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ing probability

검색결과 307건 처리시간 0.02초

통합된 CDMA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률 최대화 방법을 이용한 자원할당 방법 (Resource Allocation Scheme in an Integrated CDMA System Using Throughput Maximization Strategy)

  • 최승식;김상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2B호
    • /
    • pp.146-153
    • /
    • 2006
  • 최근 고속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음성과 데이터가 통합된 CDMA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자원할당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과 데이터가 통합된 CDMA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효과적인 자원할당 방법을 제안한다. 음성과 데이터가 통합된 CDMA 시스템에서는 음성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우선 할당한 후 나머지 자원을 데이터 서비스에 할당한다. 이 경우에 데이터 서비스의 전송률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간섭을 최소화시키는 자원할당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DMA시스템에서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고 자원할당시 필요한 QoS요구사항을 먼저 정의한다. 이를 기반으로 QoS를 만족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자원할당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데이터 전송률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 한 슬롯에 전송가능한 패킷 수를 우선순위 계산에 포함시켜 데이터 전송률과 지연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시뮬레이션결과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에 자원을 할당하면 데이터의 블록킹 확률 감소와 지연을 감소시키는 개선효과를 볼 수 있다.

이동 물체의 상호 발생 특징정보를 이용한 동영상에서의 이동물체 추적 (Moving Object Tracking Using Co-occurrence Features of Objects)

  • Kim, Seongdong;Seongah Chin;Moonwon Choo
    • 지능정보연구
    • /
    • 제8권2호
    • /
    • pp.1-1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칼라영상에서 물체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된 동작영역을 확인하고, 영상의 시컨스(sequence)를 대상으로 움직이는 물체의 형태인 보행자 혹은 자동차들의 이동방향을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카메라가 고정되어 있고 물체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카메라시계에 진입하는 물체를 포착하여, 포착된 물체의 영역을 차 영상 분석을 통해 이진화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을 co-occurrence matrix의 RGB full 칼라의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추출되어지는 칼라 특징벡터를 분석하여 인접 프레임간의 이동물체 영역끼리의 대응관계를 조사함으로서, 이동물체를 추적한다. 군집화(clustering)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추출한 특징 벡터들 가운데 에너지, 엔트로피만을 가지고 인접 프레임간의 군집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이동물체 영역들 간의 퍼지동적물체 정합 알고리즘을 적용시켰다. 인접 프레임간의 움직임 영역의 물체들에 대하여 멤버 쉽 함수를 근거로 중심 값을 계산하면, 동일 물체일 경우 중심 값 부근에서 군집이 형성되며, 이를 바탕으로 이동물체를 추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GEO 기반 위성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빌림 방법과 대역폭 예약 방법을 이용한 호 수락 제어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Call Admission Control Scheme with Bandwidth Borrowing and Bandwidth Reservation in GEO based Integrated Satellite Network)

  • 홍태철;강군석;안도섭;이호진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2-1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GEO 기반 위성 네트워크에서의 호 수락 제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대역폭 빌림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통신이나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는 고정된 목표 데이터 속도가 있지만,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에는 고정된 목표 데이터 속도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에는 시스템 부하 상태에 따라서 데이터 속도를 유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데이터서비스의 이런 특성을 이용하면 시스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대역폭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에 데이터 서비스의 데이터 속도를 감소시켜서 실시간 서비스의 호 수락 요청을 받아들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역폭 빌림 방법에 대한 큐잉 모델을 만들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대역폭 빌림 방법을 통해서 전체 블로킹 확률의 8.7-35.2 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 PDF

흰쥐 기관평활근에 대한 GS 386의 칼슘억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억제 작용 (Calcium Channel Blocking and Phosphodiesterase Inhibitory Action of GS386, a Dihydroisoquinoline Derivative, in Isolated Rat Trachea)

  • 장기철;이회영;강영진;구의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3-380
    • /
    • 1996
  •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GS 386인 1-(4'-methoxybenzyl)-6,7-dimethoxy-3,4-dihydroisoquinoline이 적출된 토끼의 심방세포에서 $Ca^{++}$ 채널의 운동성 변화없이 $Ca^{++}$ 채널이 열릴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Ca^{++}$ 전류의 증폭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적출된 쥐의 기관지를 사용하여 GS 386의 작용기전에 대해 연구하였다. GS386은 carbachol $(0.3{\mu}M)$과 높은 농도의 $K^+$ (65.4mM)에 의해 수축된 쥐의 기관지를 용량-의존적으로 이완시켰으며 이때 $IC_{50}$는 5.24와 $5.67\;{\mu}M$이었다. verapamil은 carbachol에 의한 수축시 보다 높은 농도의 $K^+$에 의해 수축된 조직에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Ca^{++}$이 없는 상태에서 $Ca^{++}$에 의한 수축은 GS386에 의해 억제되었다. 더욱이 높은 농도의 GS386$(100\;{\mu}M)$은 verapamil과는 다르게 carbachol뿐만 아니라 caffeine에 의한 위상성 수축을 억제 시키므로 GS386은 세포질내로 들어가 sarcoplasmic retuculum과 같은 근육 내부에 2차적인 영향을 나타내었다. 더군다나GS386은 verapamil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는 (verapamil-insensitive component)이완을 보였고 쥐 기관지의 평활근에서 cAMP의 양을 증가 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GS386의 작용기전이 $Ca^{++}$ 길항적인 작용 뿐만 아니라 posphodiesterase억제작용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 PDF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는 광 전송망을 위한 분리 제어 신호 방식 (Separated Control Signaling Protocol for WDM Optical Networks)

  • 노선식;김수현;소원호;김영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7권6호
    • /
    • pp.1-11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WDM 망에서 연결의 설정 및 해제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분리 제어 신호방식 (Separated Control Signaling Protocol : SCSP)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분리 제어 신호 방식은 기존의 연결 제어 기능을 파장 및 각 노드 자원의 가용성을 점검하는 호 제어와 망 자원의 예약 및 할당을 위한 베어러 제어로 분리함으로써, 자원을 예약하기 전에 망 자원의 가용성을 점검하고 망 자원의 예약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망 자원을 이용하며 또한 연결 설정 요청 수락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분리 신호 방식을 위한 노드 구조는 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호 제어기와 베어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베어러 제어기로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각 제어기의 기능과 제어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제어 메시지 및 프리미티브를 정의하고 상태 천이도를 설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분리 신호 방식에서의 연결 설정, 해제 및 실패에 대한 정보 흐름도를 작성하였다. 제안된 분리 제어 신호 방식의 성능 평가를 위해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연결 요청 거절 확률과 자원의 이용률 측면에서 분리 제어 신호 방식이 기존의 통합 제어 신호 방식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MPLS망 기반의 광 경로 설정을 위한 블로킹율 개선 방안 (Blocking probability improvement for Lightpath Setup based on GMPLS)

  • 임송빈;김경목;오영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12호
    • /
    • pp.41-49
    • /
    • 2004
  • 최근 인터넷 사용자 수의 증가와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으로 각 응용의 요구 대역폭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Internet 트래픽은 폭주하게 되었고, 고속의 백본(backbone) 네트워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는 IP packet switching과 wavelength switching 모두를 동시에 수행하면서 대용량의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는 GMPLS(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반의 OXC(Optical cross-connects)에 의해 만족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를 위해서는 Core망에 많은 수의 파장 변환기가 필요하고, 구축 및 운용비용(cost-effective)이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최적의 트래픽 전송제한을 받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MPLS망에서 개선된 Lightpath setup을 위한 GMPLS의 RSVP-TE 시그널링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setup 시그널링이 블로킹 되었을 때, edge router까지 PathErr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파장 변환을 수행할 수 있는 최단거리에 위치한 람다 라우터를 찾고, 그 노드로부터 setup 시그널링을 다시 수행한다. 본 알고리즘은 Lightpath setup 시그널링의 블로킹 확률을 줄일 수 있으며, 적절한 파장 변환기 수를 산출하여 core망에서 람다 라우터의 효율적인 배치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ault Tree를 활용한 항공기 격납고 소화시스템의 화재 안전성 분석 (Fire Safety Analysis of Fire Suppression System for Aircraft Maintenance Hangar Using Fault Tree Method)

  • 이종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67-73
    • /
    • 2017
  • 항공기 정비 격납고는 고가의 항공기를 보관하거나 정비, 점검등을 하는 건축물로 화재발생 빈도는 낮지만 화재발생 시 인적, 물적 피해가 매우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ault tree를 이용하여 현재 운용중인 항공기 정비 격납고 소화시스템의 화재 안전성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시행하고, 도출된 기본사상에 대한 고장률 자료를 활용하여 정량적 분석을 실시한 후 정상사상의 발생 확률에 대한 Minimal cut set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Minimal cut set에 의한 정성적 분석결과 항공기 격납고 포헤드 소화시스템의 화재제어 실패로 대형화재로 확대될 수 있는 사고경로는 14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량적인 분석 결과 대형화재로 확대될 확률은 $2.08{\times}E-05/day$이며, Minimal cut set의 중요도 분석 결과 화재 발생 시 4개의 Minimal cut set 즉, 구역별 화재 감지기 및 포헤드 동작과 항공기 날개 및 Fire plume에 의한 소화약제 차단이 동일하게 24.95%로 대형화재로 확대될 가능성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항공기 정비 격납고의 포헤드 소화시스템은 항공기 날개 하부화재에 대한 적응성이 없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Fault tree를 이용하여 처음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