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dder perfor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1초

Delayed bladder perforation due to screw loosening after pelvic ring injury surgery: a case report

  • Shon, Hyun-Chul;Kang, Ho-Won;Lim, Eic-Ju;Yang, Jae-Young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5권1호
    • /
    • pp.51-55
    • /
    • 2022
  • Pelvic ring injuries have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and they are difficult to treat because accompanying injuries to the pelvic organs, genitourinary organs, and neurovascular tissues are common. Genitourinary injuries are common comorbid injuries that have been reported to occur in 5% to 6% of all pelvic ring injuries. However, these injuries usually occur simultaneously with the pelvic ring injury, whereas relatively little research has dealt with genitourinary injuries that occur after treatment of a pelvic ring injury.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only three cases of delayed bladder perforation due to screw loosening after symphyseal plate fixation in anterior pelvic ring injury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and no such cases have yet been reported in Korea. Since the authors experienced this very rare complication after pelvic ring surgery, we report this case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Ultrasound and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of a Calcified Intramural Leiomyoma of Urinary Bladder in a Dog

  • Youjung Jang;Yeon-Jung Ho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6-251
    • /
    • 2024
  • Herein, we present the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CT) characteristics of an intramural calcified leiomyoma of the bladder in a dog. A 16-year-old, neutered male, Shih Tzu dog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owing to corneal perforation. Serum chemistry findings and complete blood counts were unremarkable. A rounded hypoechoic intramural mass with internal hyperechoic foci was incidentally discovered on the ventral aspect of the bladder neck on abdominal ultrasonography performed for screening prior to corneal surgery. CT revealed a rounded hypoattenuated mass with central hyperattenuated foci at the level of the bladder neck. The mass was surgically excised and was diagnosed as leiomyoma based on histopathological findings.

Long-term Outcomes of Augmentation Cystoplasty in a Pediatric Population With Refractory Bladder Dysfunction: A 12-Year Follow-up Experience at Single Center

  • Mehmood, Shahbaz;Alhazmi, Hamdan;Al-Shayie, Mohammed;Althobity, Ahmed;Alshammari, Ahmed;Altaweel, Waleed Mohamed;Almathami, Ahmed;Vallasciani, Santiago
    •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87-294
    • /
    • 2018
  • Purpose: Augmentation cystoplasty (AC) is a surgical procedure used in adults and children with refractory bladder dysfunction, including a small bladder capacity and inadequate bladder compliance, and in whom conservative and medical treatment has failed.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long-term outcomes of AC in childre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42 patients (31 males; mean age, $14.2{\pm}6.2years$) who underwent AC for neurogenic and nonneurogenic bladder dysfunction, with a median $12.0{\pm}1.5years$ of follow-up. All patients underwent AC using the ileum with or without continent reconstruction. Pre-AC, concurrent, and post-AC procedures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Patients who underwent ureterocystoplasty, were lost to follow-up, or had less than 10 years of follow-up were excluded. The primary outcomes were the complication and continence rates, the post-AC linear rate of height and weight gain, and renal function. The Student t-test was used to evaluate between-group differences an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evaluate longitudinal changes in measured variables. Results: Renal function was stable or improved in 32 of 42 patients (76.2%), with a post-AC continence rate of 88.1%. Thirty patients (71.4%) required 72 procedures post-AC.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percentile of height (P=0. 212) or weight (P=0.142) of patients in the pre- and post-AC periods. No cases of bladder perforation or malignancy were detected. Conclusions: We consider AC to be a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that does not negatively affect future physical growth, while achieving a good rate of stable renal function. Patients need long-term follow-up to address long-term complications.

백서에서 Formalin의 방광점막하주사가 방광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mucosal Formalin Injection on Bladder Wall in Rats)

  • 이동헌;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13-120
    • /
    • 1987
  • 백서에서 formalin의 방광점막하주사가 상피의 탈락을 일으키는지의 여부와 기타 방광벽에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Sprague-Dawley 수컷 흰쥐(체중 350gm 내외) 36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Nembutal 복강내 마취하에 방광을 노출한 다음 생리적 식염수, 10% formalin과 4% formalin을 각각 0.01ml씩 각군 동물의 방광점막하에 주사한 후 1일, 2일, 3일, 1주, 2주 그리고 4주째에 방광을 적출하여 방광벽에 나타나는 육안적,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0% formalin 주사군에서는 제 1주부터 4% formalin 주사군과 생리적 식염수 주사군에서는 제 2주부터 방광결석 형성을 볼 수 있었다. 2. 10% formalin 주사군과 4% formalin 주사군에 있어서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3. Formalin 주사군에서는 점막궤양 또는 현저한 정막붕괴가 24시간째에 나타나고 점막재생은 제 2일부터 시작하여 제 3일에 현저하였고 제 1주에는 거의 정상적인 상피화를 보였다. 4. 상피하 부종, 혈판확장 및 염증반응은 24시간 째에 현저하였고, 상피하 부종은 제 1주까지, 혈판확장과 염증반응은 제4주까지 중등도로 지속되었다. 섬유아세포증식은 제2일부터 나타나 제4주까지 중등도로 지속되었다. 5. 본 실험중 동물이 죽거나 방광천공을 일으킨 예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formalin의 방광점막하 주사는 이로 인해 파괴되는 조직의 범위와 그 재생과의 관계가 보다 명백히 규명되면 재발성 표재성 방광암 환자의 선별적인 예의 치료에 응용해, 볼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궁 근종에 대한 HIFU 치료 후 발생한 하부 복부의 심부 화상 (Deep Burn Injuries on the Lower Abdomen after HIFU Treatment for Uterine Myoma)

  • 유성훈;김동철
    • 대한화상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4-67
    • /
    • 2020
  •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HIFU) has been regarded as a non-invasive uterine-preserving treatment for women with uterine myoma. Numer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it is a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uterine myoma. However, severe complications, such as deep thermal burn injuries, bowel perforation, and bladder injury, were reported on rare occasions. We report a case of a 4th degree burn on the lower abdomen after HIFU treatment for uterine myoma. Physicians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deep thermal burn injuries when managing uterine myoma with HIFU.

급성 담낭염 진단시 Rim Sign의 의의 (Rim Sign in Aucte Cholecystitis)

  • 고은미;이경한;양승오;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5-39
    • /
    • 1989
  • The "rim sign" is a rim of increased hepatic activity adjacent to the gall bladder fossa and known as an useful indicator of acute cholecystitis. Also, many reports suggested that if rim sign is positive there is an increased risk for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and gangren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is rim sign, we reviewed 32 cases that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The incidence of rim sign was 47% similar to other reports but with our results, the rim sign was not specific to acute cholecystitis nor indicator of increased risk for complications.

  • PDF

여성 복압성 요실금에서 질전벽슬링수술의 효과 (Anterior Vaginal Wall Sling for Femal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 신홍석;유진욱;정희창;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59-66
    • /
    • 2001
  • 본 연구에서 질전벽슬링술을 시행한 여성 복압성 요실금 환자 42명 중 술후 평균 29.4개월 후 추적 관찰시 92.9%의 성공률과 90.5%의 만족률을 보였으며, 수술에 따른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높은 치료성적, 비교적 간편한 술기, 해부학적 요실금과 내인성 요도괄약근 기능부전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질전벽슬링수술은 여성 복압성 요실금의 수술치료에 효과적이고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폐이식 후 발생한 소화기계 합병증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fter Lung Transplantation)

  • 함석진;백효채;김지현;이두연;김창완;김정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80-284
    • /
    • 2010
  • 배경: 폐 이식 수술 후 관리가 급속하게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소화기계 합병증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저자들은 폐 이식 후 발생한 소화기계 합병증과 그의 치료법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7월부터 2009년 3월까지 23명의 환자에서 시행한 25예의 폐 또는 심폐이식에 대한 의무 기록을 검토하였다. 소화기계 합병증은 폐 이식 후 발생한 소화기계 질환으로 정의 하였다. 30일내 사망한 8명의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은 중앙값 6.9개월(범위: 2개월 부터 111개월)로 수술 사망을 제외한 17예 중 11예(64.7%)에서 23회의 소화기계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만성 위염이 17예 중 4예(23.5%)에서 발생하여 가장 많았고, 2주 이상의 심한 설사가 3예에서 발생하였다. 3예에서 위궤양이 있었고 이중 1명의 환자는 궤양으로 인한 위천공으로 위 봉합술을 시행 받았다. 또한, 이 환자는 복부 수술 후 2개월 만에 궤양이 재발하여 위 출혈이 발생하였다. Cytomegalovirus에 의한 위염과 식도염이 각각 2예와 1예 있으며 식도 궤양은 2예 있었다. 식도 협착은 2예가 있었는데 스텐트를 삽입하여 치료하였다. 그밖에 장폐쇄, 황달을 동반한 담석, 위막성 대장염(pseudomembranous colitis), 내시경하 점막 절제술로 치료한 조기 위암이 각각 1예씩 있었다. 결론: 폐 이식 후 발생하는 소화기계 합병증은 발병률이 비교적 높은 편이며 폐 이식 후 환자의 영양 상태를 악화시켜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자궁경부암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 병용요법으로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예비적 치료 결과 (Preliminary Results of Concurren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using High-dose-rate Brachytherapy for Cervical Cancer)

  • 이경자;이지혜;이레나;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171-178
    • /
    • 2006
  • 목 적: 자궁경부암 환자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에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의 강내조사를 시행하여 국소제어율, 생존율 및 독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그 효과와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완치목적의 방사선치료가 필요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조사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환자 나이의 중앙값은 58세($34{\sim}74$세)였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29명이 편평상피세포암이고 1명은 선암이었다. FIGO 병기에 따라 IB 7명(23%), IIA 3명(10%), IIB 12명(40%), IIIA 3명(10%), IIIB 5명(17%)이었다. 외부 방사선조사는 골반강에 1회 180 cGy로 총 선량 $45{\sim}50.4\;Gy$ (중앙값: 50.4 Gy)를 시행하였다. 강내조사는 외부 방사선조사 41.4 Gy 조사 후 Ir-192를 이용한 고선량률로 point A에 1회 4 Gy를 주 2회 시행하여 총 $4{\sim}8$회 조사하여 $16{\sim}32\;Gy$ (중앙값 28 Gy) 조사하였다. Point A에 외부조사와 강내조사의 합산 선량의 생물학적 동등선량(biological effective dose, BED)은 $77{\sim}94\;GY_{10}$ (중앙값 $88\;Gy_{10}$)이었다. ICRU 38에 따른 직장의 선량은 $88{\sim}125\;Gy_3$ (중앙값 $109\;Gy_3$), 방광의 선량은 $91{\sim}123\;Gy_3$ (중앙값 $111\;Gy_3$)이였다. 항암제는 cisplatin ($60\;mg/m^2$)과 5-FU ($1,000\;mg/m^2$)를 외부 방사선조사와 동시에 시작하여 3주 간격으로 정맥 주입하였으며 총 $2{\sim}6$회(중앙값 5회) 시행하였다. 방사선조사 완료 후 4주에 진찰소견과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관해정도를 관찰하였다. 추적기간은 $8{\sim}50$개월(중앙값 36개월)이었으며 국소제어율, 3년 생존율, 직장과 방광의 급성 및 만성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결 과: 방사선조사와 항암화학요법을 동시에 시행하여 완전관해는 30명 중 28명으로 완전관해율은 93%였다. 3년 국소제어율은 87%,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93%, 무병생존율은 87%였다. 4명(13%)에서 국소실패를 보였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만성 장염을 보였으며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고 있으며 1명(3%)에서 RTOG grade 2의 만성 방광염을 보였다. 그러나 치료에 의해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 론: 자궁경부암 환자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에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의 강내조사를 시행한 결과 독성이 심하지 않고 국소제어율과 단기 생존율이 양호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장기 생존율과 만성 합병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 추적관찰이 요구된다.