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k Design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21초

인천지역 일부 외식업체의 메뉴북 디자인 실태조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enu Book Design in the Restaurant of Incheon Area)

  • 권순자;이준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9-188
    • /
    • 2010
  • In order to aide in the design of an improved menu book, which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arketing tool, the current version of the menu books and managers (subjects) of 295 restaurants in the Incheon area were examined. These were managers of Korean (36.3%), Western (25.8%), Japanese (14.6%), cafeteria (12.5%) and Chinese (10.8%) style restaurants. The level of service (self-evaluation, 3-point scale) was average $2.25{\pm}0.45$. The general colorings of the menu books were green (19.0%), brown (18.6%), black (17.6%), yellow (15.9%), red (13.6%) and blue (13.2%). The material of the menu book cover was mainly leather (35.9%), and the internal material was mainly coated paper (59.7%). Physically, the design was two-panel fold (38.3%), two-panel multi-page (35.6%), die style (10.2%), single panel (8.1%) and tent style (7.8%). The type sizes were unchanged in 49.9% of the menu books and in 61.7% photos were not used. 53.9% of menu books did not explain the menus, and 13.2% did not classify the items into groups. Emphasis of profit-making menus was not done in 66.8%. 51.5% of menu books were irreplaceable in parts. The emphasis of profit-making menus was less among the Korean style restaurants (p<0.001). The possibility of partial replacement of menu books was lower in both Korean and Chinese restaurants (p<0.001). The explanation of the items was lower in the Japanese restaurants (p<0.001). The classification of items into groups was lower in cafeteria (p<0.001). In cases in which there were both seasonal and event menus, the possibility of partial replacements of menu books was higher (p<0.001). Restaurants of which service level was less than ordinary were lower in the differentiation of type sizes (p<0.001), the use of photos (p<0.001), the explanation of menus (p<0.001), the classification of menus by groups (p<0.05), the emphasis of profit-making menus (p<0.001) and the possibility of partial replacement of menu books (p<0.001). If these study findings are applied to the designing of menu books, the role of the menu book as an important tool for marketing could be greatly improved.

EPUB3.0 고정형 레이아웃 전자책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an EPUB3.0-Based Fixed Layout e-Book)

  • 문현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5-112
    • /
    • 2015
  • 최근 향상된 기능의 EPUB3.0 전자책 표준이 발표되면서 전자책 제작과 유통 측면에서 많은 발전과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독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과 인터랙티브 기능을 포함한 EPUB3.0 기반의 전자책을 구현하면서, 종이책과 전자책의 동시 출판을 고려하는 제작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는, Adobe Indesign CC(2014)를 이용하여 편집과 레이아웃 디자인 완성하고 인터랙티브 기능을 부여한 후 EPUB3.0 파일로 저장을 하였다. 저장된 EPUB 파일을 Sigil 프로그램에서 열어 세부코드를 확인하고 발생하는 에러를 체크하면서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완성된 EPUB3.0 파일은 epubtest.org 사이트의 적합성 결과를 바탕으로 EPUB3.0 기능을 잘 구현할 수 있으면서 파일 업로드가 가능한 4개의 EPUB 뷰어를 데스크탑과 모바일 기기에 각각 설치하여 테스트 하였다. 본 논문은 고정형 레이아웃과 인터랙티브 기능 구현이 가능한 EPUB3.0 기반의 전자책을 구현하고, 제작 프로그램을 상호 연동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자책 제작의 과정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 종이책과 전자책의 동시 출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스마트폰 환경에서 전자책 리더 기능 설정 옵션 및 터치스크린 동작 사용에 관한 사용자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User Preferences in the Use of E-book Readers: Feature-Setting Options and Touchscreen Actions in a Smartphone Environment)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41-152
    • /
    • 2014
  • 전자책 리더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매우 다양하여 사용성 문제를 야기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6개의 스마트폰용 전자책 리더를 대상으로 기능 설정 옵션과 터치스크린 동작 사용에 관한 사용자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전자책 리더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기능 설정 옵션에 대한 분석 결과, 배경색 설정은 배경색 아이콘에 사용되는 글자 색상을 함께 명시하고 지원되는 배경색의 종류는 8개가 적절하며, 화면밝기 설정은 화면밝기 설정 바를 이용하여 조정하고, 화면밝기 자동 옵션 기능을 함께 제공하며, 글자크기 조정은 +/- 버턴을 이용하고, 글자모양은 '기본값' 옵션과 함께 10개 정도를 지원하는 것이 이상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지 넘김 효과는 효과 없음, 페이지 넘김, 슬라이드, 스크롤, 사라지는 효과 옵션을 제공하고, 페이지 이동 방법은 스크롤바에 의한 이동을 기본으로 하고, 페이지 번호 입력에 의한 이동, 목차 및 책갈피 목록에 의한 페이지 이동의 기능은 반드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책 리더 터치스크린 동작 기능에 관한 분석 결과 전자책 리더의 화면 구성은 좌, 우, 중간으로 구분하고 화면 좌측을 짧게 한번 터치하면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로, 우측을 터치하면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고, 화면의 중간을 터치하면 기능 메뉴가 표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전자책 리더 사용자 인터 페이스 설계 시에 사용성 향상을 위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독서장애인용 모바일 전자책뷰어 인터페이스 설계 (A Design of Mobile e-Book Viewer interface for the Reading Disabled People)

  • 이경희;김태은;이종우;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0-107
    • /
    • 2013
  • 최근 전자책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전자책 단말기에서부터 스마트 기기의 소프트웨어 리더까지 각종 전자책뷰어가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 난독증, 학습장애인과 같은 독서장애인을 위한 모바일 전자책 인터페이스에 대한 개발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전자책뷰어는 독서장애인에게 그대로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독서장애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독서장애인용 전자책 표준 형식을 지원하는 모바일 전자책 뷰어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안한다. 제시 모델은 전맹인, 저시력인, 학습장애인 등 사용자의 특성 및 상황(context)에 따라 차별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독서장애인용 어노테이션 시스템을 지원함으로써 기존의 독서장애인용 오디오북과는 다른 사용자-전자책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한다. 또한 본 모델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플랫폼인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독서장애인용 전자책뷰어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인구 10%에 해당하는 독서장애인의 효율적인 독서활동을 지원할 수 있다.

공공도서관 세부소요공간 규모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 of Individual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 임호균;고흥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390-39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lanning guideline of individual space size for public library. The 26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data of outstanding libraries built after the year 2000. The paper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data from analysis and the guideline from manual book of public librar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ed ; The first, reference reading rooms were open-plan rather than segmented. The second, the percentages of reference reading spaces from the data were lower than the guidelines. It proved the fact that the role of public library expanded to cultural community space. The third, children's space retained sufficient numbers of book collections. It represented that people realized the importance of children's library in terms of cultural education. The fourth, the percentage of space size of cultural area showed high amount of numbers. It proved the fact that the public library as community center was required various cultural programs. The fifth, the percentages of preservation library were lower than the guideline in case of the big libraries, while the small libraries were higher. The book collections of detached annex libraries should be linked with the central libraries.

  • PDF

국내 전자책 제공업체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n Evaluative Research on the Performances of E-book Producers and Suppliers)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5-154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8개 전자책 제공업체를 대상으로 기술개발, 콘텐츠, 서비스 분야에서 16개 평가항목을 가지고 그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6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종합적으로 가장 우수한 전자책 제공업체는 교보문고, 북큐브, 리디북스, 인터파크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기술개발분야에서는 북큐브가, 콘텐츠 분야에서는 교보문고가, 그리고 서비스 분야에서는 교보문고와 리디북스가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취약한 항목은 '자가출판 지원유무', '가독성', '홍보의 필요성', '콘텐츠 보유종수' 항목 등으로 나타나 이들 항목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제언으로는 우수한 기능의 단말기 개발,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개발, 가독성 향상, 콘텐츠 주제의 다양화, 콘텐츠의 최신성 유지,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및 확보,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정책을 제시하였다.

버클리대학의 도서관 사례로 보는 대학도서관 실내공간의 설계방향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Directions of University Library Building through the Analysis of UC Berkeley Libraries)

  • 이재훈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3-1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interior design directions for university library in the circumstances of rapid change of user's demand for the library. In order to extract some ideas about designing the library, I analyzed the libraries of UC Berkeley which has tried to transform the existing condition of the building for satisfying user's new needs. Informations of compositions, layouts of furnitures and book shelves, environmental conditions of 25 branch libraries of UC Berkeley, and spatial behavior patterns in librari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to get insights to design a new model of library buildings. The interesting phenomena got from the survey is that most of the library users used their own laptop computer in the library regardles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library or book types. In conclusion, as the library is changing to the place of studying, not of reading books, four design directions for the library are suggested in this research as like these; 1) Establishing a Regulation Free Environment for a user, 2) Enhancing the Aura of Books as an Interior Design Element, 3) Supplying Personalized Spatial Characters, and 4) Providing an Impactful Space.

멀티레이어 기법을 활용한 웹기반 POD 시스템 (Web-based POD system Using Multi-Layer Technique)

  • 이병권;김학진;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93-119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멀티레이어(Multi-layer) 기법을 이용한 A4 크기의 웹기반 POD(Print on Demand)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멀티레이어 기법을 활용하고, 접근성이 뛰어난 웹 서비스라는 환경을 이용하며, 템플릿을 생성 제공하고, 사용자가 쉽게 편집 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편집한 파일과 동질의 인쇄물을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는 웹 표준을 따르는 POD 시스템의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안한다. 이는 웹기반 전자출판 및 e-book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