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ethanol concentration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 of Beverage Containing Fermented Akebia quinata Extracts on Alcoholic Hangover

  • Jung, Suhan;Lee, Sang Hoon;Song, Young Sun;Lee, Seo Yeon;Kim, So Young;Ko, Kwang 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9-13
    • /
    • 201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everages containing fermented Akebia quinata extracts on alcoholic hangover. For this study, 25 healthy young men were recruited. All participants consumed 100 mL of water (placebo), commercial hangover beverage A or B, fermented A. quinata leaf (AQL) or fruit (AQF) extract before alcohol consumption. After 1 h, all participants consumed a bottle of Soju, Korean distilled liquor (360 mL), containing 20% alcohol. Blood was collected at 0 h, 1 h, 3 h, and 5 h after alcohol consumption. The plasma alanine transaminase (ALT) activity was highest in the placebo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QL and AQF groups showed decreased ALT activity at 5 h after alcohol consumption. Plasma ethano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fter alcohol intake and peaked at 3 h after alcohol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 group showed a higher plasma ethanol concentration at 1 h (P<0.05). At 3 h after alcohol consumption, the AQF group showed the lowest mean plasma ethanol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fter 5 h of alcohol consumption, the AQL and AQF groups showed lower plasma ethanol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the B group.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for the fermented A. quinata fruit extract was lower than for the commercial hangover beverages. In conclusion, the present intervention study results suggest that fermented A. quinata extracts alleviate alcoholic hangover and reduce plasma ethanol concentrations.

Oral Administration of Alcohol-Tolerant Lactic Acid Bacteria Alleviates Blood Alcohol Concentration and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Rodents

  • Misun Yun;Hee Eun Jo;Namhee Kim;Hyo Kyeong Park;Young Seo Jang;Ga Hee Choi;Ha Eun Jo;Jeong Hyun Seo;Ji Ye Mok;Sang Min Park;Hak-Jong Cho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838-845
    • /
    • 2024
  •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can have serious negative consequences on health, including addiction, liver damage, and other long-term effects. The causes of hangovers include dehydration, alcohol and alcohol metabolite toxicity, and nutrient deficiency due to absorption disorders. Additionally, alcohol consumption can slow reaction times, making it more difficult to rapidly respond to situations that require quick thinking. Exposure to a large amount of ethanol can also negatively affect a person's righting reflex and balanc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LAB) to alleviate alcohol-induced effects and behavioral responses. Two LAB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Levilactobacillus brevis WiKim0168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WiKim0172, were selected for their ethanol tolerance and potential to alleviate hangover symptoms. Enzyme activity assays for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were then conducted to evaluate the role of these bacteria in alcohol metabolism. Through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these strains were assessed for their ability to reduce blood alcohol concentrations and protect against alcohol-induced liver dam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LAB strains possess significant ethanol tolerance and elevate ADH and ALDH activities. LAB administration remarkably reduced blood alcohol levels in rats after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Moreover, the LAB strains showed hepatoprotective effects and enhanced behavioral outcomes, highlighting their potential as probiotics for counteracting the adverse effects of alcohol consumpt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incorporating LAB strains that can mediate behavioral improvements following alcohol intake.

Schizandrin함량이 높은 음료개발올 위한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추출조건 (Extraction Condi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for Beverage Develooment of High Scizandrin Concentration)

  • 최은오;이봉수;박용수;서은옥;정봉우
    • KSBB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71-275
    • /
    • 2008
  • 오미자를 이용한 고기능성 음료개발을 위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추출조건별로 오미자의 기능성분 함량 및 anthocyanin 색소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분쇄하지 않은 오미자를 이용해서 추출한 경우, Bl값은 차이가 없었으나, schizandrin은 20% 수준에 그쳐 최종적으로 분쇄한 오미자를 시료로 설정하였다. 분쇄한 오미자는 $40^{\circ}C$, 75% ethanol로 추출했을 때 schizandrin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Bl 값은 온도와 ethanol 함량이 높아 질수록 감소하였다. 높은 기능성과 제품의 관능성을 고려할 때 schizandrin 함량과 Bl값을 최적으로 만족하는 조건은 분쇄 오미자를 $46^{\circ}C$에서 24% ethanol을 사용하여 3시간 추출했을 경우 높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천마 분말,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이 본태성고혈압쥐(SHR)의 혈청지질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wder, 50%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iae Rhizoma on Serum Lipids and Blood Pressure in SHR Fed High-Fat Diet)

  • 한찬규;이옥환;김경임;박정민;김영찬;이부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95-1101
    • /
    • 2003
  • 본 연구는 천마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태성고혈압쥐(SHR/NCrj)를 공시하여 고지방식이(lard, 10%)를 급여하면서 천마 분말과 50% 에탄올과 열수추출물이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지방식이 4주와 고지방식 이와 천마식이 4주 등 총 8주간 시험 후 종료체중은 대조군(A)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천마분말 1%군(C)이 가장 낮았다. 평균 성장률은 식이군간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이 천마식이군에 비해 다소 높았다. 식이섭취량은 천마분말 10%군(D)과 열수추출물 2 brix군(G)이 가장 많았고 천마분말 5%군(C)과 열수추출물 10 brix군(H)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장기중 간장과 신장무게는 열수추출물군(H)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비장무게는 차이가 없었다. 정소무게는 천마분말군(C,D)이 유의하게 높았고, 열수추출물군(G, H)이 가장 낮았다(p<0.05). 혈청지질중 TC 함량은 대조군(A, B)이 가장 높았고, 천마식이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TG 함량은 식이군간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HDL 함량은 대조군(A)과 천마분말 5%군(D)을 제외한 천마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p<0.05), LDL 함량은 대조군(A, B)이 가장 높았고, 열수추출물군(E, G)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천마식이를 급여하기 전(생후 약 8주령)모든 SHR의 기준혈압은 176.7∼195.1 mmHg으로, 평균혈압은 185.7 $\pm$ 5.8 mmHg이었다. 천마식이를 급여한 후 14일이 경과시 50% 에탄올추출물군(F)과 열수추출물군(G, H)에서 혈압이 각각9.5, 19.0, 10.9 mmHg 감소하였고, 28일에는 특히 50% 에 탄올추출물군(E, F)에서 각각 13.1, 10.5 mmHg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천마식이 급여 전 기준혈압 대비 감소율은 50%에탄올(E, F)과 열수추출물군(G)에서 각각 16.8, 20.2, 11.7 mmHg으로써 유의한 혈압변화로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SHR 실험쥐의 혈압강하에 천마의 50% 에탄올추출물(F)이 천마의 분말식이 및 열수추출물에 비해 수축기혈압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뽕잎과 잠분 추출물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 및 맹장 내 미생물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Excreta Extracts on Weight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and Cecal Microflorae of Chicks)

  • 한상훈;김동욱;지상윤;홍성구;김상호;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50-160
    • /
    • 2012
  • 본 연구는 뽕잎과 잠분의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 급여하였을 경우, 육계의 생산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부화 1일령 육계 수평아리(Ross) 240수를 공시하여 항생제 무첨가군, 항생제 첨가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뽕잎 에탄올 추출물 0.1%와 1% 첨가군, 잠분 에탄올 추출물 0.1%와 1% 첨가군 등 6 처리군으로 분류하고 5주간 사육하여 육계의 생산성, 혈액 생화학, 혈액 내 항산화 관련 인자, 계육의 저장성, 맹장 내 미생물 균총 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뽕잎 추출물 및 잠분 추출물 첨가 급여 시 육계의 증체량에서는 대조군들에 비해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및, 사료 요구율은 항생제 첨가 사료를 사용한 대조구에 비해 개선되어 생산성 향상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고, 혈액 총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TEAC 수치 및 혈액 내 지질과산화물인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잠분 추출물 첨가 급여 시 혈액 성상의 긍정적 영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P = 0.001). 또한 큰 차이는 아니었지만, 저장 기간별 지질산패도를 조사한 결과 뽕잎 추출물 및 잠분 추출물 첨가 급여 시 저장기간에 따른 지질 산화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사육 종료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MDA 농도를 측정한 결과는 SEA 실험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지만, 10일 동안 총 증가한 MDA의 농도는 MLB군에서 가장 낮았다($P=4.417{\times}10^{-3}$). 맹장 내 미생물 균총에 대한 영향은 잠분 추출물 첨가 급여 시 항생제 무첨가군에 비해 총 균수의 감소가 유의한 수준에서 관찰되었고($P=6.462{\times}10^{-5}$), coliform bacteria의 경우 항생제 무첨가군에 비해 유의한 수준에서 ($P=1.182{\times}10^{-7}$)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Salmonella sp.에 대한 생장저해 효과는 전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343). 흥미로운 점은 다른 처리군들과 달리 MLB 실험군의 경우 무항생제 실험군에 비해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Lactobacillus sp.의 성장을 향상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육계용 사료에 있어서 뽕잎과 잠분의 에탄올 추출물 첨가 급여가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혈액성상에 유익한 영향을 제공함으로써 계육의 품질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항생제 대체제로서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실용화 될 경우 잠업 농가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a Health Drink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Hovenia Dulcis Fruit Stalk and Theracurmin, on Ethanol-Induced Hangover

  • Kang, Nam E;Oh, Yoon Sin;Yeo, Hee Kyung;Baik, Hyun Wook;Jang, Se-Eun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63-570
    • /
    • 2021
  • The fruit stalk of Hovenia dulcis (H.dulcis) is traditionally used to relieve hangovers in Korea. Theracurmin is a highly absorbable curcumin preparation which increases the bioavailability of curcumin. Curcumin is known for i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the role of this combination in lowering alcohol levels in the body, thereby alleviating the severity of alcohol-induced hangover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we conducted a study to investigate the eliminatory effects of a health drink containing the extract of the H. dulcis fruit stalk and theracurmin (theracurmin drink)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The theracurmin drink delivered orally to rats 30 mins before the administration of 40% ethanol (5 g/kg body weight), lowered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nd acetaldehyde in the blood samples collected 1, 3, and 5 h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Furthermore, the theracurmin drink increased th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enzymes.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curmin drink was thus superior to that of other health drink products, suggesting that its consumption may alleviate or prevent an alcohol-induced hangover.

감잎, 녹차, 솔잎의 건분 및 에탄올추출물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Green Tea and Pine Needl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 김은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4호
    • /
    • pp.337-352
    • /
    • 1999
  • The effects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 of persimmon, green tea and pine needle on lipid metabolism,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rats. Forty-nine male Spargue-Dawley rats weighing 107.8$\pm$1.8g were block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Rats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s containing either 5%(w/w) dried leaf powders of one of three different Korea traditional teas, persimmon(Diospyros kaki Thunb), green tea(Camellia Sinensis O.Ktzc)or pine needle(pinus Koreansis Sieb. Et Zucc), or ethanol from equal amounts of each dried tea powder. Food intake,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and weights of liver, kidney and epididymal f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een-tea-powder group, and significantly lower in the pine-needle-powder and pine-needle-extract groups. Persimmon-leaf powder was found to decrease plasma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 by increasing fecal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excretions. Liver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een-tea and pine-needle-extract groups. Red-blood-cell superoxide dismutase(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fed green-tea extract. Liver SOD activity was increased in rats fed pine-needle powder or extract, and liver GSH-px activity was increased in rats fed greentea powder. Plasma and live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 were both decreased in rats fed dried leaf posers or extracts of persimmon or green tea. It is believed that high vitamin E levels in persimmon leaf, and high flavonoid, beta-carotene and vitamin C levels in green tea effectively inhibited lipid peroxidation. In conclusion, persimmon and green tea leaves were effective in lowering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in animal tissue, while pine needles were effective and lowering body weight gain. From these results, persimmon and green tea leaves can be recommended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corder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and aging. As ethanol extracts from these teas were also effecitive in lowering tissue lipid levels and inhibiting lipid peroxidation, we recommend the use of discarded tea grounds for this.

  • PDF

급성 알코올 독성을 유발한 ICR Mouse에서 Allium hookeri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간 기능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llium hookeri Root on Acute Alcohol-Induced Intoxication in ICR Mice)

  • 강혜영;이초은;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25-633
    • /
    • 2016
  • Allium hookeri 뿌리의 $80^{\circ}C$ 열수 추출물 및 95%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별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를 비교한 후 효능이 더 뛰어난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급성 알코올 간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ICR mouse에 1주일간 A. hookeri 뿌리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급성 알코올 간 독성을 유발하기 위하여 40% 알코올을 단회 투여한 후 혈청의 알코올 농도, AST, ALT의 변화, ADH, A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 hookeri 뿌리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보다 95%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A. hookeri 뿌리 95% 에탄올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 시 혈액 및 체내 에탄올 제거 속도를 촉진하고 혈청 AST와 ALT의 활성을 억제하며 간의 ADH, ALDH 활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주로 인한 간 손상에 대해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A. hookeri 뿌리 95%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국내 시판 숙취해소제 4종의 혈중 알코올 및 아세탈데히드 농도 감소 효능 비교 (Efficacy Verification of Four Hangover Cure Products for Reducing Blood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s in Sprague - Dawley Rats)

  • 한민지;진유정;정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9-85
    • /
    • 2022
  • 최근 알코올성 간손상이나 간건강에 효과가 있는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간손상이나 간건강에 대한 기능성은 숙취해소와는 다르기 때문에 숙취해소제들의 숙취해소 효능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의 4가지 숙취해소제의 효능을 알코올에 의한 숙취유도 흰쥐 모델에서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4가지 샘플들은 각각 C, M, R, S로 명명되었다. 동물실험에서 숙취 완화 효능은 혈중 알코올 및 아세탈데히드 농도로 평가되기 때문에 각 샘플들의 효과를 혈중 알코올과 아세탈데히드의 농도와 AUC (Area Under the Curve)로 평가하였다. 알코올 투여는 유의적으로 흰쥐의 혈중 알코올과 아세탈데히드 농도를 증가시켰다. 샘플 C, M, R, S순으로 에탄올의 Cmax와 AUC 감소율은 각각 5.9%, 3.1%, 8.4%, 11.7%와 8.9%, 2.2%, 12.1%, 19.6%였다. 아세탈데히드의 경우, 같은 샘플 순서로 Cmax는 14.2%, 15.2%, 28.2%, 35.0% 감소하였으며, AUC는 21.6%, 7.5%, 22.4%, 29.9%의 감소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샘플 S, R, C, M순으로 4개의 샘플 모두 EtOH군에 대비하여 숙취가 해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샘플 S만이 에탄올과 아세탈데히드의 혈중 농도와 AUC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율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결과는 시중에 판매되는 숙취해소제의 객관적인 효능 검증이 부족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축산식품에 이용하기 위한 쑥 성분중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The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ctive Substances of Mugwort Components for the Utilization to the Foods of Animal Husbandry)

  • 이치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제21차 춘계학술발표회
    • /
    • pp.37-54
    • /
    • 1998
  • 건국대학교본 연구는 쑥의 추출물을 이용해 생체내에서 에탄올의 분해효능, 간기능 및 Cd 독성 저하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에탄올 분해효능은 Rat 1kg 당 25% 에탄을 5g을 경구투여한 후 쑥추출물의 카테킨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일일 사료섭취량의 2% 원료수준으로 각각 미정맥주사를 하였다. 에탄올만 경구투여한 대조군과 에탄올을 경구투여한 후 쑥추출물을 미정맥주사한 실험군은 시간별(0, 1, 2, 3시간)로 미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해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시킨 후 GC(Gas Chromatography)로 혈중 에탄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시간만 달리해 (0시간, 5시간) 혈장을 취해 GOT, GPT의 활성치를 측정하여 간손상정도를 측정하였다. 간기능에 미치는 효과는 간실질세포를 기본배지에 배양한 대조군과 쑥추출물을 배지의 1% 및 2% 원료수준으로 기본배지에 첨가하여 간실질세포를 배양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36시간 배양한 후 현미경으로 형태를 관찰하고 생존 세포수와 GOT, GPT의 활성치를 함께 측정하였다. Cd 독성 저하작용은 4주령의 Sprague-Dawley 수컷 흰쥐를 구입하여 대조군(CON,0.85% saline 10ml/kg B.W.)과 Cd단독 투여군(CD, 0.4mg $CdCl_2/kg$ B.W.), Cd과 쑥추출물을 복강내 투여한 군(IP, 쑥 추출물은 일일사료섭취량의 1% 수준) 그리고 쑥추출물을 구강내 투여한 군(PO, 쑥 추출물은 일일사료섭취량의 1%수준)으로 분류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사육 후 각종 장기 및 혈액을 채취하여 장기에서의 GSH 농도, GSH-Px 및 GR의 활성과 혈장 GOT, GPT 활성을 측정하였고 더불어 각 조직에서 Cd축적량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쑥추출물의 카테킨의 함량을 Iwasa와 Torri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한 결과 네 가지의 추출물중에서 카테킨의 함량은 쑥의 열수추출물이 $8{\sim}10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쑥의 에탄올 추출물은 $3{\sim}4mg/100g$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쑥 추출물을 HPLC를 이용해 주요 카테킨의 성분을 비교한 결과 쑥의 열수추출물 및 에탄올추출물은 (-)-Epigallocatechin (EGC)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3) 시간에 따른 혈중 에탄올 농도를 GC로 측정한 결과 각각 에탄올을 투여한지 1시간 후의 에탄올 농도에서는 CON-E의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MDW-E, MOH-E군은 CON-E에 비해 유의하게(p<0.05)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간실질세포 배양 36시간 후 배지를 걷어내고 밑면에 모인 세포를 모아 현미경으로 수를 측정하여 평균을 낸 결과는 2% MDW-L가 가장 많았으며 2% MOH-L을 제외하고는 CON-L의 세포수가 가장 적었다. 또한 배양 후 취한 세포내의 GOT, GPT의 활성치는 실험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간 조직중의 GSH 함량수준은 쑥추출물 투여군들(IP, PO)이 C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p<0.05)하여 대조군과 같은 정상수준으로 되었다. (7) 간 신장에서의 GSH-Px 활성은 저농도의 Cd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8) 혈장 GOT활성은 IP군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C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p<0.05)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쑥추출물이 체내에서 에탄올 분해를 촉진시키고 간기능을 개선시킴은 물론 GSH농도의 정상회복과 GR의 증가 및 혈장에서의 GOT활성의 감소 등으로 보아 Cd의 간독성도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