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od Assay

검색결과 956건 처리시간 0.033초

에볼라 바이러스 진단법과 개발 동향에 관한 고찰 연구 (Study on Laboratory Diagnosis of the Ebola Virus and Its Current Trends)

  • 정혜선;강윤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05-111
    • /
    • 2015
  • 2013년 12월 말, 에볼라 바이러스는 서아프리카에서 발발했다. 기니를 시작으로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으로 빠르게 퍼지게 되었다. 에볼라 바이러스(자이르형 에볼라 바이러스)는 외피, 비분절, 음성단일가닥 RNA바이러스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인수공통 전염병이다. 바이러스는 처음 감염된 야생동물과 접촉 한 후, 혈액, 땀, 소변, 정액, 모유 등의 체액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사람 대 사람으로 전염된다. 그러나 공기로 전염되지는 않는다. 잠복기는 2~21일이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내피세포, 단핵 식세포, 간세포를 감염시킨다. 감염 후 바이러스가 숙주의 면역 시스템을 회피하기 위해 여러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이것은 혈관, 간 등의 내부 조직 및 기관에 막대한 피해를 주어 죽음에 이르게 한다. RNA 바이러스에 대한 대부분의 실험은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라 기술에 의존한다. 이 방법은 매우 민감하지만 숙련된 과학자, 전원 공급 장치 요구하며 비싸다. 스트립 분석기법(효소면역분석법, ELISA)은 에볼라 바이러스 항원 또는 항체를 검출한다. 이 기법은 저렴하며, 전기, 냉장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실험적인 치료 및 백신 개발에 관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볼라 바이러스 질환은 현재 치료법에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환자관리, 감염예방, 관리대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혈액내 Lipoprotein(a) 농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일부 초, 중, 고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porotein(a) Level -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

  • 최현오;이용욱;나승식;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5-163
    • /
    • 1998
  • 본 연구는 정상 성인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혈액내 Lipoprotein(a) 농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 농도와 지질 농도, 섬유소원, 공복혈당 및 일상생활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일부 초, 중, 고교 교사들로 의료보험 관리 공단의 신검에서 건강상태가 양호하다고 판정 받은 남자 80명, 여자 60명을 대상으로 혈액분석과 설문 조사를 1996년 11월 2일부터 11월 7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혈액 분석 결과에 따라 이들을 정상군과 위험군으로 나누고 이들 군들 사이에서 Lipoprotein(a) 농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들 중 관상동맥질환 유발의 위험수준인 30mg/dL을 초과하는 대상자는 140명중 37명으로 26.4%에 달했다. 대상자들의 Lipoprotein(a) 평균 농도는 남자는 $16.94{\pm}12.70\;mg/dL$, 여자는 $17.92{\pm}17.58\;mg/dL$로 성별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Lipoprotein(a) 농도의 경우 연령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대상자의 혈액을 분석하여 각 항목에 대해 정상군과 위험군으로 나눈 후 Lipoprotein(a) 농도와 각 항목들간의 유의성을 살펴 본 결과 1)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ontransferas와 Lipoprotein(a)농도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공복 혈당, 섬유소원과 Lipoprotein(a) 농도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3) 지질농도(총콜레스테롤, 고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비중 지단백 콜레스테롤 , 중성지방)와 Lipoprotein(a) 농도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4) 일상생활요인과 Lipoprotein(a) 농도와의 경우 혈압, 비만도, 성별, 흡연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육식 섭취, 음주, 염분 섭취의 정도에 따라서 이들과 Lipoprotein(a) 농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혈액 분석 결과와 일상생활요소를 모두 통털어 Lipoprotein(a) 농도가 고려된 경우 나이와 육식섭취의 정도에 따라 정상군과 위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p<0.05, p<0.01).

  • PDF

한약박 및 유기셀레늄이 체내 중금속 축적도에 미치는 영향의 모발 분석과 혈액 및 장기 분석간의 상관도 연구 (A Study of the Efficacy of Hair Analysis Relative to Serum and Organ Analysis for Assessing Heavy Metal Reduction in Living Animals Treated with an Herbal Medicine Remnant and Organic Selenium)

  • 손영희;유지은;허지연;장성표;이병수;이보름;윤선기;이치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2-231
    • /
    • 2008
  • 모발에 축적되는 중금속은 한약박 및 유기셀레늄 같은 기능성 원료에 의해 효과적으로 억제되며, 이는 간 및 혈액으로 대별되는 조직 분석과도 밀접한 상관관계가 보여진다. 또한, 기능성 원료의 여타 효과 즉, 항산화 효과, 항염증 효과 등 부가적인 기능성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는 가치가 있어 산업적인 효용성이 충분히 보장된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침체 되어있는 국내 사료산업에 고 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기능성 원료를 공급하여 사료산업 활성화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전망한다.

반복유산을 경험한 환자에서 임신중 태반항원과 동종항원에 노출된 모체 림프구면역반응은 언제부터 소실되나? (When Dose Losses of Maternal Lymphocytes Response to Trophoblast Antigen or Alloantigen Occur in Women with a History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 최범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15-122
    • /
    • 1998
  • The maintenance of a viable pregnancy has long been viewed as an immunological paradox. The deveolping embryo and trophoblast are immunologically foreign to the maternal immune system due to their maternally inherited genes products and tissue-specific differentiation antigens (Hill & Anderson, 1988). Therefore, speculation has arisen that spontaneous abortion may be caused by impaired maternal immune tolerance to the semiallogenic conceptus (Hill, 1990). Loss of recall antigen has been reported in immunosuppressed transplant recipients and is associated with graft survival (Muluk et al., 1991; Schulik et al., 1994). Progesterone $(10^{-5}M)$ has immunosuppressive capabilities (Szekeres-Bartho et al., 1985). Previous study showed that fertile women, but not women with unexplained recurrent abortion (URA), lose their immune response to recall antigens when pregnant (Bermas & Hill, 1997). Therefore, we hypothesized that immunosuppressive doses of progesterone may affect proliferative response of lymphocytes to trophoblast antigen and alloantigen. Proliferative responses using $^3H$-thymidine ($^3H$-TdR) incorporation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to the irradiated allogeneic periperal blood mononuclear cells as alloantigen, trophoblast extract and Flu as recall antigen, and PHA as mitogen were serially checked in 9 women who had experienced unexplained recurrent miscarriage. Progesterone vaginal suppositories (100mg b.i.d; Utrogestan, Organon) beginning 3 days after ovulation were given to 9 women with unexplained RSA who had prior evidence of Th1 immunity to trophoblast. We checked proliferation responses to conception cycle before and after progesterone supplementation once a week through the first 7 weeks of pregnancy. All patients of alloantigen and PHA had a positive proliferation response that occmed in the baseline phase. But 4 out of 9 patients (44.4%) of trophoblast antigen and Flu antigen had a positive proliferative response. The suppression of proliferation response to each antigen were started after proliferative phase and during pregnancy cycles. Our data demonstrated that since in vivo progesterone treated PBMCs suppressed more T-lymphocyte activation and $^3H$-TdR incorporation compare to PBMCs, which are not influenced by progesterone. This data suggested that it might be influenced by immunosuppressive effect of progesterone. In conclusion, progesterone may play an important immunological role in regulating local immune response in the fetal-placental unit. Furthermore, in the 9 women given progesterone during a conception cycle, Only two (22%) repeat pregnancy losses occured in these 9 women despite loss of antigen responsiveness (one chemical pregnancy loss and one loss at 8 weeks of growth which was karyotyped as a Trisomy 4). These finding suggested that pregnancy loss due to fetal aneuploidy is not associated with immunological phenomena.

  • PDF

TNF$\beta$ Induces Cytotoxicity of Antibody-Activated CD$4^+$T-lymphocytes Against Herpes Virus-Infected Target Cells

  • Choi, Sang Ho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2호
    • /
    • pp.125-133
    • /
    • 2004
  • We have extended our previous work that cross-linking CD4 molecules using specific MAb induced antigen nonspecific, MHC unrestricted killing of virally infected target cells by CD$4^+$We have extended our previous work that cross-linking CD$4^+$ molecules using specific MAb induced antigen nonspecific, MHC unrestricted killing of virally infected target cells by CD$4^+$ T cells. The killing activity of antibody activated CD$4^+$T cells was completely blocked by herbimycin A, a protein tyrosine kinase (PTK) inhibitor, but not by bisindolylamaleimide, a protein kinase C (PKC) inhibitor. Herbimycin A treated human or bovine peripheral blood CD$4^+$T cells lacked PTK activity and failed to kill virally infected target cells even after cross-linking of CD4 molecules. The CD$4^+$cross-linking failed to induce effector cell proliferation or the transcription of TNF${\beta}$ Upregulation of TNF${\beta}$ was induced by incubating the antibody activated effector cells with BHV-1 infected D17 target cells for 10 h. Anti-TNF${\beta}$ antibody partially abolished (13-44%) the direct effector cell-mediated antiviral cytotoxicity. However, this antibody neutralized 70 to 100% of antiviral activity of effector and target cell culture supernatants against BHV-1 infected D17 cells. The inhibition level of the antiviral activity by the antibody was dependent on the effector and target cell ratio.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increased p$56^ICK enzyme activity in effector cells transduces a signal critical for effector cell recognition of viral glycoproteins expressed on the target cells. Following target cell recognition, lytic cytokines known to participate in target cell killing were produc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killing activity displayed by CD$4^+$T lymphocytes following surface receptor cross-linking will provide insight into the mechanisms of cytotoxic activity directed toward virally-infected cells.T cells. The killing activity of antibody activated CD$4^+$T cells was completely blocked by herbimycin A, a protein tyrosine kinase (PTK) inhibitor, but not by bisindolylamaleimide, a protein kinase C (PKC) inhibitor. Herbimycin A treated human or bovine peripheral blood CD4T cells lacked PTK activity and failed to kill virally infected target cells even after cross-linking of CD4molecules. The CD4 cross-linking failed to induce effector cell proliferation or the transcription of TNF$\beta$. Upregulation of TNF$\beta$ was induced by incubating the antibody activated effector cells with BHV-1 infected D17 target cells for 10 h. Anti-TNF$\beta$ antibody partially abolished (13-44%) the direct effector cell-mediated antiviral cytotoxicity. However, this antibody neutralized 70 to 100% of antiviral activity of effector and target cell culture supernatants against BHV-1 infected D17 cells. The inhibition level of the antiviral activity by the antibody was dependent on the effector and target cell ratio.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increased $56^ICK enzyme activity in effector cells transduces a signal critical for effector cell recognition of viral glycoproteins expressed on the target cells. Following target cell recognition, lytic cytokines known to participate in target cell killing were produc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killing activity displayed by CD$4^+$T lymphocytes following surface receptor cross-linking will provide insight into the mechanisms of cytotoxic activity directed toward virally-infected cells.

복분자주 주박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the Lees of Bokbunja Wine (Rubus coreanus Miquel))

  • 김미선;강동균;신우창;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57-764
    • /
    • 2015
  • 복분자는 당도가 낮고 신맛이 강해 과실주로 주로 제조되고 있으며, 복분자주 제조 후 부생되는 주박은 대부분 폐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생리활성이 보고된 바 없는 복분자주 주박을 대상으로 열수 추출물, ethanol 추출물 및 이들의 다양한 분획물을 조제하여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복분자주 주박의 ethylacetate (EA) 분획은 413~459 mg/g의 높은 polyphenol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강력한 성장억제 활성과,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에 대한 우수한 radical 소거능,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액내의 thrombin, prothrombin, coagulation factor 에 대한 저해를 통한 혈액응고저해 활성이 우수하였다. 복분자주 주박의 butanol 분획은 우수한 항산화력과 함께 내인성 혈전 생성에 관련된 aPTT 연장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spirin에 필적하는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복분자주 주박의 열수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 후의 물 잔류물은 aspirin보다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어 새로운 항혈소판제 개발 소재로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폐기되고 있는 복분자주 주박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품 및 향장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흑마늘의 항산화, 항균 및 항혈전 활성 (Antioxidation,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 정인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5-292
    • /
    • 2014
  • 흑마늘을 이용한 식의약품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생마늘과 흑마늘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산화, 항균, 항혈전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이후 흑마늘 추출물의 순차적 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활성분획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흑마늘의 열수 추출효율은 40.6%로 생마늘의 4배의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고온 숙성과정을 통해 생마늘보다 총 폴리페놀은 4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56배, 총 당 및 환원당은 각각 3.36배 및 6.75배 증가되었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흑마늘 추출물은 DPPH 음이온에 대한 소거능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미약하였으나,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nitrite 소거능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 매우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 추출물은 생마늘 추출물에 비해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을 상실한 반면,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 Staphylococcus aureus 및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세균 활성과 프로트롬빈, 혈액응고인자 저해,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 흑마늘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은 적혈구 용혈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이 향후 항혈전 활성을 위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고구마 소주 주박의 항균 및 항혈전 활성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Lees of Sweet Potato Soju)

  • 김미선;이예슬;김종식;신우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8-266
    • /
    • 2014
  • 고구마 소주는 전분과 섬유질이 많은 고구마를 발효시킨 후 상압증류하여 제조되어 특유의 부드러운 맛과 향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별도의 용도가 없어 폐기되고 있는 고구마 소주 주박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주박의 ethanol 및 열수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을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하여 각각의 hexane, ethylacetate (EA), butanol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각 시료의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주박의 ethanol 추출 효율이 열수 추출 효율보다 1.36배 높았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EA 분획물이 가장 높은 total polyphenol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고구마 소주 주박의 추출물 및 분획물(0.5 mg/ml)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의 EA 분획물에서만 광범위 항세균 활성과 강력한 혈액응고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의 경우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에서만 아스피린과 유사한 응집저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폐기되고 있는 고구마 소주 주박의 열수 추출물의 EA 분획이 신규의 항세균 및 항혈전제로 개발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선천성 면역에 대한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효과 (Effect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innate immunity)

  • 강신석;변현섭;김정태;이란;강소정;정호성;강성호;이재동;김동희;강신권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5-243
    • /
    • 2011
  • Probiotics have many effects such as antihypertensive, prevention of cancer, antioxidation, reduction of dermatitis symptoms, improvement of mineral absorption, reduction of allergic symptoms, and decrease of cholesterol, However, the main role of probiotics is that they balance intestinal microbials proportion. L. acidophilus is one of probiotics and microflora in intestine. It has an acidification activity, aroma production, texture formation and probiotics properties. We studied on the roles of L. acidophilus in mice. In this study, body weights of mice were decreased when administration of L. acidophilus ($1{\times}10^{10}$ CFU) and swimming ability has been raised than a normal group after feeding on L. acidophilus ($1{\times}10^{10}$ CFU). After taking L. acidophilus ($1{\times}10^{10}$ CFU), total white cells were increased than a normal group; hemoglobin and thrombocytes were increased. The level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decreased in blood analysis. We knew L. acidophilus is related to innate immune system. We found out the secretion of cationic peptide was increased in the Lysoplate assays as a result of L. acidophilus ($1{\times}10^{10}$ CFU) administration. Appearance rate of lysozyme was also increased than the normal group on an immunohistochemistry stain. We confirmed L. acidophilus contributes to host health through innate immune system stimulation. L. acidophilus more than $1{\times}10^{10}$ CFU are thought to be beneficial for the host health and prevention of intestinal diseases in field condition.

Compatibility effects of ginseng and Ligustrum lucidum Ait herb pair on hematopoietic recovery in mice with cyclophosphamide-induced myelosuppression and its material basis

  • Han, Jiahong;Dai, Min;Zhao, Yan;Cai, Enbo;Zhang, Lianxue;Jia, Xiaohuan;Sun, Nian;Fei, Xuan;Shu, Hu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291-299
    • /
    • 2020
  • Background: Ginseng (G) and Ligustrum lucidum Ait (LLA) are cor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in treating myelosuppression formula.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profile effect of G and LLA herb pair (G-LLA) on myelosuppressed mice. Methods: The mice myelosupp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by intraperitoneal (i.p.) injection of cyclophosphamide (Cy). Hematopoietic function of bone marrow was measured by hemopoietic progenitor cell culture and peripheral blood count, and serum hemopoietic factors were tes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Bone marrow cell cycle was performed by flow cytometry. HPLC was used to measure 20 potential chemical components related to myelosuppression, including ginsenoside Rg1, Re, Rb1, Rc, Rb2, Rb3, Rd, Rk3, Rh4, 20 (S)-Rg3, 20 (R)-Rg3, Rk1, Rg5, salidroside, and so on. Results: G, LLA, and G-LLA improved the amount of peripheral blood cells and bone marrow cells of myelosuppressed mice (P < 0.01). They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lony quantity of colony-forming unit-granulocyte macrophage, burst-forming unit-erythroid, colony-forming unit-erythroid, and colony-forming unit-megakaryocyte and amount of G2/M and S phase cells (P < 0.01). They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mount of hematopoiesis-related cytokines (P < 0.01). The content of chemical components in G-LLA changed, and the change of rare saponin was the most obviou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G-LLA herb pair might produce synergistic or complementary compatibility effects on bone marrow suppression after chemotherapy. It suggests that the substance basis of G-LLA for treating bone marrow suppression may be effective chemical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