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mbyx mori silk gland fibroi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효소처리에 의한 Bombyx mori fibroin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및 구조 변화 (Molecular Weight and Structural Changes of Enzymatic Hydrolysate from Bombyx mori Fibroin)

  • 여주홍;박경호;이광길;우순옥;권해용;한상미;이희삼;이진아;이인석;조윤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70-473
    • /
    • 2008
  • 본 연구는 누에 실 샘으로부터 얻은 Bambyx mori 피브로인의 효소 가수분해 시 그 분자량 및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GFC)에 의해 B. mori 피브로인을 순수 분리한 결과 회수율이 약 70% 이상으로 기존의 방법(막과 튜브 분리법)에 비해 약 40% 이상 높았다. 이는 GFC법이 고 순수 고 수율의 B. mori 피브로인을 얻을 수 있는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에 의한 분자량 측정 결과 누에 체내 피브로인, 염화칼슘 용해 물 및 효소 가수분해물이 각각 평균분자량 108,000 Da 내외, 65,000 Da 내외 및 1,000 Da 내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효소 가수분해에 의한 구조적 변화를 $^{13}C-NMR$로 알아본 결과, B. mori 피브로인의 메인 골격에 해당되는 glycine, alanine 및 serine 등의 골격 피크가 관찰되어졌으며, 특히 효소가수분해 시 glycine를 의미하는 40-44 ppm 부근의 피크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G-A-G-A-반복 구조가 분해되었고, 이로 인해 분자량이 현저히 저하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5령 누에에 있어서 Fibroin 생합성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Fibroin Biosynthesis in the 5th Instar of Bombyx mori)

  • 이인전;여주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0-185
    • /
    • 1996
  • 가잠 실크 피브로인의 아미노산 조성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Glycine에 동위체 라벨링([1-13C]-Gly)을 실시하여 5령 1일째부터 고치를 지을 때까지의 생합성의 상태를 NMR법을 이용하여 추적하였다. 그 결과 5령 5일을 기준으로 가잠 실크의 결정부분을 형성하는 아미노산이 형성은 되나 실크의 결정부분을 형성하는 아미노산이 형성은 되나 실크가 되었을 때 결정성의 고배향 구조를 이루지 못하고 결정성의 저배향 구조를 형성하고마는 형태로 된다고 생각되어 졌다. 이 사실은 배향시료의 고체CP-NMR 스펙트럼의 피크 분리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수소결합에 관여하는 N-H의 방향이 거의 수직이라고 할 수 있는 83˚의 분자축 부분이 18˚의 고배향 분포를 이루면서 82% 존재하고, 또 나는 N-H의 결합방향이 60˚인 분자축 부분이 18% 존재하면서 62˚의 배향분포를 이룬다고 하는 시뮤레이션의 결과로 설명되어졌다.

  • PDF

Construction of cDNA Library from Posterior Silk Gland (PSG) of Korean Oak Silkmoth, Antheraea yamamai and Molecular Cloning of Fibroin Heavy Chain Gene(FHC)

  • Lee, Jin-Sung;Kim, Soon-Jung;Kim, Ki-Hwan;Park, Young-Min;Suh, Dong-Sa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0-13
    • /
    • 2000
  • To develope the genetic source of oak wild silkworm, Antheraea yamamai, the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with poly A+ mRNA isolated from posterial silk gland of fifth instar larvae. Titer of the cDNA library was about 5.1$\times$105 pfu in total. We presumed that the titer covered almost all transcripts existed in Antherea yamamai. From cDNA library of Antheraea yamamai, fibroin heavy chain gene, which is specifically expressed from posterial silk gland of Antheraea yamamai, was screened using oligonuclotide probe specific to alanine rich motif of fibrin heavy chain gene of Antheraea pernyi. As a result, fibroin clones isolated from 5$\times$104 plaques showed the highest homolgy (95%) with that of Antherea pernyi in nucleotide of Anthereaea yamamai and Bombyx mori shows that there is no homologous sequence in the 3+ partial 채야후 region Genomic southern hybridization suggested that one copy is present. Northern hybridization showed that fibroin transcript was approximateely 9 kb in length.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Fibroin Light Chain Gene from the Silkworm Baekok-Jam (Bombyx mori)

  • Park, Kwang-Ho;Goo, Tae-Won;Yun, Eun-Young;Hwang, Jae-Sam;Kang, Seok-Woo;Lee, Sang-Mong;Sohn, Hung-Dae;Jin, Byung-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5권1호
    • /
    • pp.93-102
    • /
    • 2002
  • We have cloned and characterized the complete fibroin light chain gene from the silkworm Baekok-Jam, Bombyx mori, a recommended variety in Korea. It consists of seven exons and six introns. It consists of 14,663 nucleotides long with an open reading frame of 786 nucleotides that encodes a protein of 262 amino acid residues with a molecular mass of approximately 26,000 dalton. The amino acid alignment revealed that the Baekok-Jam fibroin light chain had 98.5 % protein sequence identity to J139 strain: differed at four amino acid positions (11, 46, 80 and 123). The Northern hybridiz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Baekok-Jam fibroin light chain gene was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posterior silk gland.

가잠사단백질의 각과정에서의 Cystine 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YSTINE COMPONENT IN THE SERICULTURAL PROTEINS OF BOMBYX MORI L.)

  • Choe, Byong-Hee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권
    • /
    • pp.1-31
    • /
    • 1962
  • 본 연구는 견사중의 Cystine 성분을 가잠전과정을 통하여 기존재를 확인하고 견사구조중에서 cross linkage를 조성하고 있음을 확인하는데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ystine 결정체를 Folin 씨 방법으로 견사로부터 분리하였다. 2. 견사 및 그와 관련있는 과정에서 Sullivan 씨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시료 Cystine 함유량 % A. 상엽단백질 0.175 B.잠란 0.33 C. 잠체 (탈지, 숙잠, 견사선제외) 0.41 D. 견사선 (숙잠) 1.23 E. 잠 0.0 F. 잠통 (탈지) 0.30 G. 잠아 (탈지) 0.60 H. 생계 0.22 I. Fibroin 0.175 J. Sericin 0.30 3. 잠체내의 Cystine 존재는 상엽에서 0.175%, 견사선에서 0.12%의 Methionine을 확인함으로 생화학적의의와 더불어 재확인하였다. 4. 견사선내의 Sulfhydryl 화합물은 Sericin과 Methionine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자는 액상견으로 분비되어 견사를 구성하고 후자는 영양목적으로 견사선세포 육성에 사용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5. Cystine 성분량은 상품종, 잠품종, 자웅성, 육종과정과 사육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6. 잡종강세로 육성된 교잡종은 원잠종보다 효과적인 성장을 위하여 더욱 많은 영양성 아미노산을 필요로 한다. 7. 여기한 관찰을 통하여 견사중 아미노산조성은 어느정도 변화하는 것이며 Cystine은 섬유의 무정형부분 특히 Sericin에 함유되고 있다. 8. 순수한 Cystine 또는 양모 Cystine을 첨식한 결과 하등의 이익점을 초래하지 못하였음으로 상엽중에 함유되어있는 Cystine과 Methionine 함유량은 잠아의 영양생리에 충분한 것으로 보인다. 9. 견사중의 disulfide cross linkage는 Harris 씨 방법과 여러가지 염류와 산에 의한 수축현상으로 확인하였고 양모와 대조하여 시험하였다. 10. 본 연구중 견사의 사상구조와 액상견의 입망상구조를 현미경으로 포착하였다. 액상견의 입망상은 입상 peptide의 OH ion과 물의 H ion의 인력관계로 형성되고 있다는 것을 기 film의 배열상태로 고찰하게 되었고 상엽단백질의 입망상은 견사의 사상형성에 적당한 사료임을 보이고 있다. 11. 본 논문을 통한 Cystine 존재는 비록 그 량이 적지마는 견사중의 Cystine 전무에 대한 종래관념을 전환시킬 것이다.

  • PDF

누에 후부실샘 특이 발현 유전자 클로닝 (Cloning of the posterior silk glands specific-expressed gene of silkworm)

  • 박옥란;김성렬;김성완;강석우;구태원;최광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4-49
    • /
    • 2015
  • 본 연구는 누에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새로운 전사체를 탐색하고 이의 프로모터 영역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형질전환누에 제작용 전이벡터 시스템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활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새로운 후부실샘 특이 발현 전사체 선발을 위해 ACP-based dd-PCR 방법으로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34개 PCR 증폭 산물이 선발되었는데, 이 중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전사체인 ACP-16(366 bp)이 선발되었다. Northern blotting hybridization 분석 결과, ACP-16은 후부실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전사체 발현량에서는 fibroin light chain 보다는 적었으며 전사체 크기에서는 fibroin light chain 보다는 다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ACP-16 유전자 프로모터 영역을 클로닝 하기 위해 게놈 유전자은행으로부터 ACP-16 (366 bp)를 탐침으로 전체 17.4 kb 크기의 파이지 클론을 선발할 수 있었으며, 전사체 상류에 유전자 발현조절에 필요한 TATA box와 Cap box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보된 ACP-16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은 이후 코어 프로모터 개발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인 누에 형질전환 시스템 구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