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undermining surger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Definitions of groove and hollowness of the infraorbital region and clinical treatment using soft-tissue filler

  • Lee, Ji-Hyun;Hong, Giwoon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5권3호
    • /
    • pp.214-221
    • /
    • 2018
  • Clarification is needed regarding the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of groove and hollowness of the infraorbital region depending on the cause,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appearance. Grooves in the infraorbital region can be classified as nasojugal grooves (or folds), tear trough deformities, and palpebromalar grooves; these can be differentiated based on anatomical characteristics. They are caused by the herniation of intraorbital fat, atrophy of the skin and subcutaneous fat, contraction of the orbital part of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or squinting, and malar bone resorption. Safe and successful treatment requires an optimal choice of filler and treatment method. The choice between a cannula and needle depends on various factors; a needle is better for injections into a subdermal area in a relatively safe plane, while a cannula is recommended for avoiding vascular compromise when injecting filler into a deep fat layer and releasing fibrotic ligamentous structures. The injection of a soft-tissue filler into the subcutaneous fat tissue is recommended for treating mild indentations around the orbital rim and nasojugal region. Reducing the tethering effect of ligamentous structures by undermining using a cannula prior to the filler injection is recommended for treating relatively deep and fine indentations. The treatment of mild prolapse of the intraorbital septal fat or broad flattening of the infraorbital region can be improved by restoring the volume deficiency using a relatively firm filler.

치주인대 신장에 의한 치아의 급속 견인 시 성견 치주조직의 변화 (Histological Periodontal Tissue Reaction to Rapid Tooth Movement by periodontal Distraction in Dogs)

  • 장영일;김태우;최희영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55-46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periodontal distraction을 통해 급속 견인된 치아의 치조골과 치주인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 치주조직이 정상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4 마리의 성견을 대상으로 하여, 좌우 상악 제2소구치를 발치 후에 상악 제1소구치 원심측 치간골에 홈을 주는 치조골 수술을 통해 골 저항을 약화시키고 제1소구치와 제3소구치에 periodontal distraction 장치를 장착하였다. 장치는 0.225mm씩, 하루에 2회 활성화시키며 상악 제1소구치를 발치와 공간으로 급속 견인하였다. 치아의 급속 견인은 5 일, 10 일, 20 일간 시행하였으며, 20 일간 견인한 대상에서는 2 주, 4 주, 8 주 후까지 유지기간을 두었다. 20 일간의 periodontal distraction을 통해 상악 제1소구치는 평균 5.02mm 원심 이동하였고, 고정원인 제3소구치는 0.58mm 근심 이동하였다. 조직학적 검사에서 distraction된 치주인대 공간에서는 골 재생과 개조가 빠르게 일어나, 견인 10일에 유골조직이 치아의 견인방향에 평행하게 생성되었고, 새로운 골 조직의 형성과 골 개조를 통한 골 성숙은 periodontal distraction 방향을 따라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이는 다른 골의 distraction osteogenesis에서 나타나는 결과와 비슷하였다. 급속 견인된 치아의 치주인대는 상당히 넓게 나타났고, 교원섬유와 치아간의 정상 관계는 급속 견인이 끝난 후 2주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8주에 거의 회복되었다. 그러나, 치주인대의 골 쪽에서는 치아 급속 견인 후 8주까지도 새로운 골이 계속 형성되고 있었고, 교원섬유속이나 Sharpey 섬유는 보이지 않았다. 고정원으로 이용된 치아 주위의 조직반응은 통상적인 교정치료에서와 같이 압박 측에서의 골 흡수와 신장 측에서의 골 형성 소견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periodontal distraction을 통한 치아의 급속 견인 시, 치주인대 조직은 잘 반응하여 치주조직의 재생이 활발히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견인 시 치수 및 치주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Pulp and periodontal tissue changes following rapid tooth retraction by periodontal distraction in young adult dogs)

  • 이종진;홍현실;채종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1-363
    • /
    • 2007
  •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 과정을 통해 급속 견인 후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유성견의 상악 제2소구치를 발거하고 제3소구치 근심의 치간골을 부분 제거하였다. 견인장치는 6일 동안 하루에 2번씩 견인하고, 강화기 동안 0주, 1주, 3주, 5주, 7주, 9주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신장된 치주인대 내에서 견인 직후부터 4주까지 활발한 골밀도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2-3주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강화기 0주에 압박측 치조골의 흡수 및 파골세포 출현, 염증세포 침윤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1주의 신장측 치주인대에서 특징적인 골형성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신생골 형성은 1주와 3주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9주에는 성숙골로의 대치 및 치주인대의 재생으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의 발현은 치수, 치주인대 내의 염증 부위에서 나타났으며 0주, 1주에 압박측 치주인대에서 증가하였다가 5주 이후에는 감소하여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소견은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 이동이 정상적인 골 재형성 과정을 도모하는 새로운 치아이동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