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ehmeria nivea powde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모시잎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Made with Boehmeria nivea Powder)

  • 박복희;김금여;조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5-382
    • /
    • 2014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hen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oehmeria nivea powder were added to wheat flour. Cooking quality, mechanical textural properties,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the prepared noodles. The gelatinization points of the composite Boehmeria nivea powder-wheat flours increased. The viscosity at $95^{\circ}C$, viscosity at $95^{\circ}C$ after 15 minutes, and maximum viscosity values of the samples decreased, as the Boehmeria nivea powder content increased as measured via amylography.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and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oehmeria nivea powder. Further, the color values, weight and volume of the cooked noodles increased, along with the turbidity of the soup with increasing amounts of Boehmeria nivea powder. Regarding textural characteristics, Boehmeria nivea powder additive increased hardness and reduced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verall, noodles prepared with 15% Boehmeria nivea powder were preferred compared to other noodl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sensory evaluation.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의 품질 특성 연구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Added with Ramie Leaf Extract Powder (Boehmerianivea)Powder)

  • 최영심;엄영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소재인 모시 잎 분말을 손쉽게 다식으로 제조할 수 있는 볶은 콩가루에 첨가하여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모시 잎 분말 0% 콩다식의 경우 수분함량은 $8.39{\pm}0.98%$로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모시 잎 분말 10% 첨가한 콩다식의 경우가 $14.71{\pm}0.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의 명도와 적색도, 황색도는 모시 잎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의 조직감 측정 항목 중 경도, 검성, 씹힘성의 경우 모시 잎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부착성과 응집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모시 잎 분말 콩다식의 관능검사 색과 맛, 부드러운 정도, 전체적인 기호도의 경우 모시 잎 분말 8% 콩다식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향기는 모시 잎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모시 잎 분말을 첨가한 콩다식의 경우 색이나 맛, 향기,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8%를 첨가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한 첨가 수분이라고 사료된다.

  • PDF

모시잎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Boehmeria nivea Powder)

  • 박유미;조희숙;박복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65-471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Boehmeria nivea powder.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7.71%, 20.09%, 39.01%, 31.25% and 0.93%, respectively. The yield of tofu added with BNP increased with addition of BNP,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 as well 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otal acidity. In addition, L, a and b values of tofu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 of BNP. In terms of textural properties,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whereas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of BNP. In the sensory evaluation, overall preference for tofu added with 0.6% BNP was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results, addition of BNP positively affects the overall sensory evaluation of tofu, and 0.6% is the optimal level.

모시잎 분말 첨가에 따른 만두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Containing Boehmeria nivea Powder)

  • 박인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8-275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oehmerianivea powder on the function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umpling shell. Various dumpling shell samples were prepared with wheat flour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Boehmerianivea powder. The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mylograph data, the composite Boehmerianivea powder-wheat flour samples had increased gelatinization temperatures with increasing Boehmerianivea powder content; whereas the initial viscosity at $95^{\circ}C$, viscosity at $95^{\circ}C$ after 15 minutes, and the maximum viscosity were reduced. The L, a and b Hunter's color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Boehmerianivea powder content. In addition to the cooked weight, the cooked volume and turbidity of dumpling shell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Boehmerianivea powder. In term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Boehmerianivea powder increased the chewiness, smoothness and adhesiveness.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tent of Boehmerianivea powder (p<0.05). Finally, the results of the sensory properties indicated that 5% Boehmerianivea powder had the highest sc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ehmerianivea powder can be applied to dumpling shells to achieve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 박미란;이재준;김아라;정해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53-860
    • /
    • 2010
  •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ose, galact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함량이 2,432.53 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순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83.57 mg%로 가장 많아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는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valine, phenylalanine, alanine, threonine, phosphoser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caproic acid methyl ester가 58.23%, pentadecanoic acid가 41.77%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극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함량 분석으로 항산화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0.0194 mg%, 0.0184 mg% 및 0.1833 mg%로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Ca 함량이 3,135.20 mg%로 가장 많았으며, K이 1,434.60 mg%였고 다음으로 Mg, Na, Mn, Fe, Zn, Cu 순으로 검출되었고 Zn과 Cu의 함량은 미량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ma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덖음 모시풀잎 가루 첨가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with added Dukeum (pan-fired) Ramie Leaf (Boehmeria nivea)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유진;우관식;정헌상;김운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10-819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to compare them to a control. We used two different optimal composition ratios to produce muffins.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s were varied by changing the ratio of dukeum ramie leaf powder, butter, and sugar to identify a critical value using response surface regression analysis. The ranges for the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sugar, and butter were 15-35, 60-100, and 60-100 g, respectively.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ves had comparable mineral and antioxidant vitamin compositions to those of dried ramie leaves. Muffins with added dukeum ramie leaf powder satisfied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showing a p-value within 5% of significance level (p<0.05) for every aspect Volume and height differed without any association to ingredients. Light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leaf powder was added with more butter and sugar, redness increased when more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sugar were added with 70-80 g of butter, whereas yellow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powder was added. Texture and toughness increased when less dukeum ramie leaf powder was added. The degree of gumminess and chewiness depended hugely on the amount of sugar. Cohesiveness, decreased with more dukeum ramie leaf powder and butter, whereas hardness increased with a medium range of ingredients. Sensory character increased with less dukeum ramie powder, and overall quality increased with more butter and sugar, but depended on the amount of added dukeum ramie power. The critical values from the sensory characteristics showed that 27 g of dukeum ramie powder, 72 g of sugar, and 86 g of butter was optimum.

모시잎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mie Leaves on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ect in Rats Fed a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

  • 이재준;박미란;김아라;이명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3-90
    • /
    • 2011
  • 본 연구는 모시잎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in vivo에서 5주령 된 흰쥐 수컷 24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 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5% 모시잎 분말 첨가군(HFC-R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모시잎 분말 첨가군(HFC-R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시잎 분말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대조군(HFC)이 가장 낮았으며, 모시잎 분말 급여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식이효율은 10% 모시잎 분말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 식이군(N)의 식이효율 수준과 유사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지방조직의 무게는 10% 모시잎 분말 첨가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 식이군(N)보다 오히려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혈청 중 AST, ALT, ALP 및 LDH 활성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저하되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과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로 증가되었으나, 모시잎 분말 첨가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감소되어진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되어진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위험지수는 5%와 10%의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10% 모시잎 분말을 급여하였을 경우 감소효과가 커 정상 식이군(N)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간조직 중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모시잎 분말 급여로 모두 대조군(HFC)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장간막지방조직과 부고환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도 모시잎 분말 급여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지방조직의 HR-LPL과 TE-LPL 활성은 모시잎 분말의 첨가 급여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급여한 모시잎 분말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모시잎 분말에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소와 클로로필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지질대사를 개선시키고 지방축적을 억제하여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효과와 비만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 대사성 합병률과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그 외에 어떠한 생리활성 성분이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추후 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한 모시분말 첨가 비단죽 제조조건 조사 (Investigation for Processing Conditions of Porridge with Addition of Ramie Leaf (Boehmeria nivea L) Powder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영택;임지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841-848
    • /
    • 2012
  • 모시죽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7.40-11.60 brix, pH는 6.0-6.6 사이에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시죽의 amylose함량은 가수량에 의해 유의적인 영향을 받았으며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성은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보여 주었으나, 모시분말은 죽의 점성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퍼짐성은 가수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점성이 증가할수록 퍼짐성은 떨어진다는 사실과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모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밝기는 현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가수량의 변화는 밝기에 거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시분말 첨가량은 적색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황색도는 모시분말 첨가비를 증가시킬수록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시죽의 제조조건에서 가수량은 물성특성에 모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모시분말 첨가비율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설정된 범위 내에서는 물성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