

경영형태별 산지 초지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Hilly Pasture by Management type)

  • 김종근;유창;조국강;박형수;정종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5-52
    • /
    • 2019
  • 본 시험은 목장 경영형태에 따른 산지초지 조성시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에 이용된 초지는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서울대학교 평창캠퍼스의 시험목장내에 2014년 9월 3일에 조사료 생산형(Forage production type, FP; 오차드그라스 18 + 톨페스큐 12 + 티머시 5 + 화이트클로버 5 kg/ha) 초지와 공공 목장형 (Public farm type, PF; 오차드그라스 12 + 톨페스큐 18 + 티머시 5 + 화이트클로버 5 kg/ha) 초지를 각각 0.5ha씩 조성을 하여 매년 4회 수확 또는 방목을 실시하였으며 파종된 목초의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초장은 화본과목초는 1차 수확시 가장 길었으며 두과목초는 2차 수확시에 가장 길었다. 건물함량은 매년 1차 수확시 가장 높았으며 2차 수확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그러나 2년차에서는 2차, 3차 및 4차 수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p>0.05). 식생변화에 있어서는 조성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두과목초의 비율이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차 및 3차 수확시 잡초와 나지의 비율이 높았지만 4차 수확시는 줄어들었다. 생초 수량은 1년차 전 수확시기에서 목장 형태별 유의성이 있었으나 2년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건물 수량도 생초수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조사료 생산형 초지의 수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공공목장형 초지의 가축 섭취량은 1년차에서는 1,452 kg/ha 이었으나 2년차에는 1,743 kg/ha로 더 높았으며 방목이용율은 3차 방목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영형태별 초지의 사료가치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시기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1차 수확시 가장 낮았으며 TND 함량은 1차 수확시 가장 높았고 RFV 값은 4차 수확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국형 산지초지 조성을 위해서는 현장 상황에 맞는 초지의 조성이 중요하며 생산성에 있어서는 조사료 생산형 모델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결과들은 향후 공공목장형 초지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