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kbunja jell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복분자 젤리의 제조특성 및 이화학적 성분분석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elly)

  • 김철암;권오영;왕명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54-559
    • /
    • 2010
  • 복분자즙과 설탕에 젤라틴과 펙틴을 서로 다른 비율로 첨가하여 복분자 젤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복분자 젤리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 총산의 함량, 당도는 각 시험구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중 L값은 젤라틴 첨가 비율이 증가에 따라 높게 나타났고, 펙틴 첨가 비율이 증가에 따라 젤리의 a값과 b값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견고성, 부착성, 씹힘성은 젤라틴의 첨가 비율이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고 탄력성, 응집성, 검성은 펙틴 첨가 비율이 증가에 따라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중 종합적 기호도는 젤라틴과 펙틴을 각각 10%씩 첨가한 시험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분자 젤리 제조 시 겔화제로 젤라틴과 펙틴을 각각 10%씩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복분자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유옥경;김지은;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92-797
    • /
    • 2008
  • 복분자 젤리의 최적 레시피를 개발하고자 복분자 추출액, 복분자 향, 설탕, 물엿의 함량을 달리한 시료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texture, 색도, 관능평가 등과 같은 품질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반성분은 수분이 19.0%, 조단백질이 0.8% 이었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은 검출되지 않았다. 복분자 젤리의 texture는 복분자 추출액 양이 적은 제품이 복분자 추출액 양이 많은 제품보다 경도, 검성,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L값은 복분자 추출액의 양이 적은 제품과 설탕 함량이 많은 제품이 복분자 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은 제품과 설탕 첨가량이 적은 제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b값은 복분자 추출액 또는 설탕의 첨가량이 많은 제품이 적은 제품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항목 중 향미, 색도, 당도, 경도(씹는 느낌), 끈적임, 전체적인 기호도를 모두 충족시키는 최적의 레시피는 물 240 g, 설탕 120g, 물엿 110 g, 한천 4 g, 복분자 추출액 20 g, 복분자 향 0.3 g으로 제조하는 B 제품으로 사료된다.

유산균 발효다시마(Saccharina japonica)를 첨가한 복분자 젤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kbunja Jelly Containing Fermente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 최지원;이연지;문수경;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08-416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jelly prepared from gelatin, sugar, bokbunja extract, and different amounts (0, 0.5, 1, 2 and 3%) of fermente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FSP). The jelly moisture, pH, and sugar content sligh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FSP content.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Jelly antioxidant activ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SP. In contrast, alcohol dehydrogen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ies in the jell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β-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in jellie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Jellies containing 0.5 or 1% FSP achieved the highest overall sensory acceptance score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addition of FSP to jelly appears to improve its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ptimization of Jelly Made with Rubus coreanus (Bokbunj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Joo, Na-Mi;Lee, Sun-Mee;Jeong, Hee-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148-15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new applications for Rubus coreanus and to produce new products. Jelly prepared with Rubus coreanus was studied and analyzed with regard to its composition, rheology and sensory evaluation. The technique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which showed 16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2 replicates for Rubus coreanus juice, gelatin and sucros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and hardness, springness, chewiness and gummines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and these were mostly influenced by the content of Rubus coreanus juice. Significant sensory characteristics such as color, flavor, transparency, taste and the overall quality were also foun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Rubus coreanus juice and gelatin in general. Based on the overlapping categories of factors that satisfied all sensory categories, the maximally optimized point was taken as the middle point. This value was determined to be 43.28 g of Rubus coreanus juice and 9.19 g of gelatin for every 140.00 g of sucr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